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의 강의를 들어서 와닿은 점이 더 많았습니다.
결론은 서울이냐? 경기도냐? 신도시냐? 또는
연식이 좋은 경기도 단지냐, 구축인 서울 단지냐
이런식의 이분법적인 답이 아니었습니다.
단지 대 단지로 비교평가하는 방법을 새롭게 알려주셔서 위 방법으로
비교해서 투자한다/안한다의 결론을 적용해보고 싶습니다.
싸다면, 내가 투자할 수 있는 상황이라면 하는 겁니다. 지금 시장은 그런겁니다.
라는 부분이 가슴에 콕 박혔습니다.
결국 우리는 싼거를 사고 장기보유를 하고 전세상승분을 기대하여
투자금을 회수하는 것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