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소액으로 돈버는 황금루트
자음과모음, 게리롱, 식빵파파, 제주바다

강의 해주신 권유디님께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느낀점
우선, 수도권 시장과 지방 시장 현재 상황에 대한 인사이트를 공유해주셔서 왜 지방투자를 해야 하는지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전세가율을 통해 현재 시장이 어디까지 와있는지 파악해 보았고,
지방의 경우 공급에 따른 전세가격 흐름을 통해
22기 지기반에서 소개된 A,B,C,D 지역의 각각 현재 상황에 따라서 어떤 시장인지 리뷰해주신 상황을 통해
투자자로 성장하고 있는 나는 어떤 지역을 선호하는지 느낄 수 있었습니다.
또
어떤 상황에서 해당지역이 어떤 투자 상황인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인사이트가 주셔서 좋았습니다.
공급량 → 리스크
전고점 대비 현재 가격 → 수익률
Bench Marking Point
입지분석1 - 인구
해당지역의 인구가 중소도시중 큰 도시의 경우, 선호도가 좋은 단지를 잘 골라야 함. (입지&연식)
입지분석2 - 직장
입지분석3- 학군
학업성취도/학원가 뿐 아니라 주변 환경이 정말 공부하기에 좋은 환경인지(유해시설x) 판단
입지분석4- 환경
주요상권 및 택지로 쾌적한 환경
입지분석5- 교통
지방의 경우, 주요 직장까지의 접근성, 신축인데 직장까지 얼마나 걸리는지
:교통체증을 개선하는 호재(Ex. 다리, 터널등이 개통되어 교통체증이 개선되었는지)
입지분석6- 공급
인구수 * 0.xx %가 적정공급 (0.5%로 의미를 찾기 어려우면 어느정도 수준이 의미가 있는지 파악하기)
1)덜 선호 지역의 공급 → 과공급에도 전세가 상승 가능
2)선호지역의 공급→전세가 하락
3) 주변 지역의 공급 중 분석 지역 출퇴근 가능한 지역의 입주 고려해보기
강의를 통해서,
환경에 남아야 함의 중요성이 가장 크게 와닿았습니다.
매일매일 꾸준히 하다보면 계단식 성장이 제게도 오리라 믿으며 오늘도 화이팅 해보겠습니다!
댓글
자이언츠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