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시간부자를 꿈꾸는 꿈시부 입니다.
이번 재테크 기초반1기를 듣고 있는데요.
진짜 너무 좋아서 하트가 뿅뿅 되는 그런 마법을 느꼈습니다.
놀이터에서 자영업자분들은 어떻게 통장 쪼개기 하느냐고 많이
질문주시고 많은 답변이 오고 갔는데요.
역시 월부는 대단하다고 생각합니다.
일단 강의에서 나온 예시는 월급받으시는분들의 예로 많이 설명해주셨는데요.
뭐…자영업자도 크게 다르지 않은거 같습니다.
저도 자영업을 18년째 하고 있는데 월급쟁이보다 나가는것이 많은건 사실입니다.
매출도 들쑥날쑥하여서 저축하기도 많이 힘든것도 사실이고요.
특히 계절성을 띄고 있는 업종이면 더 심한거 같더라고요.
또 제일 안좋은것이 건강보험료 국민연금을 제가 혼자 다 부담하는것도 엄청 큽니다.
사업자 분들은 솔찍히 개개인별로 상황이 다 달라서 일괄되게 알려드릴수는 없습니다.
사업자 종류에도 벌써 간이, 일반 이렇게 나뉘고요.
종합소득세 내는분 안내는분
부가세도 내는분 안내는분
그래서 제 기준으로 일단 설명해드릴테니 나에게 맞는 상황이면
따라해보시고 그렇지 않다면 그래도 그 맥락은 비슷하니 따라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결국은….다 해달란 말씀)
먼저 통장 쪼개기에 대해서 이야기 드리겠습니다.
일단 저는 운전직이라서 제 기준으로 이야기 드리겠습니다.
저처럼 본사와 계약하여 1달에 한번 정산받는 사람도 있을것이고
아니면 매일 정산이 되거나 아니면 하루 매출이 눈에 보이는 그런 분들도 계실텐데요.
하루 하루 매출이 나서 그걸로 다른 매입비가 발생하시는분들은 (식당같은 업종)
평균 매출 - 평균 매입비를 계산을 해보셔야 합니다.
저처럼 한달에 알아서 정산이 되시는분들은 크게 계산할게 없는데요.
이렇게 정산된 금액을 가지고 이제 쪼개기 시작할껀데요.
크게 개인사업자를 큰 사업장으로 보는것입니다.
법인을 예로 들면 대표이사들 월급주고 나머지돈으로 회사운영하는데 쓰잖아요?
저희도 그렇게 할껍니다.
한달 매출금 = 회사 운영비 + 개인월급
이렇게 회사원들하고 다르게 쪼개야 하는데요.
저같은경우는 차량 수리비, 차량 유류비, 보험료, 부가세, 종합소득세… 기타 수리비
이렇게 일단 1년치 평균을 내보고 매달 얼마씩 따로 떼어 놓습니다.
그리고 나머지돈은 이제 월급이라고 생각하시면 될꺼 같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저도 그동안 못했던것을 이제 하려고 하는데요.
저희는 회사원처럼 매달 돈이 똑같이 들어오는게 아니잖아요?
예를 들어서 1월은 100만원 2월은 120만원 3월은 90만원…
뭐 이런식으로 매출이 날수도있고 이 편차가 더 심하신분도 계실텐데요.
이렇게 한다해도 사업장에 들어가는 돈은 똑같이 들어가니 먼저 떼어놓을수 밖에 없습니다.
그럼 남은돈이 매달 달라질텐데요.
예를 들어 100만원중에 사업장 운영비를 10만원으로 책정했으면 나머지 90만원으로
이제 생활해야하는 경우 입니다.
하지만 3월은 90만원에서 10만원 제외하고 나면 80만원으로 살아가야하는데요.
2월달에 120만원으로 10만원 제하고 나면 110만원으로 더 여유가 있어서 소비력이 더
커지는게 사람 마음이더라고요.
그나마 다행인것은 사업장 운영비를 따로 떼어 놓으니 차가 갑자기 고장나거나 목돈이 들어갈때
크게 부담이 없었는데요.
그전에는 그런거 없이 다 쓰다 보니 갑자기 차가 고장나거나 하면 카드 할부로 해결하고
또 몇달 고생하고 그렇게 반복을 해왔던거 같습니다.
반대로 수입이 많은 달이 오면?
우리는 상여금이 없으니까 상여금 개념으로 생각하시면 될꺼 같습니다.
상여금 들어오면 너나위 멘토님은 다 저축하셨다고 하셨는데요.
저희도 그렇게 저축 하시면 생각보다 빨리 목표금액을 달성하실수 있으실꺼에요.
또 힘들더라도 이렇게 돈이 모이는 구조를 만들다 보면 힘든 자영업이
정말 고맙게 생각될수도 있습니다.
매출에 도움을 주시는 고객님들이 너무 감사한 존재로 보일테고요~
그렇게 통장을 쪼개고 나면 이제 해야할일이 있습니다. 바로~
선 저 축!!!
이게 좀 힘들고 어려워서 잘 안되는 부분인데요.
저도 그래서 항상 소비하고 남은걸 저축했습니다.
그러다 보니 돈은 항상 모이지 않았습니다.
선저축은 알면서도 행동하지 않은것이였는데요.
이번 재테크 기초반 들으면서 행동에 옮기기로 했습니다.
선저축하고 남은 돈으로 생활하기 입니다.
개인월급은 강의에서 배운것처럼 쪼개시면 될거 같습니다.
이것도 처음에는 비율이 잘 안맞아서 적정 금액대 찾기가 좀 힘들수도 있고,
배우자분들도 갑자기 확 쪼으면 반발이 엄청 심하실껍니다.
그러니 이야기 많이하시고 우리 노후를 위해서 그러는거니까
아이들이 우리 노후 책임져 주지 않는다고 잘 설득하시면서
꼭 행동해 나가셨으면 좋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연금에 대해서 이야기 해주셨는데요.
저희는 1층 2층은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그래서 3층4층을 저희가 알아서 셋팅해야하는데요.
부담스럽다면 10만원이라도 꼭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저도 보험을 줄이고 그 돈으로 보험 낸다고 생각하고 들을 예정입니다.
진짜 이런 강의를 20대때 들었다면 저도 많이 달라졌을텐데요.
지금이라도 들어서 너무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 자녀들은 꼭 금융문맹이 되지 않게 우리가 잘 알려주도록 하자구요~
글 쓰고 나니 별거 아닌거 같은데 그래도 1분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으로
작성한 글입니다…ㅎㅎ
정리를 하면
1)정산 받은 금액에서 사업운영비와 개인 월급을 구분하자.
2)선저축금액을 정해서 남은돈으로 생활하자
3)생활이 너무 빠듯하면 저축액을 조금씩 조정해보자.
여기까지 읽어 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목표금액 꼭 모으도록 해요~
좋은 글을 남겨주신 멤버에게 댓글은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로 감사함을 나눠주세요.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