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열반스쿨 중급반 원씽 독서 후기 [열반스쿨 중급반 39기 책1고 아파트 4러가조 =3 뚝딱이]

  • 24.08.19

열반스쿨 중급반 독서 후기 작성 과제

Step1. 책의 개요

1. 책 제목: 원씽

2. 저자 및 출판사: 게리 켈러, 제이 파파산

3. 읽은 날짜: 2024.08.19

4. 총점 (10점 만점): 10점/ 10점

 

STEP2. 책에서 본 것

[Chapter3. 13장. 목적의식을 가지고 살아라]

#목적의식 #접착제 

우리가 누구인지, 우리가 어디로 가고 싶어 하는지가 곧 우리의 하는 일과 성취하는 바를 결정짓는다. 목적의식에 따라 사는 삶은 강력하고 행복하다. 

우리가 조심해야 할 부분은 우리의 목적의식이 거지의 동냥 그릇(욕망)처럼 바뀌지 않도록 만드는 것이다. 우리를 행복하게 만들어 줄 어떤 것을 끊임없이 찾는 밑 빠진 독. 

행복은 만족을 느끼는 길에서 생겨난다. 우리의 삶을 더욱 의미 있게 만들어줄 방법을 찾아 거기에 몰입하면 할수록 오랫도록 행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가 매일 하는 행동이 더 큰 목적의식을 충족시킨다면, 가장 강력하고도 오래 지속되는 행복이 가능해질 것이다. 

목적의식은 개인적 강인함, 자신의 신념을 굳게 믿고 그것을 계속 지켜 나갈 수 있는 힘의 궁극적 원천이다. 명확한 목적의식을 가지면 인생이 또렷이 보이고 방향에 대한 확신→ 빠른 의사결정 → 빠른 선택 → 최고의 선택지 → 최고의 경험을 할 기회까지 생기게 될 것이다. 일이 잘 풀리지 않을 때는 스스로 그 이유를 제대로 알고 있다면 노력할수 있는 동기와 의지가 생긴다. 

 

[Chapter3. 16장. 단 하나를 위한 세가지 약속]

#전문가의 길 #도전에서 목적의식으로 이동 #책임감 

첫째, 최고의 경지에 이르고자 하는 마음가짐을 가져야 한다. 둘째, 끊임없이 최적의 길을 찾으려 노력해야 한다. 적당히 OK고원까지 하지 말고 한계에 부딪혔을 때 집중, 모델링, 시스템 구축, 돌파구를 찾아 한계를 뛰어넘어라. 목적의식은 어렵고 부자연스러운 일이다. 셋째,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하고 있다고 기꺼이 책임질 수 있어야한다. 현실을 이해하고 인정하고 책임을 진다. 그 뒤로 해결책을 찾고 계속 해나간다. 

 

[Chapter3. 17장. 생산성을 훔쳐가는 네 종류의 도둑들]

#No맨 #혼란 #신체적에너지 #환경 

첫째, 생산성을 위해 아니오라고 말해라. 거절하면 자유로워진다. 모든 사람을 기쁘게 할 수는 없다. 단 하나에 가장 강력한 예를 말하고 나머지에게는 아니오라고 외쳐라. 둘째, 혼란에 굴복하지마라. 위대함을 추구하다 보면 혼란은 반드시 일어난다. 생산성을 빼앗아가는 가장 나쁜 도둑들 중 하나가 바로 혼란을 참지 못하는 태도나 혼란에 대처하는 창의성의 부재다. 셋째, 신체적 에너지를 무시하지마라. 높은 업적과 남다른 성과는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넷째, 환경을 내 편으로 만들어라. 주변 환경이 당신의 목표 달성을 도와줘야 한다. 높은 곳으로 끌어올려 줄 사람으로 주변을 채워라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1. 어렸을 때 마시멜로 책을 읽으면서 나는 당연히 참지, 라고 생각했는데 미래의 큰 이득보다 현재의 작은 이득을 선택하는 사람들이라고 풀어서 설명해주니 남일 같지 않고 나의 모습이라고 생각하면서 반성하게 되었다. 

2. 자기관리에 집착하지 말고 루틴, 습관을 만들어라. 한번에 하나씩. 평균 66일이 걸린다.

3. 멀티태스킹 하지말고 작업 전환 시간을 줄여라 

4. 일과 삶에는 균형이 없으니 버리고, 선택하고, 집중하라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1. 의지력이 가장 높을 때 가장 중요한 일을 우선으로 처리하기 

2. todolist를 작성하는게 아니라 성공목록을 작성해라 (전체중에서 20%만)

3. 의지력 연료가 떨어지면 충전시켜주기 

4. 하루 평균 네시간씩 따로 떼어두기 

5. 나의 목적의식을 종이에 써서 잘보이는 데에 붙이기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P. 125) 작은 생각으로 삶까지 작게 쪼개지 마라. 크게 생각하고, 목표를 높게 잡고, 대담하게 행동하라. 그런 다음 삶을 얼마나 크게 만들 수 있을지 보라. 크게 생각하는 것은 의구심을 느끼지 않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넘어서는 것이다. 크게 생각하고 크게 살아야만 자신의 삶과 일에서 진짜 잠재력을 경험할 수 있다. 

(P. 164) 무척 힘들겠지만 아무도 가지 않은 길을 걷는 것은 언제나 그럴 만한 가치가 있다. 한계를 최대한으로 넓힐 때 우리의 삶 역시 넓어지기 때문이다. 


댓글


뚝딱이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