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A 계좌 만기를 앞둔 당신에게 드리는
비과세 혜택 활용 꿀팁
필자는 ISA 계좌를 5년 동안
직접 운용하고 있는 사람으로서,
솔직히 말하면... 잘못된 상품 구성으로 인해
계좌가 제대로 물려 있는 상태입니다.
(의무가입 기간 3년 진즉 지났는데... 휴
올해안에 그냥 손절하고 새로 만들까 고민)

그래서 준비한 이번 글!
여러분들은 "절대 이렇게 운용하지 마셨으면”
하는 마음에서 진짜 도움이 되는
ISA 계좌 비과세 관련 꿀팁을 정리해 보았는데요,
ISA는 혜택이 크지만, 잘못 운용하면
세제 혜택을 반쪽밖에 활용하지 못한 채
저처럼 계좌만 오래 끌고 가게 될 수 있습니다.
특히 만기를 앞두고 계시는 분들을 위해
상황별 현실적인 선택 가이드를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ISA 계좌 만기 해지? 연금계좌 전환?
선택 전에 반드시 알아야 할 3가지
1. ISA는 ‘의무가입기간’과 ‘만기’가 다릅니다.
▶ 의무가입기간: 3년(세제 혜택
적용에 필요한 최소한의 가입기간)
▶ 만기는 3년부터 수십 년까지
자유 설정이 가능하답니다.
※ 만기일 3개월 전부터 하루 전까지
얼마든지 변경 가능!
단, 만기 도래 후에는 연장 불가하니
내 ISA 계좌 만기가 언제인지 잘 체크합시다!

2. 의무가입 3년만 지나면 중도 해지해도
비과세· 저율과세 혜택이 유지됩니다.
▶ 가입기간동안 발생한 이익을 통산하여
일반형 200만 원, 서민형/농어민형 400만 원
비과세 적용, 이후엔 9.9% 분리과세 적용
구분 | 일반형 | 서민형 | 농어민형 |
가입요건 | 만 19세 이상 거주자 or 직전연도 근로소득이 있는 만 15~19세 미만 거주자 | 직전연도 총 급여 5천만 원 or 종합소득 3,800만 원 이하 거주자 | 직전연도 종합소득 3,800만 원 이하 농어민 거주자 |
의무 가입 기간 | 3년 | ||
납입한도 | 최대 1억 원(연간 최대 2천만 원) * 당해 연도 미불입 시 다음 해로 이월 가능 | ||
비과세 한도 | 200만 원 | 400만 원 | |
비과세 한도 초과 시 | 9.9% 분리과세 적용 | ||
중도 인출 | 총 납입원금 내에서 횟수 제한 없이 중도인출 가능 * 인출 금액만큼 납입한도 미복원 | ||
솔직히 국내 상장 해외 ETF
매매차익에 대한 세금도 15.4%고
배당소득세도 15.4%이다 보니
ISA 계좌에서 이러한 수익들에 대해
비과세 혜택 및 9.9% 분리과세만 해줘도
세금을 훨씬 덜 내게 되는 셈입니다.
따라서 미국 현지 상장 etf 투자로
연 양도소득세 비과세 한도인 250만 원 이상을 채웠다면,
나머지는 국내 상장 해외etf를 ISA계좌에 담는다면
세금을 더 아낄 수 있겠죠?

3. 만기 연장은 만기 3개월 전~
전날까지 가능, 만기가 지나면
연장이 불가능합니다.
그렇다면 ISA 계좌 만기를 앞두고
취할 수 있는 선택지는 어떤게 있을까요?
]
선택지 ① 만기 연장
ISA 계좌 해지를 고민 중이라면,
먼저 아래 내용부터 확인하고
만기 연장을 고민해 봅시다.
◽ 이런 분의 경우 계좌 재개설보단
만기 연장이 더 적합!
① 아직 연간 2,000만 원 납입 한도와
비과세 한도(200~400만 원)가 남았다.
② 앞으로 더 투자하고
절세혜택을 극대화하고 싶다.
③ 서민형 ISA라면 비과세 400만 원 혜택을
계속 누리고 싶다.
보통 아래와 같이 내가 가입한 ISA 정보를
증권사 MTS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저의 경우 계좌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해서
중도인출을 많이 했지만
아직 납입가능 한도도 있고 절세 금액도 남아서
일단은 기존 계좌를 유지하기로.!
(게다가 귀한 서민형 계좌라 잘 지켜야 함)

◽ 장점
▶ 기존 ISA 혜택 그대로 유지
▶ 납입 한도 이월로 절세효과 극대화
◽ 주의점
- 만기 연장 신청은 만기 전에만 가능
- 특히 서민형 ISA 계좌의 경우,
연 이자/배당소득 2000만 원 이상인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자가 되거나
소득 요건(총급여 5,000만 원 이하)을
충족하지 않으면 재가입이 불가능하므로
기존 계좌 유지가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
선택지 ② 해지 후 재가입
현재 ISA에서 비과세 한도
(일반형 200만·서민형 400만)는 물론
5년 1억 납입 한도도 모두 채웠다면,
해지 후 재가입을 선택할 수 있겠습니다.
◽ 이런 분에게 적합
▶ 납입 한도 및 비과세 한도를 다 채웠다.
▶ 3년 정도 후에 현금화가 필요한
단기 자금을 불리고 싶다.
◽ 장점
비과세 한도·납입 한도 모두 리셋
더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싶은 사람에게 유리
◽ 주의점
- 현재 보유중인 주식은 모두 매도하여
현금화 해야만 새로 만들 수 있음.
(제가 그래서 마이너스가 심해서
새로 못만들고 있었던 것인데요..
ISA계좌 투자종목 선택이 이렇게 중요 ㅠㅠ)
- 서민형 가입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면
일반형으로만 가입 가능

선택지 ③ 해지 후 연금계좌로 전환
(가장 혜택 큰 선택지!)
지금 당장 돈 쓸 일이 없고
만기된 ISA 계좌의 자금을
장기적인 자산으로 운용하고 싶다면,
ISA → 연금계좌(연금저축· IRP) 전환이
위의 두가지 선택지보다
절대적으로 유리합니다.
◽ 혜택
ISA 해지금의 10% 추가 세액공제
(최대 300만 원까지)
→ 예: 300만 원 전환 시
30만 원 세액공제 혜택
연금계좌로 옮기면 장기 복리 효과 극대화
연금저축/IRP에서 ETF 100% 투자 가능
◽ 주의사항
▶만기일 이후 발생한 수익은
종합과세대상이므로,
만기 해지 시점으로부터 반드시 60일 이내
이전 신청을 해야 한답니다!
▶ ISA에서 연금계좌로는
현금 상태로 이전해야만 인정됩니다.
(ETF· 주식을 ‘실물이전’하면 인정 안 됨)

연금계좌로 이전 후엔
ISA 계좌를 새로 만들어서
새로운 절세 혜택을 누린다면
더욱 금상첨화겠죠??!
여기까지 isa 계좌 만기를 앞둔 당신에게 드리는
5년차 사용자의 찐 꿀팁이었습니다.
만기를 앞둔 지금, 연장 또는 재가입할지,
연금으로 옮길지 고민하신다면
오늘 정리해드린 기준으로
차근차근 점검해 보시길 바라고요,
아래 글에서 ISA 계좌 관련
더 많은 꿀팁들을 확인하실 수 있으니
참고해 보세요 ▼ ▼
https://blog.naver.com/ssibar1188/224041692665

댓글
킴찹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