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소액으로 돈 되는 지방 1등 아파트 찾는 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1주차는 제주바다님의 지방 투자의 기준과 A지역에 대한 지역 분석 강의였다
월부를 시작하고 앞마당을 만들기 시작한 지 벌써 6개월이 지났고
최초의 목표였던 지방 쪽 말고도 서울, 수도권, 1기 신도시 지역을 앞마당으로 만들고 있지만….
지금 돌고 있는 이 지역이 실제 투자로 이뤄질 수 있을까라는 의문은 항상 있었다
이번 강의에서 지방 투자의 중요성과 기준을 다시 머리에 새기고
지방 투자의 가능성을 다시 한번 느끼며 다음 달 목표도 정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
# 지방 투자 기준
지방 투자는 확실히 장점과 기회를 가지고 있는 동시에
임장의 어려움과 투자의 확신을 갖기가 어려운 부분이 있다
어차피 초보 투자자가 확신을 가지고 투자를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니 지방에서 기회와 가능성을 보고
투자 기준을 잘 잡고 이에 맞게 투자를 하는 것이 우리가 해야할 일이다
1. 지방투자의 핵심은 인구수, 입지, 상품성이다
인구수는 곧 수요!
인구수가 많은 곳은 우선순위로 투자해야 하지만, 가격이 비싸다면 투자하지 않는다
2. 입지 독점성=땅의 가치
수도권 다르게 지방은 이 땅에 반드시 살아야 하는 이유가 없다!
즉 신축을 따라 이동하고 도시의 중심 지역이 이동하기도 한다는 것을 알고 있어야 한다
3. 상품성=연식, 브랜드, 택지규모
신축, 1군 건설사 브랜드, 택지 규모에서 만들어지는 인프라 등
지방투자는 상품성이 선호도에 매우 큰 영향을 준다
위에 기준에 맞는 사람들이 선호하다는 지역과 단지를 찾아 투자해야 한다!!!
# 입지 평가 하는 이유
입지평가를 하는 목적은 비교 평가를 하기 위함이다
어차피 사야 되는 아파트는 내 투자금으로 하나일 것이고
이 투자금 내에서 가장 좋은 물건을 사기 위한 비교 평가에서 도움을 받기 위한 것이다
1. 직장, 일자리 주요 직장은 수요를 끌어들일 수 있는 중요한 요인
직장의 질 = 소득 = 집 값으로 연결된다
2. 학군, 지방에서 학군은 땅의 가치를 만드는 중요한 요소
학군이 높다는 것은 그만큼 소득이 받쳐준다는 것, 먹고살만하니까 학군에 관심을 가지게 된다
하지만 광역시와 다르게 중소도시는 학군 때문에 구축으로 가는 경우는 없다
3.환경, 그 지역에 백화점, 마트가 있다는 것은 그만큼 소비력이 되고 이는 집 구매력으로 이어진다
백화점, 마트가 부족하더라도 신규택지나 브랜드 신축이 많은 곳은 좋은 환경을 이유로 매우 선호한다
4. 공급, 지방은 공급이 매매가에도 영향을 끼치므로 꼭 봐야하는 주요 요소이다
가격 변곡점을 만드는 공급량은 얼마인지, 영향을 주는 지역이 어디까지인지, 공급 위치가 어디인지를 확인해야 한다
5. 교통, 지방은 대중교통의 의미가 있는 부산, 대구, 대전을 제외하면 크게 의미는 없고 단지별로 확인이 필요하다
그동안 입지 평가를 하면서도 그 이유에 대해서 크게 생각해보지 않았던 것 같다.
그동안 강의에서 알려준 것들이 모두 실제 투자를 하기 위한 행동과 연결된다는 것을 체감할 수 있었고
이제는 임장과 임보가 어느 정도는 익숙해진만큼 그냥 하기보다
하는 이유와 목적에 대해 좀 더 고민하며 임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1주차부터 좋은 강의를 해주신 제주바다님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댓글
부로소득님 1주차 강의 들으시느라 고생 하셨어요 멋진 후기도 잘 보고 갑니다~
부로소득님 이번 달 강의 끝까지 홧팅입니다!!!! 🙆🏻♂️
강의 후기 고생 많으셨습니다 :) 감사합니다 ~! 소득 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