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지방투자실전반 21기 17조 해요] 1강 강의 후기

  • 24.07.08


안녕하세요. 해요 입니다.

처음으로 듣게 된 지방투자실전반 1강 강의 후기 올립니다.


투자자라면 좋고 나쁨에서 끝나면 안된다.


하나의 투자 물건을 찾기 위해서 매번 반복해서 단지와 단지를 붙여서 비교해보고

이 단지가 선호가 있는지 없는 지를 파악하기 위해 항상 노력했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선호가 있는 것에만 집중했지 선호가 없는 것에 집중하는 건 간과했던 부분인 것 같습니다.

'이 단지 별로네' 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다음 단계인 가격까지 보고 투자금이 얼만지 확인하는 것.

그리고 투자할 수 있다면 투자하는 것. 기본이지만 간과했던 부분을 짚어주셔서

편견을 갖지 않고 물건을 봐야겠다고 느꼈습니다.


또 한 가지. 지방에서 대장 단지라면 사도 되지 않을까?


이 강의를 듣기 전까지 계속해서 서울 수도권을 돌며 투자 가능한 지역들을 검토했기 때문에

강의에서 나온 이 질문이 공감이 되었던 것 같습니다.

'서울 수도권은 장기적 우상향 관점에서 길게 가지고 갈 물건을 찾는거니까 지방도 가치있는 물건은 우상향

하지 않을까?' 하지만 이 질문 또한 상상과 생각으로만 판단할 것이 아니라

투자자라면 랜드마크라고 하더라도 가격이 싼 지, 투자금이 얼마가 들어가는지, 그 투자금이면 더 좋은 곳

(서울 수도권 등)을 할 수 있는지, 감당 가능한 지 기준에 맞춰서 해야 한다.

일반적인 생각으로 단순하게 생각할 것이 아니라 더 명확하고 촘촘한 기준을 가져야 겠습니다.


지역별 특성 파악하기


이번 강의를 시작하고 튜터님이 배정이 되고 튜터님이 알려주신 방법으로 임장을 하게 되었습니다.

(우도롱튜터님 감사합니다)

이전과 다르게 임장했던 부분은 입지적인 부분과 입지 이외의 부분에서 선호특징을 정리해가며

임장했던 점이였습니다. 단순히 이 단지는 어떤지 에 대한 내용만 정리하는 것이 아니라 조원분들과

이 단지의 입지적인 장점이 무엇인지 그 외의 사람들이 왜 이 단지를 선호하는지를 이야기를 나누면서

다니다 보니 그 생활권에 대해서도 좀 더 명확하게 정리가 되고 지역의 특징이 좀 더 다가왔던 것 같습니다.


강사님, 튜터님과 저와 다른 점은 그 지역을 바라보는 기준이 명확한지 아닌 지의 차이인 것 같습니다.

이해가 가지 않으면 공감하고 공감이 되지 않으면 외우기라도 해도 그 지역의 가치가 무엇인지

명확하게 알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지방 투자를 어떻게 해야하는지 A TO Z 까지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꼭 실전에 적용해서 실력있는 투자자가 되겠습니다.




댓글


성공루틴
24. 07. 08. 01:21

해요님 고생 많으셨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