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에게 특히 와 닿았던 점
※ 비교평가 시 알게 되는 점
- 가치를 제대로 보고 더 나은 투자를 할 수 있다.
- 확신을 가지고 자산을 지킬 수 있다.
※ 진단을 통한 시장 유형 파악에 따른 투자 방법
- 절대적 저평가 시장 : 더 좋은 것, 덜 좋은 것 모두 다 싸다. → 다 싸면 더 좋은 것 고르기
- 상대적 저평가 시장: 비싼 것도 있고, 싼 것(전고점 대비 -20% 이상 하락)도 있다. → 좋지만 더 싼 것 고르기
※ 비교평가 순서
- 비교평가 할 단지를 찾기: 상대적 저평가 시장에서는 전고점 대비 하락률 20% 이상 단지, 절대적 저평가 시장에서는 좋은 생활권, 좋은 단지를 우선적으로
- 기초정보 입력: 단지명, 평형, 연식, 매매/전세가, 투자금, 전세가율
- 입지요소로 가치 판단: 직장(종사자수), 교통(업무지구 접근성), 환경(편의시설 수+택지+상권+연식), 학군(중학교 학업성취도)에 각각 등급 매기기, 비슷할 땐 환경요소를 더 구체적으로 세분화 해 등급매기기
- 가치와 가격 비교: 가격이 같으면 가치가 더 좋은 곳, 가치가 같다면 가격이 더 싼 곳 고르기
적용해보고 싶은 점
- 매매지수를 활용해 절대적, 상대적 저평가 시장 파악하기
- 상대적 저평가 시장에서 이미 비싸진 곳이 있다면 투자범위를 넓혀 좋은데 아직 싼 곳을 찾아보기
- 투자하고 싶은 지역이 올라도 조급하게 쫓아가지 말고 같은 급지에서 덜 오른 곳이나 다음으로 가치 좋은 곳에서 덜 오른 곳 찾아보기
- 결국 시간이 걸려도 아는 지역, 아는 단지를 많이 만들어야 투자자로 성장할 수 있다.
느낀점
1. 비교평가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게 된 강의였다.
2. 실전 투자 사례 부분을 상대적 저평가 시장에서 투자에 성공한 사례를 보여줬으면 더 도움이 됐을 거 같다.
3. 입지요소 부분에서 종사자수는 어떤 식으로 파악해야 하는지 좀 더 구체적으로 알려줬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
또한, 환경요소의 우선순위는 어떻게 따지는지도 구체적으로 알려줬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