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지방투자실전반을 수강하면서 하루 하루 성장하고 싶은 마음이 커져 나가는 같이투자자입니다.
2주차는 게리롱 튜터님께서 진행해 주셨는데요, 강의 듣고 앞으로 해내야 할 노력들이 좀 더 구체화 된 것 같아 깊이 감사드립니다.
비교평가와 1등뽑기에 대해 잘 몰라서, 항상 답답했던 부분들에 대해 궁금증이 해소 된 것 같아 배운점과 실천해야할 부분을 기록해 보고자 합니다. 이번 주차는 꼭꼭 복기를 하면서 수익률 200%를 목표하며 수강률 200% 먼저 달성해 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I 배운점
1) 비교평가의 기본원칙
- 가격을 고정하고 가치를 비교(같은 가격이면 더 좋은 것)
- 가치를 고정하고 가격을 비교(비슷한 가치이면 더 싼 것)
- 가격/가치가 고정이 안될 경우 가치 순서대로 가격도 비쌀 때 가치보다 가격이 더 싼 것
ㄴ 과거그래프를 통해 매매가 흐름을 확인(단순 전고체크X) & 현재 가격차이를 확인
ㄴ 가치는 장기적으로 제 가격을 찾아가기 때문
2) 그래프 비교 활용방법
- 흐름이 같은 지역 내 단지끼리 비교(지역별 가격흐름이 다른 곳까지 한번에 보려하면 왜곡이 발생)
- 5년이상 지난 단지로 비교(거래실적이 충분히 찍혀있어야 정확한 가격흐름 파악이 가능)
- 단지 갯수는 최대 3개만 한정(정교하고 정확한 비교평가가 필요)
3) 20P vs. 30P 비교평가
- 단순히 20P가 30P 대비 얼마나 싸야 적절한지에 집착하지 말고, 지방에서의 20P 물건의 가치를 이해하는게 훨씬 중요!
- 20P는 30P와 맞먹을 만한 선호도가 있어야 함, 그러기 위한 필수 요건을 꼭 체크할 것
- 선호도 파악 이후, 그 물건 자체의 가치를 비교
- 더 저평가&투자금 적게두는 물건 투자!
4) 지역 간 비교평가
- 기본적으로 지역 내 비교평가와 동일하게 진행하되, 도시의 체급과 위상을 알고 있어야하고, 큰 그림을 이해하고 접근 필요함(체급결정요소: 인구수/양질의일자리/압도적 선호요소(학군,환경 등))
5) 1등뽑기의 의미
- 1등뽑기와 비교평가는 같은 의미가 아님, 1강 권유디 튜터님께서도 강조한 부분으로 비교평가는 철저히 저평가에 초점을 둔 것(저평가 1등이 나의 투자 1등이 아닐 수 있음을 이해하고, 저평가는 투자자와 상관없이 절대적인 것이고 1등뽑기는 개인별 상황마다 달라진다)
- 비교평가 이후, 투자금과 리스크 프로세스를 모두 거쳐 나오는 과정이 1등뽑기임을 잘 기억하고 비교평가 시 투자금을 끌고 들어오면 안 됨을 기억
I 적용할 점
이번 임장지에서 강의에서 배운 비교평가와 1등뽑기를 착실히 따라해 나가면서 감을 익혀야 한다. 확실히 강의 들으면서 기존에 내가 거쳤던 과정에 개선이 꼭 필요하단 걸 느꼈다.
강의 후반부부터는, 투자를 가능케하기 위한 과정에 대해 집중적으로 배웠는데
지투수강하면서 스스로에게 부족함을 많이 느꼈던 부분이 그동안 공부만 하려고 했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다시 한 번 나는 학생이 아니라, 투자자로서 이곳에 와있다는 것을 망각하지 말고, 시세트레킹과 앞마당 1pg를 배운대로 성실히 해보자.
특히 앞마당 1pg는 지투와서 사실 처음 봤는데,, (기존에 강의에서 배웠는데 놓친 건지 모르겠으나..)
감사히도 양식 등도 제공해 주셨으니 꼭 해서, 여러 노력이 묻어있는 앞마당을 투자의 영역으로 옮길 수 있도록 하자.
나는 투자자다. 여러 튜터님들, 동료분들과 끝까지 함께 뛸 수 있는 기회는 내가 만들 수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