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서울투자 기초반 1주차 후기 작성[서기반 16기 관악구가서집한채45조 감자빵]

  • 24.09.07

서울투자 기초반 - 올해 안에! 내 종잣돈에서 가장 좋은 서울 아파트 찾는 법

서울투자기초반 1강을 들었습니다.

이게 실준반과 열중반을 듣고 다음 코스로 들으라고 되어있는데, 왜 그런지 알게 되었습니다. 진짜 어렵더라구요. 강의 시간도 길었지만, 강의 필기하는 데에도 시간이 오래걸렸고 필기를 머릿 속에도 습득하는 데에도 시간이 오래걸렸습니다. 

 

왜 그런가 생각해봤더니, 저는 서울에 대해서거의 모르는 경기도 토박이여서 그랬던 것 같습니다. 

서울에 대해서 관심도 없었고, 제가 맨날 데이트하러 놀러가는 지역인 강남역, 홍대역, 인사동역, 안국역, 사당역, 여의나루역 이쪽만 알고 있었어요. 이 역들이 심지어 서울의 어느 구에 속해있는지도 알지 못했습니다. 

 

자모님이 1강에서 서울시의 모든 구에 대해서 핵심요약 정리도 해주시고, 서울시의 모든 구를 쉽게 외우는 법도 알려주셔서 그래도 강의가 끝나니까 서울시 급지도 다 외우고 서울시 지도도 그릴수 있게 되었어요. (물론 자모님 버전으로…) 사람이 이렇게 하나하나 발전을 해나가는 것 같습니다. 

성취하기까지 정말 힘들지만(솔직히 강의듣고 정리하는거 진짜 힘들었습니다.. 목 금 토 계속 들었어요..) 머릿속에 넣고나니 뿌듯하네요.

 

1강에서 느낀점과 적용할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번 임장보고서에 적용할 것]

(1) 사람들이 좋아하는 구축이 정확히 어떤 건지 알기가 어려울 수 있음. 그러므로 그걸 알기 위해서 지난 시장을 활용해야 한다. 즉, 어떤 구축들이 가격이 더많이 올랐는지 보라는 것!

(2) 단지임장 하기 전에 시세지도 꼭 그려보기! 그래야 위치/매매가격/전세가격이 한꺼번에 보임

(3) 단지 선호도를 살펴보기 위해서 전세가/매매가 그래프 좀더 자세히 살펴보기-전세가가 올라가는 폭과 속도, 전세가의 절대값 보기. 매매가 상승 시작시기, 매매가 올라가는 폭과 속도, 전고점과 전저점, 수익폭, 매매가의 절대값 등을 보기. 

(4) 한달에 한번 사전 임보 쓸 때, 서울시 구별 24평, 34평 시세트레킹 하기

(5) 분위기 임장 후에 단지 임장 하기전까지 푸버리지 시세정리도 꼭 하기. 평면도 보는 습관 들이기

(6) 투자자들은 막연하게 기다리지 않음. 내가 그 단지가 약간 비싸다고 생각하면 ‘이 가격까지 떨어지면 살꺼야’라고 목표가를 확실하게 정해놓음. 정해놓고 임장보고서 결론 부분에 써 놓아야 함. 내가 이 가격으로 들어오면 이 단지는 바로 사겠다는 의사결정 기준을 넣어놔야 함.

(7) 단지임장 후 단지 장표 쓸 때, 자모님이 정리해주신 서울 아파트 특징을 4개로 분류한 것을 보고, 단지의 과거 그래프를 보면서 이 단지가 위의 넷 중에 어디 속하는지도 대략 유추해 보면서 단지의 선호도 파악해보기

(8) 임장보고서에 미리 단지들 간의 그래프 비교를 통한 단지 선호도를 비교해보고, 현장(단임)가서 확인 해보기. 왜 이게 1위고 2위고 3위지? 

 

[앞으로 독강임투 관련해서 적용할 것]

(1) 막연하게 매매가가 떨어질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서울을 매달 알아가면서 시세 업데이트 하면서 보면서 기다리는 것임. (거래되지 않아서 매매물량이 쌓이는지, 실제로 매도가 잘 안되는지+ 전세가가 점점더 오르는지, 전세물량이 없는지를 현장에서 지속적으로 체크하고 있어야 함)

그리고 기다렸는데 매매가 너무 싸고 전세가율이 일정 이상 들어왔고 그 물건이 구축인데도 가치가 있으면 사는 것임.

(2) 공급이 들어오는 신축 단지의 주변에 있는 가치가 있는 구축 아파트들을 지켜보자.

(3) 아무 구축단지나 보지 말고 입지나 주변 환경이 괜찮은 구축단지들을 봐야 함. (대단지, 아파트 몰려있는 곳)

(4) 사람들이 좋아하는 랜드마크 임장도 많이 해 보고, 왜 사람들이 여길 좋아할까? 왜 비쌀까? 공통적으로 랜드마크들/인기있는 구축단지들은 어떤 특징을 갖고 있을까? 특징 찾아보기

 

[마인드 관련 느낀점]

(1) 내가 투자를 위해서 지금 시장에서 무엇을 준비해야 할지(예: 마음의 벽을 깨는 것/임장보고서 쓰기/앞마당 늘리기) 알아보고, 그 준비해야 할 것을 행동해서 투자까지 옮기자.

(2) 내가 일하지 않아도 자산이 일하게 하는 경제적 자유를 이루려면 들여야 하는 노력을 엄청 들여야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적당히 노력하면서 경제적 자유를 이루고 싶어한다.

강의에서 제시한 세 가지 중에 어떤 목표를 선택하던지 상관없지만, 메타인지가 되어야 한다. 내가 원하는 목표가 어떤 것인지를 명확히 알고, 그 목표에 맞는 노력을 들이고 행동으로 옮겨야 한다.

(3) 나의 결과를 만드는 것은 ‘정보’가 아닌 ‘행동’이다. 남이 주는 정보로만 투자하는 것이 아니라, 배운 것을 바탕으로 확신을 가지고 의사결정을 한 후에 그것을 행동에 옮겨야 한다. 그게 정말 중요하다.

 

 

아맞다! 자모님이 내주신 과제 마지막으로 인증합니당❣️


댓글


감자빵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