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생각 '나름' 입니다 :)
실전반 5주차가
마무리되었습니다.
5주간 (추석까지 6주의 행운!!)
첫 실전반에 푹 빠져 살며
성장이라는 뿌듯함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1.나는 왜 이렇게 OO하지?
1년이상 풀리지 않던 질문들
마지막 5강은
실전반 수강생들의 QnA를 모아
다수가 궁금해하는 부분에 대해
주우이님께서 답변을 해주셨습니다.
지역에 대한 질문
임장에 대한 질문
임보에 대한 질문
투자에 대한 질문
마인드에 대한 질문
으로 풍성하게 준비해주셨습니다.
제가 제출한 질문이 채택되지는 않았지만
비슷한 질문이 나와
답을 얻을 수 있었고,
다수가 궁금해하는 질문은
저에게도 분명히 도움이 되고,
또 저는 궁금해하지조차 않았던 질문에서도
배울 점이 많아
너무 알찬 시간이었습니다.
특히 질문들에 대해
애매하거나 돌려서 말씀하시지 않고
직설적으로 설명해주셔서
명쾌했습니다.
여러 질문 중
제가 1년이상 공부해오며
고민이던 질문도 있었는데
두자리 숫자로 딱 명시해주셨습니다.
QnA에 나온 내용들을
꼭 제것으로 다 소화할 수 있도록
정리하고
다시 읽고
적용하는 것을
반복해 나가겠습니다.
2.1등뽑기 아니 3등까지 가능 마법의 툴
5순위 순위표
작년 처음 들었던 열반중급반에서
5순위 순위표를 강의해주셨었는데
그때는 임장보고서를 제대로 써본적이 없어
그런게 있구나.. 하고 말았습니다.
(알려줘도 적용하지 않는 어리석음)
5순위 순위표를
다시 설명해주셔서
작년의 강의자료도 다시 찾아보며
이렇게 계속 비교해가면
가로세로 비교르 계속 하니까
1등도 뽑고
1등이 날라가도
2등 3등 후보까지 뽑을 수 있겠다!
싶어서
꼭 적용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3.운동하세요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
지난 7월 돈독모에서 만나 파트라슈 튜터님께서
투자 잘하는 사람은
오래 투자하는 사람이라는 말씀이
당시 병원을 다니던 저에게
용기와 희망을 주셨습니다.
당시에는 임장을 못가는게 속상했지만
그 덕분에
9월에 실전반도 듣고
임장와 임보를 통해
투자자로 성장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저는 9월에 또 병원행을 하게되었습니다.
최종임보를 제출하고
추석 당일 응급실까지 다녀왔습니다.
코땡땡도 독감도 아니라는데
거의 2주르 앓아 누울 정도로
독한 감기였습니다.
최근 기억난 10년 이상
감기에 걸린적이 없었는데
체력이 약해졌다는 생각을
누워있는 동안 떨칠 수 없었습니다.
이렇게 아파서 또 다음달에 임장 못가면
또 임보도 못쓰고 누워만 있어야 하면
내 노후는 어떻게 되는거지?
노후도 노후인데
당장 투자금도 못모으면 최악이다.
"운동해야 투자할 수 있다"
"투자자가 되면 살기위해 저절로 운동하게 될거다"
여러 튜터님들의 조언이 떠올랐습니다.
주우이님도
지행용훈평과 같은 수준으로 중요한게
운동=체력 이라고 하셨습니다.
여러 튜터님
그리고 주우이 멘토님도
강의 마지막에
강조하셨기 때문에
지금 저에게 중요하다고 생각이 들고
시장에서 오래 살아남기 위해
체력을 챙기도록 하겠습니다.
종잣돈 쌓듯이
체력도 쌓기 위해
조언을 구하고
전략과 계획을 정비하겠습니다.
계획을 너무 거창하게 잡으려고
하지 않으셔도 되요.
그 꿈에 관해서
한 발자국 한 발자국씩만 가도
괜찮은 거거든요.
처음에는
실행하는 것에 대해서
목표를 세우는 거에요.
누구는 빠른 사람이 있고,
느린 사람이 있을 수 있거든요.
하지만 느리다고 해서 못한다
이건 절대 아니거든요.
느리더라도
내 페이스에 맞게
꾸준히 하는게 더 중요하다
고 생각합니다.
-주우이 님-
실전반 강의가 끝나고
성장이 더뎌질까봐 걱정이 컸습니다.
멈추지 않고 계속 갈 수 있도록
인사이트가 가득했던 강의에
감사합니다.
강의 해주신
주우이 님 감사합니다 :D
4강 BM.
1) 5순위 시세표 (top3까지 나오겠다!)
2) 스텝퍼 주5회
3) 하루 한번 소리내서 웃기
3강 BM.
1) 다음달 임보에
서울-경기도-인천 시세조사 표 추가
2강 BM.
1) 단지임장 마치고 백지도
2) 100개의 단지 중 60개의 선호도 파악
20개의 부동산 (부동산당 단지3개)
3) 앞마당 10분간 설명하기
4) 10월 임장캘린더에 새벽보기님 강의 반영
1강 BM.
1) 강의 내용 그대로 수도권 첫 임보에 적용
2) 단지임장 전 시세와 단지 정보를 최대한 조사
3) 단지분석 틀
4) 전저점과 전고점에서 얻을 수 있는 통찰
5) 비교평가 따라하기
6) 내 상황에서 최고의 선택 1등뽑기
댓글
생각나름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