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의 반대말은 공산주의, 사회주의가 아닌 근로주의

→ 자본주의 안에서 자본주의에 걸맞는 삶은 사는게 중요해 

  *분명한 목표/실행 + 흑자구조(현금흐름) + 저가매입(가장 중요) + 장기보유+ 시스템(다량보유) / 자산은 축적하는 것,

 ** LONG WORK  : L-LONG WORK E-EARLY START D-DOUBLE INCOME(맞벌이)

 

부동산 영역에서 성공을 하려면 이쪽 계열의 탑인 사람들을 많이 연구를 해야 해 

 

*추천도서: EBS 자본주의, 서민갑부(라밸 없이 굉장히 열심히 사는 사람들, 돈이 일하는 구조를 못만들면 60살 넘어서까지 일을 해야 해.

피처ㄻ 진하게 사는 사람들을 잘 보여줌)

 

앞에 있는 선배가 10년 뒤 내 미래의 모습이라 봤을 때 회사는 부자를 만들기 위한 공간이 아닌 것을 깨달음

*추천도서: 세이노의 가르침, 부자아빠 가난한 아빠

 

누군가에게 좋은 가치를 줄 수 있는 사람, 자존감이 올라가는 길

 


 

노후준비 해법

평생 필요한 돈이 얼마인가?

우리는 언제까지 돈을 벌 수 있나?

부자들은 어ᄄᅠᇂ게 큰 부를 얻나?

내 주변의 부자는 누구?

내가 벤치마킹 해야 할 점

노후준비를 위한 현실적인 조언

 

대부분, 90%이상의 ETF, 적금 등으로 투자를 하는 사람들 수익률은 5%미만이다.

 

우선 

 

목표자산은 얼마인가?

40,50 대 직장인의 평균자산은?

왜 반포 등에 부자들이 그렇게 많은지?

필독: 23년 한국 부자 보고서(KB) - FACT만 보고 오피니언은 X

→ 한국에서 현금으로 10억이 있는 사람들은 고작 0.88%, 즉 45만명 밖에 안된다.

 


 

경제적 장로 가는 과정(시간관리)

시간가계부(시간을 모아야 한다)

*시간 단위별로 쓸 데 없이 보낸 시간을 축소할 것

중요한 일, 긴급한 일 등 분류 실천

중요한데 긴급하지 않은 일 : 독서, 멘토 / 나의 부가가치를 높인 일

시간가계부 설정시간의 4분면

현재 시간 체크, 본인을 해하는 시간 삭제

긴급한 일보다 중요한 일을 먼저 할 것

중요한 일을 꾸준히 하는 습관을 들일 것(루틴)

 

경제적 장로 가는 과정(돈 관리)

50프로 이상 선강제 저축

지출고정/행복비용(보너스)

신용카드X/현금O

소비와 투자 구분

*소비-나가서 안들어 옴

한달 80%저축(타인x)

 

조모임(커뮤니티)

할 수 밖에 없는 환경

투자커뮤니티(월부커)

*10억 까진 조모임이 매우 중요하다. 같이 성장

** 90일 간의 부자습관 만들기 참고

 

결론

목포설정 종자돈 관리

1. 지금은 강의복습, 월부 후기 쓰기가 중요

2. 일x(인생전략) / 비전보드 만들기(노후자금)

3. 조모임(투자환경) / 강의복습, 과제발표(비전보드), 조모임규칙

4. 할 일 추가x 시간가계부를 통해 시간을 잘 쓰고 있는지?


댓글


슬기로운눈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