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열반스쿨 중급반 2강 강의 후기 [열반스쿨 중급반 39기 64조 루루]

  • 24.08.19

열반스쿨 중급반 - 10억 달성을 위한 부자 마인드 갖는 법

나에게 특히 와닿았던 점 3가지

  • 비교평가에 앞서서 내가 참여하고자 하는 시장의 성격을 파악해야 한다는 부분이 인상깊었습니다. 서울,수도권은 비싼 것, 싼 것이 공존하는 상대적 저평가 시장, 지방은 다 싼 절대적 저평가 시장이라는 점을 짚어주셨는데요, 각 시장에 따른 대응 방법을 찰떡같은 삼겹살 비유로 들어주셔서 좋았습니다. 상대적 저평가 시장인 서울, 수도권 시장에서 훨훨 날아가버린 아파트(고가치-고평가)를 먹지도 못할 덜익은 삼겹살로, 고가치-저평가된 아파트를 맛있게 잘 익은 삼겹살로 비유해주셨고, 절대적 저평가 시장인 지방은 다 잘익었지만 그 중 더 맛난 부위(고가치 저평가 아파트)가 있는 삼겹살로 비유해주셨어요. 그래서 서울 수도권에서는 먹을 수 있는걸 찾아 먹어야하고, 지방에서는 제일 맛난걸 찾아서 먹어야 한다고 하셨어요. 내가 만들고자 하는 앞마당이 어떤 시장에 속해있느냐에 따라 전략적으로 단지를 고를 수 있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 이렇게 내 앞마당에서 단지가 선정되면 비교평가를 하는데, 비교평가 하는 방법을 3단계로 알려주셨어요. 

    1. 기초 정보 입력(단지명, 평형, 연식, 매전금, 투자금, 전세가율)
    2. 입지 요소(직장수, 강남접근성, 환경, 학군)로 가치 판단 >> S,A,B,C로 수치화 가능
    3. 가치와 가격 비교

    이 세 가지를 상대적 저평가 시장, 절대적 저평가 시장에서 반복해서 적용하는 방법을 알려주셔서 이해가 잘 된 것 같습니다.

  • 또 절대적 저평가 시장에서 특정 입지요소(직장, 환경)가 변별력이 없을 경우에 단지별 신,구축 여부로 디테일한 가치 판단을 할 수 있다는 점이 인상 깊었습니다.

 

강의를 들으면서 생긴 궁금점

  • 절대적 저평가 시장이였던 2016~17년도 서울 수도권 시장에서도 수도권별 급지 분류가 유효했을까 하는 점이였습니다. 당시에도 마포, 성동구의 땅의 가치가 2급지 정도의 위상이였나? 하는 의문점이 들었습니다.
  • 절대적 저평가 시장에서 투자지역 전체가 덜 올랐다고 판단된 곳(강의에서는 울산 북구의 예시)을 투자처로 삼고 상대적으로 더 오른 곳은 왜 고려하지 않으셨는지 궁금했습니다. 제가 많이 모르긴 하지만 강의에서 상대적으로 더 오른 곳인 울산 동구는 산업단지가 분포되있어 직장인 위주로 북구보다 수요가 있을 것 같아 동구 내에서도 덜 오른 저평가 단지가 얼마든지 있었을 것 같은데 단순히 덜 올랐다는 이유로 동구를 뒤로하고 북구를 투자 앞마당으로 삼으신 부분에서 더 디테일한 의사결정 과정이 있었을 것 같은데 그 부분에 대한 설명이 없어서 아쉬웠습니다. (모든 지역에 대해서 앞마당을 만들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라고 자문 자답을 해보긴 했습니다..ㅎ)

 

적용해보고 싶은 점 3가지

  • 얼른 앞마당을 만들어서 비교평가할 수 있는 단지들을 확보하고 싶었습니다.
  • 1호기를 매매한 후, 혹시라도 흔들리는 매매, 전세가격 속에서 비교평가를 통해 굳건하게 내 매물의 가치를 지켜나갈 수 있어야 겠다고 생각했습니다.
  • 월부 강의를 들을 수록 내가 가고자 하는 길이 쉽지 않은 길인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조급해하지 않고 천천히 월부 시스템을 잘 활용하며 나만의 페이스로 성장하는 투자자가 되어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댓글


나방
24. 08. 20. 17:57

얼른 앞마당 만들고 싶은 마음 엄청 공감가요 ㅎㅎㅎ 실준반까지 기다리기 어려우시다면 게리롱님 임보특강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