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단계 : 지출 종류별로 목표 금액 정하기
앞으로 지출 종류별 목표 금액 설정해보기
독립 싱글
항목 | 내용 | 은행 | 체크카드 | 비율 |
생활비 | 생활비 : 공과금, 주차, 보험, 생필품, 식비 | 신한 | 네이버 체크카드 | 8.8% |
활동비 | 활동비 : 통신, OTT, 외식, 교통, 취미 등 | 국민(만들기) 8.16부터 가능 | 노리2 체크카드 (신청하기) | 14.7% |
주거비 | 주거비 : 월세, 이자 | 우리 | 불필요 | 14.0% |
교육비 | 교육비 : 자기개발 / 독서 / 강의 | 토스 | 페이코 체크카드 (발급중) | 7.4% |
비정기 | 비정기 : 경조사 / 행사 | 신한(만들기) 8.16부터 가능 | 신한 deep dream (신청하기) | 4.4% |
자산통장 | 자산통장 : 연금저축 / 종잣돈 | 미래에셋, 세이프박스 | 불필요 | 50.7% |
생활비
외부에서 식사를 하고 들어오는 경우가 많고 집에서는 가끔 배달음식을 시켜먹는것과 생필품 구매 외에는 별다른 비용이 들지 않아서 생활비 비중을 기준치보다 좀 더 낮출 수 있었습니다. 생필품은 보통 네이버를 이용하다보니 네이버 체크카드를 이용할 계획입니다.
활동비
가장 지출이 많던 활동비 부분에서 지출항목과 비슷한 할인을 제공하는 노리2체크카드를 통해 신용카드를 대체하고, 불필요한 부분들은 과감히 삭감하는 쪽으로 비율을 잡았습니다.
주거비
고정금액 지출로 대여금 이자와 월세 금액을 바꿀 수 없기에 해당 비율로 잡았습니다.
교육비
레슨과 도서구입비 항목으로 살짝 여유있게 비율을 잡았습니다.
비정기
경조사비용과 계모임 등으로 인한 지출 금액을 잡았습니다. 자주 있는 일이 아니기에 기준보다 조금 적더라도 몇달을 모으면 충분히 대처가 가능할거라 생각이 됩니다.
자산통장
연금저축펀드와 세이프박스를 이용하여 합산비율 50% 이상을 유지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2단계 : 각 항목별 통장 계좌를 정하고 연결할 체크카드 발급하기
추가로 계좌 2개를 만들어야 하는 상황이므로 개설 가능한대로 위 구성을 맞춰나갈 예정입니다.
체크카드도 계좌 개설에 맞춰 발급할 예정입니다.
3단계 : 체크카드에 용도를 네임펜으로 써주고 인증샷 남기기
기존에 신용카드 1장을 사용하면서 가계부 작성을 통해 지출내역을 정리했는데, 국민은행 계좌가 만들어지기 전까지는 신용카드 해지는 조금 어려워 이번 과제 제출때는 인증샷은 남기지 않습니다.
추후 카드가 준비되면 과제 제출내역에 수정해두겠습니다.
느낀점 :
기존에는 고정적으로 지출되는 내역들을 따로 구분하고 항목별로 어떤 품목으로 지출되었는지 정도만 확인했으나, 비정기적인 지출에 대해 관리가 잘 안되는 부분이 있었습니다.
또한, 해당 월 기준으로 지출금액을 맞추려고 하더라도 신용카드 특성상 즉시결제를 잠깐 잊어버리는 순간 당월 지출금액과 다음달 지출금액이 섞여 지출 추이를 확인하기 어려웠습니다.
통장 잔고를 통한 지출 억제가 어려워지다보니 기준금액을 넘는 일이 수시로 발생하여 기준을 정해둔 소비체계를 만들어 거기에 맞추려고 한다면 이 부분이 해결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댓글
아주 훌륭하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