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돈 버는 독서 모임] 나는나의스무살을가장존중한다 - 독서 후기

  • 24.07.10

핵심 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 무의식   #삶의 기본기(독서,운동,명상)   #'충실히'살자

도서를 읽고 내 점수는 (10점 만점에 ~ 몇 점?) : 8점


[인상 깊었던 구절들과 느낀점]

40) '무의식이 만든 생각'이 현실을 만들지만, '내 생각'이 현실을 만들지는 못한다.

~내가 아무리 '부자가 되어야지'라는 다짐을 해도 가난한 현실이 펼쳐지는 이유다. 무의식이 '나는 부자가 아니다'라는 생각으로 각인되었기 때문이다.


41) 무의식의 의도와 당신의 의도가 일치할 때, 무의식은 공명이 되어 현실에 드러난다.

무의식을 부와 행복으로 각인하라.


47) 분석심리학의 대가 칼 융-'무의식을 의식화 하지 않으면 무의식이 삶의 방향을 결정하고, 우리는 이것을 운명이라 부른다'라고 했다.

결국 운명은 무의식이 결정한다. ~ 내면에 단단히 박혀 있는 그 관념이 미래의 모습인 것이다. ~우리는 그것을 고정관념이라 부른다. 관념이 고정될 정도로 강력하게 박히면 그 운명에서 벗어날 수 없다.


49) 일상이 된 생각은 미래를 바꿀 수 있다. 이것은 막연한 망상이 아니다. 기억이 된 상상의 힘이다.

'미래를 기억할 때 그 미래가 나에게 펼쳐진다.'

=> 사실 나도 이러한 흐름에서 매일 하는 생각이 있다. 무의식에서는 진짜 될까? 와 진짜 될거야. 라는 생각이 매번 충돌한다. 하지만 더 이상 의심없이 생각의 힘을 믿으려고 노력해야겠다.


52) 실패의 당연함을 알고 나서는 두려움이 없어졌다. ~그리고 실패의 당연함이 쌓여갈 때, 성공의 당연함도 생기기 시작했다.


53) 당연한 실패지만 실패의 두려움이 없기에 도전할 수 있다. 적어도 그 때 변화와 움직임이 일어난다. 그 변화와 움직임이 바로 우리의 운이다.


57) '사는 게 즐거워지면 삶의 모든 문제가 해결된다.'


65) 두려움과 결핍감, 그것은 인간이 가진 근원적 감각이다.

~ '나는 결핍된 존재다'라는 관념은 소유욕, 관계욕, 명예욕, 권력욕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한다.


~80) 부자로 성장하는 근본 원리 3가지

질문은 '답'을 위한 것이 아니라, '변화'를 위한 것이다.

질문은 '당다시'다. 당연한 것을 다시 보는 시선이다.


나는 대중과 얼마나 다른 생각을 하고 있는가? 얼마나 다른 일상을 사는가?

'다름'이 많아질 때 성장할 수 있다.


대중과 다른 삶을 살아라. 첫째, 기록하라. 둘째, 명상하라. 셋째, 움직여라.


88) 인상은 마음에 박힌 이미지다. ~외모는 해석된 것이지만, 인상은 각인된 것이기 때문이다.


103) 우리는 미래를 알고 싶어 한다. ~그리고 생각으로 미래를 예측하려 한다. 그 예측을 미래 모습으로 가정하고 '모름'으로 오는 두려움이 사라질 거라 기대한다.

=> 좀 찔렸다. 현재 이민을 준비하는 과정 속에서도 최대한 미래를 예측하기 위해 골머리를 앓고있다. 두려움을 어느정도 해소하기 위해서다.


왜 예측은 틀리고, 예감은 맞는 것일까?

미래 예측은 과거의 기억을 토대로 한다. 그래서 우리는 늘 실패한다. 과거의 실패 경험만 반복하게 된다.

이런 미래 예측은 의미가 없다. 두려움을 전제로 하는 예측은 늘 부정적 미래와 연결되기 때문이다.

불안한 예감은 늘 틀리지 않는다. 일상이 된 두려움 속에서 미래를 예측하기 때문이다.

=> 그래, 두려움을 일상화하지말자. 과거의 기억을 토대로 예측하지말자. 지금까지 이랬는데, 거기서도 잘 할 수 있을까? 지금도 못하는데, 거기서는? 이런 식의 예측은 도움이 되지 않아.


106) 내면의 온도를 높여라. 굿 바이브(good vibe)를 지니고 살아야 한다.

인생은 변화하지 않아도 될 수백 가지의 이유를 가지고 있다. 그게 바로 무의식 때문이다.


107) 변화의 출발점, 지금의 느낌을 변화시켜라. 그리고 그 변화를 통해 미래의 모습을 맞이하라. 그 시작이 미소다.

~결과는 과정에서 오는 것이고, 즐거운 과정은 반드시 즐거운 결과와 연결된다.

애플 창업자 스티브 잡스는 "인생의 점들은 연결되어 있다.", 반드시 기억하자. 불행한 예감이 틀리지 않듯, 행복한 예감도 '결코' 틀리지 않는다.


109) 용서는 도덕적이고 윤리적인 의무감을 위해 하는 게 아니다. 과거로부터 자유로워지기 위해 필요다. ~과거의 상처는 우리를 그 자리에 머물게 한다. 해결되지 않은 내면의 상처는 '뿌리 감정'이 된다. 그 뿌리가 내 삶에 어두운 열매를 맺고 있다.


110) 나와 남의 관계는 사실 나와 나의 관계가 표현된 것이다. 내 안에 상처받은 뿌리 감정이 그를 통해 표현되는 것이다. ~이것이 인간관계의 핵심이다.


122) 풍요만 추구하고, 풍요만 펼쳐지는 인생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 환상에서 벗어나라. 완벽은 없다. ~ 아직 덜 익은 당신의 삶, 그 삶을 사랑하라. 이미 그 자체로 완전하다.


126) 책은 목표가 아닌 수단이 되어야 한다.

독서는 종이에 박힌 활자를 읽는 게 아니라, 그 활자가 내 언어로 변해가는 과정이다. 작가의 생각을 해체하고, 나의 생각을 해체하여 새롭게 편집하는 시간이다. 그 과정에서 내 생각이 바뀌고 나의 말이 달라지게 된다. 나만의 새로운 언어, 매터드(meta+word)가 생기기 때문이다.


평소 어떤 단어를 자주 사용하는가? 그 단어가 당신의 세상을 만들고 있다. 그것을 풍성하게 채우고, 변화시키는 힘이 바로 독서다.


132) 철학자 쇼펜하우어 - '삶은 고통과 권태를 오가는 시계추와 같다'

시선의 힘: 고통과 권태와 떡이 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나에게 나타났음을 알아차리는 힘


133) 고통과 괴로움은 정신력으로 극복하는 게 아니다. 체력으로 극복해야 한다.


134) 운동을 하면 몸이 상쾌해진다. 가벼운 몸이 주는 즐거움이 있다. 그 즐거움이 마음으로 이어진다. 몸과 마음은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마음이 유쾌해지면 우리의 시선은 명쾌해진다. 세상을 보는 눈이 선명해지고, 순간적으로 나를 바라보는 시선이 생긴다. 마음의 눈이 떠지기 때문이다.

뇌과학적으로 볼 때는 ASPA(Amygdala Stabilization PFC Activation) 를 통해 시선이 높아진다. 우리 뇌에 두려움을 느끼는 편도체(Amygdala) 는 운동을 통해 안정화 된다.


136) 우리 생각의 90% 이상은 '부,무,반'이다. 부정적인 것, 무의미한 망상, 그리고 이 둘의 반복.


145) 모닝 리추얼로 아침을 맞이하라.

지속되는 관성이 나의 무의식을 파고든다. 무의식에 각인된 행동은 어느새 내 생활이 되고 편안함을 느끼게 한다. 이것이 습관의 원리다.


인생을 바꾸는 아침 습관 3가지

(1) 침대정리

(2) 자신의 이름을 부른다.

(3) '아이는'이라고 말한다.

미소는 내 마음을 웃게하고 내 주변을 웃게한다. 그 시작이 '아이는'이다.

=> 오 나 그래도 잘하고 있네. 침대정리는 꽤 많이 나오는 습관이다. 이제 내 습관에 추가해야지.

내 이름을 부르며 '나의 00아, 네 덕분에 이번 생은 너무 행복해.' : 그 '참나'와의 만남은 이 짧은 순간에 나타난다.


154) 인간은 본능적으로 남의 행동을 따라 하는 무의식적 반응이 있다. '미러 뉴런(mirror neuron)'

상대방의 미소가 나에게 좋은 느낌과 긍정의 감정을 만드는 이유다.


157) 생각을 정리하는 3가지 방법

(1) 생각 정리 시작은 지식화다.

(2) 직접 경험하는 것이다.

(3) 키워드 정리 과정: 몸으로 기록된 일상을 자신의 키워드로 정리하는 것


162) 시간, 공간, 인간을 리셋하라.

우리는 3간(시간, 공간, 인간)의 산물이다. 독서 시간, 단골 공간 그리고 친구들이 내가 어떤 사람인지 알려준다.

~어제와 똑같은 시간을 보내고, 똑같은 장소를 오가면서 인생이 바뀌길 바라지 마라.


172) 돈이 주는 느낌의 변화, 그것은 나에게 있어 부자가 되는 가장 빠른 길이었다.

그 시작은 바로 돈에 대한 앎이었다. '돈이란 무엇일까?' 돈에 대한 고민과 돈에 대한 정의, 그리고 그것에 대한 생각과 사유, 그로 인한 돈의 앎, 그 과정이 부자로 가는 나의 발걸음이었다.

~사람들은 대부분 돈에 대한 앎이없다......

소유의 전제는 앎이다.

=> 머리를 한대 얻어맞았다. 나는 돈에 대해 알고 있을까? 돈이란 무엇인가? 돈에 대해 알기위해 노력해야겠다.


[ 연관 지어 읽어 볼 만한 책 한 권을 뽑는다면? ]

 : 웨인 다이어 <우리는 모두 죽는다는 것을 기억하라>

: 론다 번 <시크릿>


댓글


룰루lulu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