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끼고 매매시
1) 전세자를 들이면서 매수 하는 경우
2) 기존 전세자를 그대로 승계받는 경우
1번 ) 전세자를 들이면서 매수를 할때
전세 들어올 사람은 매수자가 아닌 집주인(매도)과 계약을 한다고 그러는데
그 다음 절차를 모르겠어요
집주인이 전세자와 계약을 하면 전세금은 누가 돌려주나요 ?
매수자는 또 집주인과 어떻게 계약을 맺고
매수자와 전세자는 또 어떻게 계약을 맺는건가요 ?
2) 은 매수자가 집주인에게 전세값을 포함한 매매가격을 지불하고
나중에 전세자가 나갈때 전세금을 내주는 건가요 ?
아니면 집주인이 전세자에게 전세금을 돌려주고
전세금 뺀 나머지 금액으로 매수자와 계약을 하는건가요 ?
도통 모르겠네요
월부 앱을 설치하면 남겨주신 질문에 답변이 달리면 알림🔔을 받아볼 수 있습니다. 앱 추가 방법 : 공지사항 > 신규멤버필독 게시판을 참고하세요!
댓글
나름대로님 안녕하세요 ~ 1번의 경우 임차인이 원한다면 매도인과 계약을 하고 그 계약을 안고 매수하시면 됩니다. 집주인과 새로운 임차인이 전세계약을 먼저하고 그 계약을 새로운 매수자가 안고 매수를 합니다. 매수자가 원한다면 새로운 임차인과 다시 새로운 전세계약서를 작성하게 됩니다. 2번의 경우 매매-전세 차액을 지불하고 매수를 하게 됩니다. 나중에 전세입자가 나간다면, 새로운 전세입자를 구하거나, 매도를 하거나 아니면 본인이 돌려줘야 합니다. 투자 과정이 아직 어려우시다면 월부 강의를 들어보시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나름대로님~ 저도 실제 투자를 하기 전까지 매매-전세 계약 절차가 어떻게 진행되는건지 막연했었는데요~ 1번의 경우 현재 집주인과 새로 들어올 전세입자가 계약을 하고 그 계약된 상태의 집을 매수자가 승계받는 형태입니다. 2번의 경우도 현재 집주인과 기존의 전세입자가 계약이 되었고 그 계약된 상태의 집을 매수자가 승계받는 형태입니다. 따라서 전세입자는 전세가격 전부를 지불하고 매수자는 매매가격에서 전세 보증금을 제외한 가격을 지불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두 경우 모두 매매계약서 특약에 전세 승계 조건의 계약임을 명시해야합니다. 화이팅입니다 나름대로님!
절차 정리 1. 기존 집주인과 전세자 전세계약 체결 - 전세자는 기존 집주인(매도인)과 전세계약을 맺습니다. 2. 매수자가 집 매수 계약 체결 - 매수자는 매도인(기존 집주인)과 매매 계약을 체결합니다. - 이때, 전세 계약을 승계한다는 조건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계약서에 명시 필요) 3. 매수자가 전세 계약을 승계 - 매수자는 기존 전세계약을 승계하거나, 원하면 새로운 전세 계약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 승계란 기존 전세 조건을 그대로 인정하고, 매수자가 보증금 반환 의무를 이어받는다는 의미입니다. - 새로운 전세 계약을 작성할 경우, 조건(보증금, 임대 기간 등)을 조정할 수도 있습니다. 4. 보증금 처리 - 매수자는 매도인에게 전세 보증금만큼 공제한 금액을 지급하거나, - 매도인이 받은 보증금을 매수자에게 이체합니다. - 이렇게 하면 보증금 반환 의무가 매수자에게 넘어가게 됩니다. 5. 전세 만기 시 보증금 반환 - 전세자가 이사를 나가면 매수자가 보증금을 반환해야 합니다. 절차 정리 해봤는데요 혹시 틀린점 있으면 대댓글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