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집마련 기초반 38기 72조 도도찌] 도도찌의 내집마련 예산 계산 및 후보 단지 정리하기



1. 내집마련 예산 계산하기









▶ 이렇게 구체적으로 계산해본 것은 처음이라 너무나도 감사합니다.
▶ 내집마련 예산표 1~8단계를 거쳐 최종예산 5억 7천 8백만원을 확인하였습니다.
▶ 강의에서 말씀해주신대로 내 예산대비 +20% 계산하여 6억 8천만원이 나왔습니다!



2. 예산 범위 내 지역 알아보기



증액예산 6억 8천만원까지 서울 / 경기도 25평 평균 매매가인 구를 찾았습니다.
서울 : 관악구, 성북구, 노원구, 은평구, 구로구, 중랑구, 금천구, 강북구, 도봉구
경기 : 하남시, 광명시, 안양시 동안구, 성남시 중원구, 안양시, 구리시, 용인시 수지구, 수원시 영통구, 의왕시
▶ 위 시/구 중 중심지인 강남역, 아내직장인 서울역, 남편직장인 판교역까지 대중교통(지하철) 편도시간 기준 60분 이내인 것을 필터링 하여 총 3개의 후보지를 선정하였습니다.

★관악구 ★성북구 ★안양시 동안구



3. 네이버 부동산에서 맞는 단지 찾기



▶ 네이버 부동산에서 예산과 조건에 맞는 단지 찾기!
아파트 / 매매 / 예산범위(최대 20% 증액 예산 6억 8천) / 20평대 / 300세대 이상 / 방 3개 + 계단식!
ㄴ계단식을 선호하는 편이라서 나온 단지들 중 계단식만 따로 정리


★관악구


★성북구



★안양시 동안구



▶ 조건이 많이 걸려있어 걱정했는데 생각보다 많은 단지가 조회되었습니다.
관악구 2 / 성북구 7 / 안양시 동안구 12개 단지가 정리되었고, 서울과 달리 동안구는 버스를 이용해야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4. 단지별 강남 및 가족 직장 소요시간 체크하기



▶ 앞서 정리한 21개 단지 중에 강남역까지의 시간이 50분이 넘지 않으면서 가족 직장까지의 소요시간도 괜찮은 단지 6개를 뽑았습니다.
▶ 그 과정에서 서울 관악구와 성북구보다 안양시 동안구의 대중교통 접근성이 괜찮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5. 최종 후보 단지 및 느낀점


최종 후보단지

▶ 최종 후보를 뽑을 때, 비슷한 가격대이면서 연식과 방3개 화장실 2개, 계단식, 가족직장과 강남 접근성 등을 조건으로 보았으며, 계산된 예산 보다 +20% 증액된 최종예산 6억 8천만원 범위 안에 들어오는 두 단지를 선정하였습니다.
▶ 매매가격은 더 비싸지만 예산 안에 들어오며, 연식과 직장, 강남 접근성이 더 좋은 단지를 실거주 구매 관점에서 최종 단지로 선정하였고, 연식과 교통 부분은 조금 뒤쳐지지만 전고점에 비해 매매가 30%정도 하락했고, 전세가와의 가격 차이가 크지 않아 투자로 접근시 괜찮아보이는 단지를 투자자 구매 관점에서의 최종 단지로 선정하였습니다.
ㄴ 실거주 구매 관점: 초록색 라인 단지
ㄴ 투자자 구매 관점: 파란색 라인 단지


느낀점

▶ 내집마련기초반 1주차 너나위 님의 강의를 들으며, 정말 기초적인 지식부터 시장의 흐름, 해야되는 방법과 어떤 것이 중요한지까지.. 정말 아낌없이 하나하나 알려주시는 내용 덕분에 지금껏 모르고 살았던 내집마련에 대한 구제척인 과정을 알아볼 수 있었습니다.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막연하게 '청약넣거나 집값이 떨어지면 돈 모아서 사야지~' 라고 생각했던 주택 구매를 위한 예산을 종잣돈과 대출한도 등을 계산해보며, 제 지금의 위치를 현실적으로 마주할 수 있는 기회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지금은 비록 목표로 하는 지역이나 아파트를 갈 수 없지만, 앞으로의 저와 가족이 하는 것에 따라 현실적인 접근이 가능하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 우선순위 높이기!
▶ 서울 살아야 좋다고 생각했지만, 조사해보니 안양시 동안구의 입지와 가격도 괜찮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 과제를 통해 지역과 단지를 좀 더 넓게 보는 과정을 배우게 된 거 같습니다.
▶ 아직은 비교평가 단계까지는 어려워 실거주와 투자자 구매 2가지 관점에서 접근해보았는데요. 최종 리스트를 보면서 가용 예산 안에서 정말 수많은 아파트 구매가 가능하고, 그 단지들 중엔 전고점에 비해 많이 하락한 단지도, 전세가율이 어느 정도 높은 단지도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 가장 중요한 것은 비슷한 조건과 가치라고 놓고봤을 때 가격이 저렴한가? 감당가능한가? 내 예산 안에 들어오는가? 라는 것을 다시 한번 느끼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감사합니다.

댓글


우린다괜찮아user-level-chip
23. 10. 17. 20:09

우리 도도찌 조장님..정말 깔끔하고 멋진 정리에요! 조장님 정리를 바탕으로 좀 더 저도 구체적으로 생각해봐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