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지투18기 10사리 포기하지 않는 다둥이s 공간랜딩= 1강 후기(밥잘사주는부자마눌)_ 지방 다니는 목적이 분명해진 강의

  • 23.10.11




강의 초반에 비전보드를 달성하려면 '인생에서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한 5단계'를

실행하면 된다고 하셨습니다. 그 중 보통

3,4,5 단계가 우리가 막혀있기 때문에 어려워한다고 합니다.


지투반을 듣게 되면서 긴장감을 느끼고 있었는데 이유가

3,4,5단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써보고, 대비를 못하고

있었기 때문이었습니다.

(강의 시작부터 해답을 얻기 시작했습니다.

자기 전에 기록으로 3,4단계를 구체적으로 짜보려고 합니다.)


이제부터 밥잘 튜터님의 강의를 들으며 느낀 본깨적을

남기려고 합니다.


---------------------------------------------------------------------------------------


#지금 지방투자가 기회인 이유


기초반을 들으며

현재 지방투자를 해야하는 이유는

내가 가용할 수 있는 투자금이

적고, 그렇기 때문에

수도권이 아닌 지방부터 시작해야 한다고만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비슷한 투자금으로 할 수 있는

수도권의 단지들도 물론 존재하지만

같은 투자금으로 고를 수 있는

수도권 VS 지방 단지

본다면, 수도권의 단지가 지방보다 떨어지기 때문에

더 좋은 걸 선택해야 하는 우리는

지방을 선택해야만 하는 것이었습니다.


지방을 가야하는 건 더 좋은 투자 기회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리고 지방의 시장 싸이클이 짧기 때문에

투자금 회수가 빠릅니다.


지방을 선택해야 하는 목적이 분명해졌습니다.

단순한 연습으로 가는 시간이

아니고, 좋은 기회를 찾으려는 적극적인 자세를

갖겠습니다.


BM:

투자자는 현재 지방에 좋은 기회가 있기 때문에 가는거다.

적극적으로 싼 가격에 적은 투자금으로 할 수 있는 물건들을 찾자.


----------------------------------------------------------------------------------------


# 최고의 성과를 내는 지방투자법


지방 소액투자의 특징에 대해

과거에는 '어느 정도 연식이면

투자가 가능하구나. 암기하자.' 라는 느낌으로 수업을

들었던것 같습니다.


하지만 실거주 만족도가 있는 생활권이고

평균 이상의 단지라면

투자대상으로 다 볼 수 있다는 것을

받아 들여야 겠습니다.


두려움이 생겨, 더 좋은 곳을 찾으려고

하는데 초보 투자자의 관점이라는 말에

'수긍' 했습니다.


'싼 가격'이고 사람들이 '선호하는 생활권, 단지'라면

시간이 흘러 수익실현을 하고 갈아탈 수 있을텐데

리스크에 대한 걱정때문에

실질 투자까지 이어나가지 못 하는게

가장 큰 문제점인 것 같네요.

(투자 기준과 맞는 단지라면

믿고 선택을 하겠습니다.)


지방 주요 임장지 정리를 보며

가격결정요소가 도시별로 다르고, 중요도 또한

다르다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아직 많은 도시를 가보지는 못 했지만 권역이 다른 곳들을

몇 군데 가보면서


도시 별 특징을 알고 있어야 가치 판단을

제대로 할 수 있고, 중요도는 현장을 통해서

자신의 느낀 기준으로 평가를 내리면서 세우면

되겠다고 느꼈습니다.


수업에서 알려주신 가격결정요소는 앞으로

그 지역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줄 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많이 알려진 단지의 한정된 매물만 보지말고

덜 좋은 것에, 관심이 없을때 더 싸게 구할 수 있는

기회가 있다는 것을 명심하겠습니다.


BM:

사람들이 선호하는 생활권의 단지고, 평균 이상의 가치가 있다면

투자 대상으로 보고, 관심을 가지자.


----------------------------------------------------------------------------------------------------


#비전보드를 달성하는 로드맵


첫 시작으로 2009년도 서울 하락 후 바닥을 다지는 기간이 4~5년이

걸렸다는 이야기와 그 이후 2009~2014년에 투자가 가능했던

사례들을 알려주셨습니다.


이 사례가 현재 전세가율이 낮아서

투자를 바로 할 수 있는 곳이

안 보이는데 계속 지방임장을

다니는 저희에게

희망을 주는 과거의 사례 입니다.


'미리 준비를 하는 자에게 기회가 찾아온다는 말'

들어서 알고 있지만 실제 사례로 다시 보니

'동기부여'가 됩니다.


'변화 속도와 변화의 수준 그리고 양자 사이의 관계'

의 그래프를 보며 속도가 빨라야

'수용가능한 수준' 그리고 '탁월한 기준'까지

수준을 높일 수 있다는 말이

왜 지투반에서 한계를 뛰어넘는 원씽을

세우고 도전을 하는지

이유를 설명해 줬습니다.


두려워만 하지말고 정신 차리고

원씽을 이루는데 계획과 실행

생각하고 몰입하겠습니다


BM:

변화의 속도를 높혀 변화 수준을 임계점을 넘기자.











댓글


공간랜딩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