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열반스쿨 중급반 몰입 독서 후기 [열반스쿨 중급반 39기 20조 요술램프찌니]

  • 24.09.03

1.  84-think hard 

-매일 열심히 일하는 것이 최선이 아니라 머리를 쓰고 생각하는것이 문제를 해결하는 최고의 방법이다.

2. 95- 의도적 몰입

-의도적으로 계속 생각해야 무의식이 따라온다.

-무의식이 수면위로 올라올 수 있도록 의식적으로 지속적으로 생각하기

3. 93- 내 의식에 무엇을 올려 놓을지 결정하라

-나는 부동산투자를 올려놓는다. 가치투자를 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생각한다.

-나는 서현, 서진이가 몸과 마음이 건강하게 잘 성장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생각한다.

4. 119- 122: 몰입을 위한 조건

-몰입할 수 있는 환경 확보( 타인에게 알리고 양해 구하기)

-불필요한 외부 정보 차단(인터넷, tv.)

-혼자만의 공간 확보하기

-규칙적이고 땀 흘리는 운동

-단백질 위주의 식사

5. 123- 3일차 몰입 순서

-1일차: 잡념 털고 몰입할 수 있는 자세 준비(목 받침이 있는 의자), 잡생각이 많이 날 수 있음 .

-2일차: 몰입상태 유지

-3일차: 더 몰입이 잘 되면서 아이디어가 생겨난다.

6. 172~173 :천천히 생각하기의 중요성

-천천히  문제를 명상하듯이 생각하기

7.226: 몰입은 뇌와 인생을 춤추게 한다.

-절실한 목표 설정이 의미를 만들다. 

7. 229- 꿈은 이루어 진다.

자신이 목표로 설정한 문제와 중요하다고 생각할 수록 또 그 문제를 반복적으로 생각할 수록 몰입하기가 쉽다. 

-내 일상이 내가 바라는 목표를 향해 우선순위가 맞춰지고 있고 목표를 성공하기 위해 하는 습관이 재밌고 궁금해진다.

8. 239-모든 즐거움과 쾌락의 근원인 신경전달 물질 도파민 , 도파민으로 인한 중독과 뇌 손상

-도파민은 중독과 관련있는 신경전달물질이다. 즐거움,쾌락을 느낄 때 도파민이 분비되고  도파민이 나온 후에는 항상성을 위해 쾌락뒤에는 고통이 따른다. 쾌락을 느끼는 행동을 반복적으로 자주 하는것을 중독이라고 함.

예)스마트폰 ,게임, 영상 등  즐겁다- 보지 않으면 괴롭다. 그래서 끊임없이 보려고 한다.- 이것이 중독이다.

9. 248- 몰입은 손상된 뇌와 집중력을 회복시킨다.

도파민 디톡스- 독서,글쓰기, 공부,운동, 찬물샤워, 토론, 창작, 적극적인 이해와 실천 ,토론수업

감정의 뇌(편도체)- / 이성의 뇌(전두엽)

나의 노력이 아닌 외부의 작극이 나는 집중시키는 경우 전두엽의 사용이 줄어들고 집중력이 약해짐

숏츠같은 경우-편도체만 자극

어려운 문제를 도전할 때 집중하기 어렵다. 그래도 문제를 의식의 무대에 올리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깊은 집중 상태에 도달한다.  이 상태를 며칠동안 유지하는 것을 몰입 

10. 261-신경가소성 

우리의 뇌에 어떤 시냅스가 형성되느냐에 따라 인생이 결정된다. 내가 해야 할 일을 재밌있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시냄스가 발달하면 좋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그런한 시냅스를 형성시킬수 있는 겅험이 입력되어야 한다. 입력은 주위 환경에 영향을 받으므로 나를 좋은 환경에 둘 필요가 있다.  그 중에 가장 쉽게 조절 할 수 있는 것은 나의 생각이다. 

11.268- 능동적인 몰입- 쫓기지 말고 천천히 생각하기 , 일을 놀이의 일종으로 생각하기 

일이 놀이가 되도록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놀이는 부담이 없고 즐겁고 결과를 내야 하는 것이 아니다. 생각을 깊이 하지 않아도 되고 의식의 흐름대로 따라가면되는데 

일을 그렇게 할 수 있을까 성과를 내야 하고 실수가 없어야 하니 긴장도가 높아진다......

일단 나는 긴장도와 불안도가 높은편이니 마음에 대한 부담을 좀 내려놔야겠다.  완벽하게 해야 하고 실수하면 안된다라는 강박과 두려움이 내려놓고 좀 더 담대하게 김승호 회장처럼 이건 아님 말고...라는 마음이 필요하다. 

12.  270- 능동적인 몰입을 유도하는 죽음에의 통찰

무례와 혐오와 경쟁과 분열과 비교와 나태와 허무의 달콤함에 길들지 말길, 의미와 무의미의 온갖 폭력을 이겨내고 하루하루를 온전히 경험하길, 그 끝에서 오래 기다리고 있는 낯선 나를 아무 아쉬움 없이 맞이하길 바랍니다. -허준 서울대 졸업식 축사 중 -

오늘 하루, 나는 얼마나 가치있는 시간을 보냈는가?  오늘 내가 한 일들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활동은 얼마나 가치 있는 것이었나? 이런 일상이 반복된다면 인생의 마지막 순간, 나는 자신의 삶에 대하여 만족할 수 있겠는가?

13. 285- 도전과 응전의 중요성

나의 도전은 현재의 편안함에 안주하지 말고 투자라는 세게에 대한 도전이다.

1주일에 책 1권씩 읽기와  매일 2시간 부동산 공부 와 월 2회 임장이다.

힘들고 어려움이 견디며 한계라고 생각했던 도전해보고 싶다. 

14. 336- 씽크하드의 패러다임에서는 학습이나 일을 하는 과정 자체에서 즐거움을 얻는다. 

보장되지 않는 미래의 행복을 위해 현실을 희생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를 행복하게 산다. 그 과정에서 일의 성과도 높아지고 자신의 능력도 빠른속도로 증가하다. 미래의 행복을 담보로 현재를 저당 잡히는 것이 아니라 행복을 누리면서도 그 결과가 보다 확실한 미래의 성공을 보장하는 것이다. 

씽크 하드를 통해 학습이나 일을 하는 과정자체에서 힘(행복, 즐거움)을 얻는다. 

책을 읽고 난 뒤

몰입을 통해 일을 하는 과정 자체에서 힘(행복, 즐거움)을 얻는다.

몰입을 하려면 주변의 자극을 정리하고

내가 풀고자 하는 문제를 지속적으로 집중해서 생각해야 한다. 

이것은 의지로 하는 것이 아니라

나의 시냅스가 기억할 수 있도록  의도적으로 계속 생각해야 하고 그렇게 하면  무의식이 따라온다고 했다.

이 책을 읽으며 이런게 실제 가능할까 라는 생각과

약간 보이지 않는 것을 믿고 따르는 종교 같은 느낌도 들었다.

일단 능독적인 몰입을 하려면 죽음에 대한 통찰이 필요하다.

죽음의 문턱 앞에서 나를 기다리고 있을  먼 훗날의 내가 후회하는 것이  뭘까 생각해 본다.

두렵다고 피하려고 하고 용기를 내서 하지 않은 것,  내 인생의 숙제를 남 탓하며 핑계거리를 찾은 것

회사, 가정 등 내가 하는 일들을 잘 해야 한다는 부담으로 나를 힘들게 만드는 것, 

다양한 경험을 해보지 않은 것에 대한 아쉬움이 많이 남을 것 같다.

나의 한계에 도전하면

자의반 타의반으로  만들어진  나의 틀을 깨보고 싶다.  


댓글


요술램프찌니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