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년 9월 독후감_ 돈의 심리학

STEP1. 책의 개요

내가 읽은 책의 개요를 간단하게 작성해보세요

1. 책 제목: 돈의 심리학

2. 저자 및 출판사: 모건 하우절

3. 읽은 날짜: 2024.09.25

 

STEP2. 책에서 본 것, ☞ 책에서 깨달은 것

몇 가지 핵심 키워드와 함께 내가 책 내용을 나만의 언어로 요약해보세요

[1. 사람의 투자 성향을 결정 짓는 요소]

사람들의 투자 결정은 본인 세대의 경험, 특히 성인기 초기의 경험에 크게 좌우된다고 한다.

“투자자 각자의 위험 선호도는 개인의 경험에 좌우되는 것으로 보인다.”

지능도 교육도 아니었다. 순전히 언제, 어디서 태어났느냐 하는 우연에 좌우될 뿐이다.

☞ 내가 위험을 선호하는 편인 건 현재 한국에서 투자자인 아버지의 아들로 태어났기 때문이다.
 

[2. 어디까지가 리스크이고 어디까지가 행운인가]

더 중요한 것은 성공에서 행운이 차지하는 역할을 인정한다면, 리스크의 존재는 우리가 실패를 판단할 때

나 자신을 용서하고 이해의 여지를 남겨야 한다는 뜻임을 아는 것이다.

☞ 현재 나의 투자의 성과가 내가 잘해서 이룬 것이 아니라는 것과 행운의 영향임을 인지해야한다.

     행운이 따르지 않았을 때, 즉 최악의 경우를 항상 염두에 두고 시장에서 사라지지 않을 준비를 하자.

     (감당할 수 없는 투자를 하지 말고, 자산의 가격이 구매가격보다 떨어졌을 때 "오히려 좋아"라는

      마인드가 생길 수 있을 정도로 자산에 대한 공부가 이루어진 이후 구매해야 함을 잊지 말자.)

 

[3. 가장 어려운 것은 멈출 수 있는 골대를 세우는 일이다.]

남과 비교하지 않고 실제 내가 원하는 삶을 살기 위한 목표를 달성했을 때 멈출 수 있게 명확한 목표를 세우자.

1) 얼마나 더 벌고 싶은가?
    → 월 300의 현금흐름을 만들면서, 물가상승률만큼의 자산 성장을 유지할 수 있는 수준 (10억, 7%수익률)

2) 누군가와 비교하고 있진 않은가?

    →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고 비교하기 때문에 더 높은 수준의 소득을 원하는 경우가 많다.

         아예 의식을 하지 않을 순 없을 것 같고 적정 수준의 의식주를 유지하는 수준이 월 300수준인 듯 하다.

3) 충분하다고 느끼는가?

     지금은 300이면 충분한 것 같다.

4) 돈보다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마음의 풍요, 여유로움이 나에게 돈보다 중요한 것 같다.(여유는 일정 수준의 자산과 건강에서 비롯된다)

 

[4. 예상하지 말고 계획을 세우고 대비하라]

170년동안 미국에서는 전고점 대비 10퍼센트이상의 주가하락이 102번, 

33%이상의 폭락이 12번,연간 물가상승률이 7%이상인 적이 20번 있었다. 

 

1~2년에 한번씩 10%이상의 하락, 14년에 한번씩 33%의 폭락이 있을 수 있다.
이런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걸 인지하고 오히려 공포에서 자산을 사모으자.

('22년 주식/부동산이 폭락(30%이상 하락), '24년 9월 현재도 여러 자산이 큰폭으로 하락하고 있다.

  예의주시하고 장기적으로 사 모을 자산이 있다면 망설이지 말고 사모으자.)

 

STEP3. 책에서 적용할 점

1. 더 적은 것을 가지고 사는 법을 배우자. 가지고 있는 것에 감사하고 만족할 수 있는 삶을 살자

2. 쉽게 소비수준을 높이지 말자. 한번 높아진 소비수준을 돌리기는 쉽지 않다. 

 

STEP4.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1. 독립성을 얻는 데는 의사 월급이 필요하지 않다. 중요한 것은 기대치를 낮추고 내가 가진 것보다
    낮은 수준의 생활을 하는 것이다. 소득 수준이 어떻든 상관없이 독립을 좌우하는 것은 저축률이다.
    그리고 소득이 일정 수준 이상일 때 저축률을 좌우하는 것은 생활양식에 대한 기대치를 낮추는 것이다.
  2. 리스크는 존재할 수 밖에 없고 받아들이는 수밖에 없다. 리스크를 좋아하라. 시간이 지나면 제값을
    할 것이다. 그러나 파산할 정도의 리스크는 극도로 조심해야 한다. 아예 파산해버리면 기회는 영영 사라진다.
    시간이 지나 제값을 할 미래의 리스크를 감수할 방도가 없기 때문이다.

댓글


경영학도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