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1. 나에게 특히 와닿았던 점’

⦁“투자를 무조건 하기 전에 노후준비를 먼저 생각해야 한다.” 는 부분이 인상적이었다.

→ 우리가 투자를 하는 이유의 가장 큰 전제는 퇴직 후에도 무지막지하게 남은 인생이고 그 기간 내내 써야하는 돈이다. 무조건적인 투자가 아닌 나의 미래를 먼저 생각하는 투자라는 것이 의미있다.

 

⦁‘월부는 시스템을 만들어주는데 집중한다. 4-5년간 고생하면 된다. 처음엔 종자돈을 모으기 어렵지만 전세금이 나오면서 투자금 생긴다”

“주식은 모든 사람이 하지만 큰 돈을 버는 사람은 10%정도다. 부동산은 하는 사람은 적지만 대부분 돈을 번다. 부자는 자산을 쌓아가는거다. 사고 팔고 하다 보면 자산이 쌓이지 않는다. 세금에 너무 연연해하지 말고 자산을 축적해 나가자.

→ 시스템을 만들어준다는 부분이 매우 인상적이다. 그리고 불안해하지 말고 주식보다 부자들이 갖고 있는 부동산 자산에 대한 확신을 가져야 할 것 같다. 또 본인이 갖고 있는 부동산이 없으면서도 뉴스에서 떠든다는 이유로 무조건 세금을 걱정하며 부동산 구입을 꺼리는 것은 기우라는 생각이 든다. 막연히 불안해 하기보다는 확실히 계산해보고 어떤 것이 이익이 될지 꼼꼼하게 따져보면 앞으로 닥칠 노후가 무서운 것이 아닌 기다려지는 것이 되지 않을까.

 

2. '적용해보고 싶은 점’

⦁ 월급쟁이 노후 준비 해법에서

LED: LONG WORK ( 일할 시기를 늦게까지 한다. )

EARLY START ( 바로 시작한다.)

DOUNLE INCOME (맞벌이)

‘LONG WORK’( 일할 시기를 늦게까지 한다. )

경제적 자유를 이룬 후에 최대한 빨리 퇴사할 생각만 했는데 이 부분을 적용해서 빨리 퇴사할 생각을 바꿔야겠다고 생각했다. 어쩌면 매달 받는 작고 소중한 급여가 10호기 투자를 가능하게 하는 매월의 캐시카우가 될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을 해보았다. 결론적으로 투자를 충분히 할 수 있는 급여를 최대한 활용할 것이다.

 

⦁ 경제적 자유를 이루고 싶다고 막연히 생각만 했지. 실제로 구체적인 목표를 세워야 한다는 것은 생각 못했다. 이제는 구체적으로 세세하게 목표를 세운 후에 실행해 볼 것이다.

 


댓글


제인콩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