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투자처를 가지고 있는게 좋은 투자이다.

신랑이 주식을 하는데 "이것이 좋은 종목이야~" 라는 종목들이 있다.

그런데 그것들이 떨어져도 “기다려야 해” 라는 이야기를 할 때마다 이해가 되지 않았다.

왜 떨어지는데 기다려야 하지? 

그러나 기다리다 보면 반등하긴 한다. 

 

저런 ‘확신’을 부동산에도 적용하고 싶은데.. 어찌 공부하지?

 

10년 전 전세집을 매수 하겠다고 어떤 할아버지가 찾아왔다. 아이가 때어나 처음으로 장염에 걸려서 예민한데 아이의 매트를 밟고 지나가는데 그순간 나는 이성을 찾을 수 없었다. 화를 내고 싶었지만 그러지는 못하고..

집을 사야겠다는 생각만으로 공부하지 않고 친정근처로 집을 샀다. 4억이 넘는 돈을 화가나서 질렀지만 그때가 운이좋아 하락기 13년12월 취득세 면제로 생애 첫집을 마련하였다.

덕분에 지금 자가로 살고 있지만 그때 놓쳤던 많은곳들을 생각하면 후회가 앞선다.

 

너나바 님이 말씀하셨던 - 부동산 입지 1. 직장

                                                           2. 교통 

                                                           3. 학군

                                                           4. 환경

                                                           5. 호재/악재

                                                           6. 브랜드

중에서 10년전쯤에 장염에 걸렸던 아이가 이제 중학교에 가야한다..ㅋ

이제는 직장도, 교통도아닌 학군ㅋ 아이덕분에 부동산 공부를 하며 월부수업을 들은 나 자신을 칭찬하며 

 

전세집구할때는 강남으로 가는 신랑을 위해 2,3, 호선에 집을 구하려 했으면서..

정작 집은 4호선에 매수한 나..

이제는 살집보다는 투자의 가치로 공부해서 투자처로 찾아보자는 결심이 생겻다.

 


댓글


함께하는가치
24. 09. 16. 22:16

연휴에도 강의수강, 후기까지 고생하셨습니다💛 가족들과 함께 즐거운 한가위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