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낀점
3주차에서는 신도시 C지역과 D지역의 지역분석 및 시세분석,
투자까지 비교 프로세스를
제주바다님의 힘있는 어조로
귀에 쏙쏙 박히는 밀도있게 공부하는 시간이었습니다.
서울은 좋은 투자처이지만 갖고 있는 것을 다 넣고 기다릴것인가....
제주바다님의 이야기가 내내 남습니다.
그래서 경기도까지 넓게 봐야하고
서울을 같이 봐야 한다는 것이
더 좋은 투자처를 찾는 기본 자세임을
다시한번 깨닫게 하는 강의 였습니다.
#알게된점
-D지역 공급은 재개발 재건축 그리고 진해상황까지 꼼꼼하게 체크해야 한다.
>>재개발 재건축은 서울과 다르게 엄청난 속도로 진행되기 때문에 지지부진하다가도 빠르게 진행되는 특징이 있다. 공급과 전세가 상황을 지켜봐야 한다.
-역세권만 의미있게 보는 것이 아니라 내 투자금에 맞으면 후순위 생활권도 의미있게 봐야한다.
>>인접한 지역에서 지하철로만 이동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버스로 지하철로 이동하기 편하거나 갈아타지 않는 버스노선이 있는지도 고려해봐야 선호도를 더 잘 관찰할 수 있다.
-C생활권의 경우 역세권보다 주변환경요소떄문에 단지 선호도가 있는 경우가 있다. 그 지역만의 특징을 단지 분석에서 알 수 있어야 한다.
#적용할점
1.지역의 소비력이 이 지역의 가격을 받쳐주는 요인일 수 있다. 지역의 소비력을 지역분석시 BM하기
2.지역마다 상위개념, 예를 들어 학군 또는 환경 또는 교통 정리하기, 또 생활권마다 적용해보기
3.투자처에 대안을 항상 생각하기
C지역과 D지역이 앞마당이 아니라서 깊이 이해하지 못하는 듯해서 조바심이 났습니다. 얼른 앞마당 만들러 가야겠습니다. 깊이 있는 지역분석과 투자 비교과정 설명해주신 제주바다님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