책 제목 : 자본주의
저자 및 출판사 : EBS 자본주의 제작팀, 가나
읽은 날짜 : 2024.06.05
핵심 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인플레이션 #은행 #마케팅
도서를 읽고 내 점수는 (10점 만점에 ~ 몇 점?) : 10점
Part1. 빚이 있어야 돌아가는 사회, 자본주의의 비밀
물가가 너무 비싸 물가가 또 올랐어 라는 말은 늘 들으며 살아가지만
물가가 내려서 살만해, 행복해 라는 얘기를 우리는 결코 들어본 적이 없다
물가는 원래 끊임없이 올라갈 수 밖에 없는 구조라는 것!
경제활동이 어려워졌기 때문이 아니라 원자재 가격이 올라서 가 아니라
그냥 돈의 양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통화량이 증가해서 화폐가치가 떨어지고 물가가 오르는 경제현상
대부분의 사람들이 은행 금고에 엄청난 돈이 보관되어 있는 줄 알고 있지만
실제로는 통장에 찍힌 숫자가 그 자체로 돈이라는 사실!
은행이 하는 일의 본질 = 없던 돈을 만들어 내는 일
남의 돈으로 돈을 버는 은행
지급 준비율 10%만 실제 은행이 가지고 있는 돈
중앙은행의 역할은 이자율(기준금리)를 통해 시중의 통화량(돈의 양)을 조절하는 것
은행 시스템에는 이자가 없다 이자를 만들기 위해 중앙은행은 돈을 끊임없이 찍어낼 수 밖에 없다
무한정 돈을 찍어낼 수는 없다
물가 상승이 국가의 통제를 벗어나 통화량을 무한정 늘릴 때 하이퍼인플레이션이 발생할 수 있다
5000원 짜리 김치찌개의 가격이 3조 7500억이 됨
인플레이션 후에는 반드시 디플레이션이 온다
누군가 대출이자를 갚으면 누군가는 파산한다
내가 이자를 갚으면 누군가의 대출금을 가져와야 하기 때문
디플레이션이 와 돈이 부족해지면 누군가는 파산 할 수밖에 없다
우리는 생존해야 한다 자본주의 세상에는 겨울이 지나면 봄이 돌아 온다
은행이 돈 갚을 능력이 없는 사람에게 돈을 빌려주는 것은 약자에 대한 배려 차원이 아니다
약자를 공멸로 몰아가는 비정한 자본주의 원리다
달러를 찍어내는 FRB는 민간은행이다 정부기관이 아니다
Part2. 위기의 시대에 꼭 알아야 할 금융상품의 비밀
재테크 열풍 돈을 번 사람은 바로 은행!
은행은 수익을 내야 하는 기업일 뿐이다
은행은 고객을 위해 좋은 펀드를 권하지 않는다 판매수수료가 많은 펀드를 권한다
보험은 재테크가 아니다 수수료가 있다
저축만으로 행복해질 수 없다 아이와 부모가 함께 금융 교육에 관심을 기울이고 적극 참여해야 한다
Part3. 나도 모르게 지갑이 털리는 소비 마케팅의 비밀
소비는 감정이다
소비에 길들여지는 아이들
쇼핑할 때 여자는 훨씬 감정적이다
우리를 조종하는 마케팅
쇼핑은 무의식이다
소비는 불안에서 시작된다
과소비는 상처 받은 마음이다
자존감이 낮으면 더 많은 돈을 쓴다
쇼핑으로 인한 만족감은 순간이다
중독소비는 치료해야 할 병이다
욕망을 줄이면 행복은 늘어난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쇼핑은 패배가 예정된 게임
소비에서 행복을 찾기보다는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맺음에서 답을 찾다
Part4. 위기의 자본주의를 구할 아이디어는 있는가
금융 위기는 반복해서 일어난다
호황이 지나면 위기가 찾아온다
시스템보다 사람이 먼저다
Part5. 복지자본주의를 다시 생각한다
복지는 공동구매다
퍼주기식 복지가 아니라 일자리를 만들어내는 생산적인 복지이며 약자들이 스스로 자립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건강한 복지다
복지는 창의성의 원천
2. 이 책에서 얻은 것과 알게 된 점 그리고 느낀 점
쉬지 않고 일하는 99%의 우리들이 살기 힘들었던 이유를 정확히 알게 되었고
금융, 경제에 관한 공부는 셀프라는 것 또한 알게 되었다
3. 내 인생에 적용할 점
눈 뜨고 코 베이지 말자! 몰라서 멍청하게 당하고 살지는 말자!
금융에 관해 관심을 기울이고 공부하고 적극 알아보고 똑 부러지게 살자!
보험 줄인다고 줄였지만 잘 뜯어보고 적은 돈으로 꼭 필요한 보장만 야무지게 다시 설계해 보자
감정에 의한 소비 주의하자!
욕망을 줄이고 행복한 관계를 만들어 나가자
4. 기억하고 싶은 문구
따듯한 자본주의
네가 살려면 남의 의자를 빼앗아야 한다고 가르칠 것인가
누구를 위한 자본주의가 돼야 하느냐
지금까지 자본주의는 자본가, 은행, 정부를 위한 자본주의였다면
이제 99%의 평범한 사람들에게 돌아갈 때가 되었다
댓글
마미신나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