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추천도서후기

Grit_Angela Duckworth_로이찐

23.10.05

펜실베이니아대학교의 심리학과 교수이다. 하버드대학교에서 신경생물학 연구로 수석 졸업한 후 마샬 장학재단의 지원을 받으며 옥스퍼드대학에서 신경과학 석사학위를, 이후 펜실베이니아 대학에서 심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백악관, 세계은행, 미국프로농구협회(NBA)와 미국프로미식축구연맹(NFL) 소속 팀들과 《포천》 500대 기업의 최고경영자들의 자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인성 발달의 연구와 실천을 임무로 하는 비영리 단체인 캐릭터 랩(Character Lab)의 설립자이자 연구부장이기도 하다.

세계적인 경영컨설팅 회사 맥킨지앤컴퍼니(McKinsey & Company)에서 처음 직장 생활을 시작했던 그녀는 고액 연봉을 받는 컨설턴트보다 아이들을 가르치는 일이 자신의 천직임을 깨닫고 모두가 선망하던 자리를 떠나 박봉의 뉴욕시 공립고등학교의 교사가 되어 아이들에게 수학을 가르치게 된다. 그곳에서 성적이 좋은 학생과 나쁜 학생의 차이점은 단순히 지능지수(IQ)에 있지 않다는 사실에 주목하게 된다. 여러 해에 걸쳐 학생들의 성장을 지켜보면서 ‘인생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재능이나 성적보다 훨씬 더 중요한 다른 요인이 작용한다’는 것을 깨닫고 그것이 무엇인지 밝혀내기 위해 대학원에 진학해 심리학을 공부하기에 이른다.

긍정심리학의 창시자이자 심리학 분야의 최고 권위자인 마틴 셀리그먼(Martin Seligman) 박사의 지도를 받으며 인간의 의지와 자기 절제, 그리고 재능보다 목표 달성을 예측할 수 있는 역량 즉, ‘그릿’을 주제로 연구를 진행했다. 의지와 자기절제에 대한 10년이 넘는 종단연구는 수많은 학술 저널에 기고되었고, 《뉴욕 타임스》, 《보스턴 글로브》, 《NPR》, 《포브스》 등 많은 언론들에서 그녀의 연구를 조명하기 시작하면서 유명세에 올랐다. 결국 그 독보적인 연구를 인정받아 2013년 맥아더 펠로(MacArthur Fellow) 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이 상은 맥아더재단이 1981년부터 매년 창의적이고 미래의 잠재력이 큰 인물 20여 명에게 수여하는 것으로 일명 ‘천재에게 주는 상’(genius grant)으로도 유명하다. ‘그릿’에 대한 그녀의 연구는 미 대통령 버락 오바마와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의장인 재닛 엘런의 연설 등에 인용되었으며 그녀의 TED 강의는 1,000만 가까운 조회 수를 기록하며 지금까지도 많은 이들에게 영감을 주고 있다. 이 책은 그녀의 연구가 담긴 첫 번째 저서이다.



전세계 리더들과 언론이 주목한 새로운 성공의 패러다임, ‘그릿’GRIT의 비밀을 최초로 밝혀낸 책! 이 책은 재능 신화를 떠받드는 세상에 던지는 설득력 있고 흥미로운 대답이다. _ 말콤 글래드웰(《아웃라이어》 저자) 끝나지 않는 역주행 돌풍! 켈리 최, 자청, 신사임당… 셀럽, 리더, 언론이 추천한 새로운 자기계발서의 고전! 국내 50만 부 돌파, 150쇄 기념 《그릿 GRIT》 골드 에디션 출간! “당신에겐 ‘그릿’이 있는가?” 실패,?역경,?슬럼프를 이겨낸 사람들만이 가진 성공의 비밀! 2016년 출간 즉시 아마존 베스트셀러 1위에 오르며 교육, 산업, 방송할 것 없이 전세계적으로 신드롬을 일으킨 책 《그릿》이 국내 50만 부 돌파, 150쇄를 기념한 골드 에디션으로 다시 우리를 찾아왔다. 이번 리커버는 고급스러운 하드커버로 소장 가치를 높였다. 이 책이 끊임없이 역주행을 하며 전세계 600만 독자들에게 사랑을 받는 이유는 성공에 있어 가장 중요한 태도이지만 오늘날 그 의미가 퇴색되어버린 열정, 노력, 끈기의 가치를 우리에게 다시 상기시켜주기 때문일 것이다. 최근 새로운 시대의 성공 비밀을 알고 싶다면 이 책을 펼쳐라! 자신만의 성공을 꿈꾸는 많은 이들에게, 아이의 성취감을 길러주고 싶은 부모들에게, 도전을 멈추지 않는 기업가들에게 용기와 희망의 메시지를 전해줄 것이다. 말콤 글래드웰이 쓴 추천사처럼 이 책은 성공하는 사람을 구분 짓는 특성은 ‘열정’과 ‘끈기’라는 단순한 진리를 우리에게 다시 한 번 상기시키고 있다. 수십 년간 찾아온 ‘성공의 비밀’을 과학적으로 증명하며 우리가 어떻게 우리 자신의 의지를 통해 목표를 이뤄낼 수 있을지 보여주는 이 책은 더 나은 삶을 추구하고자 하는 우리 모두에게 용기와 희망의 메시지를 전할 것이다. ‘그릿’은 포기하지 않고 노력하는 힘이며 역경과 실패 앞에서 좌절하지 않고 끈질기게 견딜 수 있는 마음의 근력을 의미한다. 누구나 중요하다고 생각만 할 뿐, 그것이 성공에 있어서 어떻게 작용하는지 알지 못했던 ‘그릿의 힘’을 저자는 10년에 걸친 연구 결과와 실증 사례들, 각계각층 사람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생생하게 보여준다. 나아가 우리가 어떻게 ‘그릿’을 기를 수 있는지 이 책에서 명쾌하게 제시한다.



E-book, total 916 page


p33

[제 1부 그릿이란 무엇인가]


p35

[제 1장 그릿, 성공의 필요조건]


p45

[태도, 성공한 사람들의 특별한 공통점]


p47

성공한 사람들은 정말 끈질기다는 특성을 갖고 있었다.


p48

달성이 불가능해 보일 만큼 큰 야망을 품고 있었다. 그들의 눈에는 자신이 늘 부족해 보였다.

불만을 가지는 자신에게 정말로 만족을 느꼈다. 그들 각자가 비할 바 없이 흥미롭고 중요한 일을 한다고 생각했고, 목표의 달성만큼 이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만족을 느꼈다. 그들이 해야만 하는 일 중에서 일부는 지루하고 좌절감을 안기고 심지어 고통스럽다고 해도 그들은 추호도 포기할 생각을 하지 않았다. 그들의 열정은 오래 지속됐다.


p49

첫째, 그들은 대단히 회복력이 강하고 근면했다.

둘째, 자신이 원하는 바가 무엇인지 매우 깊이 이해하고 있었다.


열정과 결합된 끈기

Grit은 사전적으로 투지, 끈기, 불굴의 의지

열정과 집념이 있는 끈기


p50

“나는 뭐든 시작한 일은 반드시 끝낸다.”


p51

[어떤 사람이 비스트를 통과하는가?]


p55

[그릿은 어디서든지 통하는가?]


p61

[‘잠재력’과 잠재력을 ‘발휘하는 것’의 차이]


p67

[제2장 우리는 왜 재능에 현혹되는가?]


p81

[성취의 근원을 찾아서]


p87

“인간의 잠재력에 비하면 우리는 반쯤 졸고 있는 거나 마찬가지다. 불은 사위어 가는데 공기구멍은 거의 닫혀 있는 상태와 같다고나 할까. 우리는 우리가 가진 정신적, 신체적 능력의 아주 일부분만 활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개개인은 자기 한계에 훨씬 못 미치는 삶을 산다. 인간은 다양한 능력을 지니고 있으면서도 이를 활용하지 못한다.


p89

[재능을 편애하는 사람들]


p97

[재능 중심 경영이 불러온 파국]


p108

[우리가 재능 신화를 버려야 하는 이유]


p118

[제3장 재능보다 두 배는 중요한 노력]


p129

[성취 = 재능 × 노력2]


p130

“우리의 허영심과 자기애가 천재 숭배를 조장한다.” 니체가 말했다.

“왜냐하면 천재를 마법적인 존재로 생각한다면 우리 자신과 비교하고 우리의 부족함을 느끼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누군가를 ‘신적인 존재’로 부르면 ‘우리는 그와 경쟁할 필요가 없어진다.”


p131

“사고를 한 방향으로 모아 모든 것을 소재로 활용하며 자신과 타인의 내면을 부단히 관찰하여 어디에서나 본보기와 자극을 찾아내고, 지칠 줄 모르고 자신의 방식으로 결합시키는” 사람들이 위대한 업적을 이룬다.


p132

“소질과 타고난 재능에 대해 말하지 말라! 타고난 재능이 거의 없어도 위인이 된 이들을 여럿 들 수 있다. 그들은 탁월한 솜씨를 배워서 ‘천재’가 되었다. 그들은 모두 유능한 장인답게 작은 부분을 제대로 만드는 법부터 진지하게 배운 다음 전체를 구성하는 일에 조심스럽게 도전했다. 그들은 눈부신 전체에 감탄하기보다 작고 부수적인 것들을 잘 만드는 데서 즐거움을 느꼈기 때문에 거기에 충분한 시간을 할애 했다.


p154

“일단 출석만 하면 8할은 성공이다.”

Eighty percent of success in life is showing up. 


p163

[제4장 당신의 그릿을 측정하라]


p164

탁월성 excellence에 도달하는 데는 지름길이 없기 때문이에요. 진정한 전문 기술을 개발하고 대단히 어려운 문제를 이해하기까지는 시간이 걸리죠. 대다수의 사람들이 생각하는 그 이상의 시간이 걸려요. 그런 다음에 그 기술들을 적용해서 사람들에게 가치가 있는 재화와 용역을 생산해내야 해요. 로마는 하루아침에 이루어지지 않았죠.


“정말 중요한 점은 이거에요. 그릿은 학생이 매우 관심이 있어서 계속 고수할 용의가 있는 일에 노력을 기울이는 거예요.”


p165

자신이 사랑하는 일을 하는 거지만 그냥 사랑에 빠지면 안 되고 사랑을 지속시켜 나가야만 하죠


p167

[열정에도 끈기가 필요하다]


p171

열정의 강도보다 시간이 흘러도 한결같은 ‘열정의 지속성’이 자주 언급됐다.


p178

열정이 폭죽과 같다는 비유는 적절하지 않다. 폭죽은 순식간에 찬란한 불꽃이 사라지고 쉬익 소리와 몇 줄기 연기, 화려했던 기억만 남긴다. 반면에 게틀먼의 여정은 나침반과 같은 열정을 보여준다. 나침반은 만들고 방향을 맞추는 데 시간이 걸리지만 제대로 맞춰지면 길고 구불구불한 길에서 원하는 곳으로 끝까지 길을 안내해준다.


p180

‘무슨 일이든 현재의 수준을 뛰어넘어라’


p181

[당신의 ‘최상위 목표’는 무엇인가?]


p184

하위 수준의 목표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일 뿐이다. 하위 목표를 달성하려는 이유는 단지 우리가 원하는 또 다른 목표를 얻게 해주기 때문이다. 그에 반해서 위로 갈수록 더욱 추상적이고 일반적이며 중요한 목표가 된다. 상위 목표일수록 그 자체가 목적이고, 하위 목표일수록 목적을 위한 수단이 된다.


p185

최상위 목표는 다른 목적을 이루기 위한 수단이 아니다. 그 자체로 목적이다. 일부 심리학자는 최상위 목표를 ‘궁극적 관심’ ultimate concern 이라고 부른다.

나는 최상위 목표를 모든 하위 목표에 방향과 의미를 제공하는 나침반으로 생각한다.


p187

동일한 최상위 목표에 변함없이 성실하고 꾸준하게 관심을 둔다는 의미다.

열정은 날마다 잠들 때까지 생각했던 질문을 잠에서 깨어나는 순간부터 다시 생각하게 만든다. 옆 걸음질 치거나 다른 곳으로 가지 않고 같은 방향을 향해서 한 발짝이라도 더 나아가기를 열망한다. 극단적일 경우 그런 집중력이 집착으로 불리기도 한다. 열정이 있다면 모든 행동의 의의를 궁극적 관심, 즉 인생철학에 부합하는 데서 찾게 된다.

열정은 우선순위를 확실하게 만든다.


p188

그릿은 아주 오랫동안 동일한 상위 목표를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p190

[‘할 수 있다’의 함정]


p193

가장 중요한 목표의 달성에 기여하는 정도에 따라 다수의 중간 목표와 하위 수준의 실천 목표들을 줄여나갈 수도 있다고 본다.


p197

매우 다른 상위 수준의 목표들로 활동이 분산되면 앞으로 나아갈수 없다. 궁극적인 목표는 단 하나여야 한다.


p198

이 목표들이 공동 목표에 얼마나 기여하는가?


p200

중요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에 지나지 않는 목표를 완수해 보겠다고 시간을 낭비하거나 헛된 노력을 하지는 않길 바란다.


p201

[때로는 경로 변경도 필요하다]


p202

자신의 상위 목표가 무엇인지 알 만큼 인생을 어느 정도 살고 고민도 거친 후에, 상위 목표는 잉크로 쓰더라도 하위 목표는 연필로 써야 한다. 그래서 때에 따라 수정하거나 혹은 전부 지우고 새로운 하위 목표를 대신 쓸 수 있어야 한다.


p203

그린베레의 신조 중 하나는 ‘임기응변, 적응, 극복’이다.


p216

[위인과 일반인을 구분 짓는 네 가지 지표]


p221

그릿 척도의 열정 항목

멀리 목표를 두고 일하고, 이후의 삶을 적극적으로 준비하며 확고한 목표를 향해 노력하는 정도

단순한 변덕으로 과제를 포기하지 않음. 새로움 때문에 다른 일을 시작하지 않으며 변화를 모색하지 않는 성향.


p222

그릿 척도의 끈기 항목

의지력과 인내심의 정도. 한 번 결정한 사항을 조용히 밀고 나가는 결단력.

“지능이 최상위권은 아니지만 상위권에 속하면서 끈기가 유달리 강한 이들이, 지능이 최상위권이면서 끈기가 다소 부족한 이들보다 크게 성공할 것이다.


p223

당신의 목표들을 정하고, 그것들이 열정의 대상인 단 하나의 최상위 목표와 얼마나 일관되는지를 명료화하기만 해도 발전한 것이다. 또한 현재 인생이 보내는 거절 쪽지 앞에서 당신이 얼마나 끈기 있게 버틸 수 있는지 알아가는 것도 진전이라 할 수 있다.


p223

[제5장 그릿의 성장 비밀]


p227

[그릿과 유전, 환경의 상관관계]


p238

[나이가 들수록 그릿도 성장한다]


p250

[그릿을 기르는 네 가지 방법]


p252

그릿의 전형이 사람들도 목표들을 포기한다. 하지만 문제의 목표가 상위 수준의 것일수록 그들은 고집스럽게 끝을 보려한다. 가장 중요한 점은 그릿의 전형들은 나침반을 바꾸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들은 모든 자기 행동의 지침이 되는 단 하나의 중요한 목표에 대해서만큼은 위에 열거된 발언을 입 밖에도 꺼내지 않는다.


p254

첫째는 관심이다. 열정은 당신이 하는 일을 진정으로 즐기는데서 시작된다. 내가 조사했던 그릿의 전형들도 모두 자신의 일 중에서 재미가 덜한 측면이 있었고, 전혀 즐겁지 않은 잡일이지만 참고 하는 일이 적어도 한두 가지는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체로 자기 일에 푹 빠져 있고 일에서 의미를 발견한다. 계속 일에 매력을 느끼고 아이 같은 호기심을 내비치는 그들은 ‘나는 내일을 사랑해!’라고 온몸으로 외친다.


둘째는 연습이다. 이는 어제보다 잘하려고 매일 단련하는 종류의 끈기를 말한다. 그러니까 특정 영역에 관심을 느끼고 발전시킨 다음에는 온 마음을 다해 집중하고 난관을 극복하며 기술을 연습하고 숙달시켜야 한다. 하루에 몇 시간씩, 몇 주, 몇 개월, 몇 년 동안 자신의 약점을 집중적으로 반복 연습해야 한다. 그릿은 현재에 안주하기를 거부한다. 관심이 무엇이든, 이미 얼마나 탁월한 수준에 이르렀든 상관없이 그릿의 전형들은 “무슨 일이 있어도 지금보다 나아질 거야!”라는 말을 입에 달고 산다.


셋째는 목적이다. 자신의 일이 중요하다는 확신이 열정을 무르익게 한다. 목적이 없는 관심을 평생 유지하기란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거의 불가능한 일이다.

따라서 개인적으로 흥미로운 동시에 타인의 안녕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일을 찾아내지 않으면 안 된다. 소수는 목적의식을 일찌감치 깨닫지만, 다수는 어떤 일에 관심이 생기고 수년 동안 절제하며 연습한 뒤에야 타인을 위해 봉사하겠다는 동기를 강하게 느낀다. 그러나 그릿이 발달한 사람들은 하나같이 이렇게 말한다. “내 일은 나에게도, 타인에게도 중요합니다.”


넷째는 희망이다. 희망은 위기에 대처하게 해주는 끈기를 말한다. 이 책에서는 관심, 연습, 목적 다음에 희망이 논의되지만 희망이 그릿의 마지막 단계에만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희망은 모든 단계에서 나타나는 특징이다. 상황이 어려울 때나 의심이 들때도 계속 앞으로 나아가는 법을 배우려면 맨 처음부터 끝까지 희망을 유지하는 일이 더없이 중요하다. 우리는 다양한 시점에서 크게 작게 허물어진다. 그대로 주저앉는다면 투지를 잃지만, 일어난다면 투지는 더 커진다.


p257

[제2부 ‘포기하지 않는 나’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 내 안에서 그릿을 기르는 법]


p259

[제6장 관심사를 분명히 하라]


p263

[열정을 좇는 건 정말 허황된 일일까?]


p268

[열정은 발견하고 키우는 것]


p275

내가 면담한 그릿의 전형 대부분이 여러 관심사를 탐색하며 수년을 보냈고, 처음에는 평생의 운명이 될 줄 몰랐던 일이 결국 깨어있는 매 순간과 종종 잠들었을 때까지 차지하는 일이 됐다고 했다.


p278

[열정은 계시처럼 오지 않는다]


p290

[열정적 끈기를 만들어주는 부모의 역할]


p314

[관심사를 파헤쳐라. 그리고 인내심을 가져라]


p317

[제7장 질적으로 다른 연습을 하라]


p321

[최고가 되고 싶다면 ‘의식적인 연습’을 하라]


p333

[의식적인 연습은 모든 분야에 적용될 수 있을까?]


p346

[지독한 연습의 기쁨과 슬픔]


p372

[의식적인 연습을 100퍼센트 활용하는 법]


p388

[제8장 높은 목적의식을 가져라]


p392

[더 큰 목적을 위해 움직이는 사람들]


p397

[그릿의 기초가 되는 동기, 이타성]


p405

[생업과 직업, 그리고 천직]

p413

[천직은 어느 날 갑자기 찾아오지 않는다]


p425

[승자가 되면서 동시에 타인을 돕는 법]


p439

[좋아하는일을 할 때 목적의식이 생긴다]


p449

[목적의식을 기르는 세 가지 방법]


p456

[제9장 다시 일어서는 자세, 희망을 품어라]


p458

[‘통제할 수 없다’는 생각에 가로막힐 때]


p476

[역경을 낙관적으로 받아들이는 자세]


p481

[낙관적 사고방식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p492

[말과 행동의 불일치를 경계하라]


p504

[시련에 강한 아이로 키우고 싶다면]


p517

[스스로에게 희망을 가르치는 법]


p529

[제3부 ‘내면이 강한 아이’는 어떻게 길러지는가 : 아이들의 그릿을 키워주는 법]


p531

[제10장 그릿을 길러주는 양육방식]


p537

[부모의 이기심을 엄격함으로 착각하지 마라]


p555

[당신의 아이가 그릿을 갖길 원한다면]


p581

[멘토, 현명한 교사, 지지자의 필요성]


p599

[제11장 그릿을 기르는 운동장]


p602

[그릿을 완성하는 데 필요한 특별활동]


p614

[당신의 자녀가 완성을 경험하게 하라]


p627

[가난한 아이들에게 더 필요한 그릿 교육]


p638

[어린 시절에 만들어야 할 마음의 근력]


p650

[제12장 강력한 그릿 문화의 힘]


p654

[훌륭한 팀이 훌륭한 선수를 만든다]


p662

[그릿을 설명해주는 문화와 정체성]


p670

[그릿을 키우는 문화를 만드는 법]


p702

[시호크스 팀 문화의 마력]


p722

[제13장 천재가 아닌 모든 이들에게]


p728

[지나친 투지가 나쁠 수도 있을까?]


p732

[그릿이 성공의 전부는 아니다]


자신이 하는 일을 생업, 직업, 천직으로 생각할 수 있고 천직은 어느날 갑자기 찾아오는 것이 아니라 지금 하는 일도 천직이 될 수 있다는 생각은 지금 하는 일에 대한 나 자신의 의미와 어느정도 맥락을 같이 한다.

 

나는 질 좋은 초음파 진단기를 제작하여 환자의 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데 도움을 준다.

‘내 일은 인생에게 매우 중요한 것 중 하나이다.’




댓글


브롬톤
23. 10. 07. 23:24

🌟정말 찐투자로 딱🔥 🌅진정한 완성을 위해 🔥한번만 한번만 더 💙투자 습관 응원합니다 [한줄명언] 인생이 시작하는 바로 그 시점에, 우리는 죽는다고 누군가가 알려 줬어야 했다. 그랬다면 우리는 매일 매순간을 헛되이 보내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지금 하라! 하고자 하는 일이 무엇이든, 지금 하라, 내일은 얼마 남지 않았다. / 마이클 랜던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