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나즈카23입니다.
월부에서 두번째로 들었던 수업, 실준반에서 밥잘님을 처음 봤는데 이번에 또 강의를 들을 수 있게 되서 너무 좋았습니다.
실준에서는 밥잘님 강의를 통해 임보 쓰는 법을 배울 수 있었고, 임보를 쓸 때마다 참고하고 있는데
이번 지투에서는 지방투자 할때 밥잘님만의 단지선호 방식(선호도와 연식), 투자대상 선정하는 방식, 지방투자 로드맵이 너무 좋았습니다.
1. 지방투자
- 가격이 싼데, 지금 더 싸졌다.
- 싸진 것 중 투자금도 적게 들어가는게 있다.
- 싸이클이 짧아 투자금 회수가 빠르다.
BM
내가 지방투자를 해야 하는 이유는 너무나 명확하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건 짧은 사이클을 통해 투자 경험과 실력을 쌓음으로써 궁극적으로 가치성장투자를 하기 위함이라고 생각된다.
아직 앞마당과 실력이 부족하며 수도권, 광역시, 중소도시에 대한 가격의 기준치가 없는데, 이번 중소도시 임장/임보를 통해 중소도시의 가격 기준을 설정해야겠다.
2. 지방투자법: 가치성장투자 vs 소액투자
지방가치투자는
- 지방이든 수도권이든 비슷한 것 같다.
- 특히 매매 전세가 근접할 때 매매가 기다려주지 않는다는 말이 가치성장투자를 반증하는 것 같다.
- 전고 대비 30% 이상 하락한 가치대비 저평가 지역,
최근 임장지였던 대구 수성구가 전고 대비 30% 이상 하락한 걸 볼 수 있었는데 투자금, 유동성 자금 확보가 중요하다는 말 명심해야겠다
소액투자는
- 절대적 저평가와 상대적 저평가 모두 봐야 한다
- 전세가율 80% 이상!!
BM
지방 가치성장투자로 광역시 세곳이 예로 나왔는데 적어도 같은 광역시의 2개 이상의 구를 앞마당으로 만들어야겠다
임장지역의 전세가율 주의깊게 봐야겠으며 앞으로 시세트래킹은 필수
지방 도시 선호 우선순위, 아직은 많이 어려운데 여러번 보고 왜 그런건지 생각, 또 생각해보기
3. 지방소액투자 핵심
가치대비 저평가, 적은 투자금, 리스크의 대응 순서대로 봐야 한다.
반드시 가치대비 저평가가 우선 판단 요소!
BM
앞마당 비교해보자
4. 비전보드 달성하는 로드맵
BM
밥잘님이 제시해준 '전국 투자자 마스터 플랜'을 보니 3년치 앞마당 계획을 대략적으로 세워놓았던 시점이 떠 오른다.
불과 몇개월 사이에 마음이 지쳤지만, 밥잘님의 플랜을 보고 다시 한번 시작해봐야겠다.
2023년이 석달 남았지만 그 사이에 중소도시 2개, 광역시 1개를 목표로 해본다!
아직 강의 내용을 온전히 흡수하지 못해 여러차례 복습을 해야하지만,
마지막에서 밥잘님이 그려주는 비전보드에서 힘을 받아봅니다!
남은 주차도, 그리고 앞으로의 투자도 모두 화이팅!!!!
댓글
나즈카23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