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책제목 : EBS자본주의
저자 : EBS자본주의제작팀
출판사 : 가나출판사
책에서 본것
물가가 고공행진 하는 요즘, 기본 먹거리와 생필품들이 눈에 띄게 올라서 장 볼때마다 바짝 긴장하며 가격표를 본다. 정부는 선거철을 맞아 물가 안정대책을 내놓지만 이 책을 읽어보니 언 발에 오줌누기다. 상승 속도만 약간 낮출뿐 물가는 계속오를 수 밖에 없는 시스템이다.
이 책에서 내 맘을 확 잡았던 부분이 왜 물가가 계속 오르기만 하는지에 대한 1장의 설명이었다.
은행을 중심으로 움직이는 자본주의 시스템에서는 돈이 계속 늘어날 수 밖에 없고, 돈이 늘어나니 돈가치가 하락하고, 물가는 오를 수 밖에 없는 구조였다.
거기다 빚이 없으면 자본주의는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다. 빚이 있어야만 새로운 돈이 만들어지고 사회가 굴러간다는 게 놀랍다.
사람들은 예금이나 적금으로 받는 이자가 물가상승률을 따라가지 못하니 재테크를 한다고 투자를 하지만 금융지능 없이 은행원말만 믿고 투자했다간 내꼴나기 쉽다는 걸 이 책에서 배웠다. 수익성과 위험성이 정비례한다는 사실을 논리적으로 이해할 수 있어 좋았고, 좋은 펀드 고르는 법, BIS용어(은행자산의 건전성을 나타내는 지표), 은행시스템 이해는 내 삶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었다.
4장의 자본주의 흐름에 따라 나타난 사상가들의 경제 이론과 정책들도 자본주의의 본질적인 요소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노동을 최고의 가치로 삼은 아담스미스(국부론),
쉬지 않고 일해도 왜 가난한지 의문을 제기한 칼마르크스(자본론),
실업률을 낮추려면 정부가 개입해야 한다는 케인스(거시경제학),
정부가 커지면 비용이 늘어난다는 하이에크(신자유주의)도 있었다.
하지만 여전히 자본주의가 부익부 빈익빈 등 온갖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 책 후반부는 모두가 함께 잘 사는 자본주의를 위해서는 복지가 중요하다고 말한다.(복지자본주의) 소수를 위한 자본주의가 아닌 99%의 평범한 사람들에게 자본주의의 혜택이 돌아가야 행복한 자본주의가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이 주장이 자본주의의 나아갈 방향임을 확실히 알겠지만 과연 현실가능할지는 의문이다. 이 책이 2013년에 만들어졌음에도 2023년인 지금도 자본주의의 문제점은 승승장구하다. 물가는 계속 오르고, 빈부격차는 극대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책에서 정리가 잘된 것
은행의 시초 영국 금세공업자 이야기
은행시스템에는 이자가 없다
은행시스템은 내가 대출이자 갚으면 누군가는 파산.시스템에는 없는 이자가 실제로 존재하는 한 우리는 다른이의 돈을 뺏기 위해 끊임없이 경쟁해야 한다.
자본주의 흐름에 따라 나타난 경제학자
아담스미스의 자유시장경제
아담스미스 국부론(1776)
마르크스 유물론적 변증법
마르크스 자본론
책을보고 느낀것
이 책을 읽고 일반 소시민인 나의 금융지능이 5%는 오르지 않았을까 생각해본다. 앞으로 어떻게 저축하고, 투자하고, 소비할 것인지는 여전히 숙제다.
인상깊은 구절
P5 나의 행복과 내 가족의 미래를 준비하기 위해 반드시 알아야 하는 것, 그것이 바로 자본주의에 대한 지식이다.
P32 자본주의 경제 체제는 '돈으로 굴러가는 사회'가 아니라 '돈을 창조하는 사회' 다.
P33 물가가 오르는 근본적인 원인은 소비가 늘어났기 때문도 아니고, 기업들이 더 많은 이익을 취하기 때문도 아니다. 그것은 바로 은행 때문이며, 은행을 중심으로 움직이는 자본주의 시스템 때문이다.
P47 중앙은행의 역할은 한마디로 시중의 통화량, 즉 돈의 양을 조절하는 것이다.
P53 중앙은행은 통화량이 늘어나는 속도를 늦출 수 있을지는 몰라도 자본주의 시스템 때문에 스스로도 화폐를 계속 찍어내면서 통화량을 늘릴 수 밖에 없다는 얘기다.
P55 자본주의 체제 하에서 은행이 있고 중앙은행이 있는 한 인플레이션이란 결코 피해갈 수 없는 치명적인 현상인 셈이다.
P70 사회는 빚이 있어야만 굴러간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돈이 있는 사람들은 이 빚때문에 더 많은 돈을 벌고, 돈이 없는 사람들은 바로 이것 때문에 파멸한다.
P81 국제 거래에 통용되는 결제 수단을 기축통화라고 하는데 달러가 바로 기축통화다. 그래서 세계의 수많은 돈 중에서 가장 의미있는 돈은 달러이다.
P89 돈의 큰 그림을 보려면 미국의 금융 정책을 알아야 한다.
P90 돈이 돌아가는 원리를 모르면 희생자가 될 수밖에 없다.
P91 자본주의 구조 안에서 돈은 빚이다.
P168 돈이라는 것은 나쁜 것이 아니고 행복하게 살기 위한 수단이라는 것, 그리고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금융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는 태도를 가져야 한다.
P372 공황은 분배의 불균형에서 일어난다.
P374 우리가 해야 할 복지는 퍼주기식 복지가 아니다. 일자리를 만들어내는 생산적인 복지이며 약자들이 스스로 자립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건강한 복지다. 이런 방법을 통해 소비가 촉진되는 자본주의는 활력을 되찾을 수 있다.
댓글
운짱이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