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같이투자자입니다.

 

서기 마지막 4주차를 수강하였고, 4주차는 권유디님께서 진행해 주셨습니다. 

 

워낙 많은 내용이 담겨 있었고 배워야 할 부분이 많다고 느꼈던 터라 기록해 보고자 합니다.

 

I 서울 투자 

=> 서울투자는 가격과 우선순위만 있으며 대상을 정하지 않는다. 가치 있는 물건이고 싸다면 모두 투자대상 단지가 될 수 있다. 다만 투자의 우선순위가 있다. 

=> 땅의 가치가 높은 서울투자는 모든 단지가 투자대상이 될 수 있음을 잊지 말 것. 다만 5급지 이하의 입지는 땅의 가치가 높지가 않아 인접한 경기에 수요를 뻇길 수 있다. 이를 유의하고, 반드시 경기 단지와의 비교평가를 선행할 것.

 

=> 수도권 지하철 선호도 순서(2>9>3>7>5>신분당)를 암기하고, 해당 노선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 단순히 잘 고민해 보기

 

I 공급량 

이제부터는 단순히 공급량이 예정이 전세가 하락으로 이해하면 안된다. 새로 배운 3단계 프로세스로 투자대상 단지의 과거 5년 전세 가격에 대해 이해해볼 것 

=> 평균회귀 check (직전에 상승/하락 수준 파악,  그 이후 현재 가격이 어디에 위치했는지) 

=> 시장흐름 check (가격심리가 어떠한가? 상승장인가? 하락장인가?)

=> 공급물량 check 

 

I E, F 지역

소액투자 접근이 가능한 E, F지역에 대해 배웠고 24.9년 현재 매매 증가율이 높지 않은 지역

해당 지역의 투자결정요소는 1)교통(역세권) 2)환경(뉴타운) 3)언덕임을 잊지 말것.

 

=> 입지분석을 할 때에는 그래서 해당 입지가치로 투자수요를 끌어올 수 있는지까지에 대해 고민해 볼것. E, F 지역 핵심가치에 대해서는 반드시 단지에 대해서 그렇게 접근을 해야 함

 

I 투자 프로세스

=> 저평가 단지(현시점은 전고-20%) 에서, 나의 투자금 범위에 들어오는 물건에서, 비교평가를 해서 가장 가치가 좋은 물건(가장 담백하게 전고점 기준으로)을 고르면 된다.(1등뽑기)

 

=> 단지 상품성(연식,구조 등)에 대해서는, 입지(땅의 가치)를 기준으로 평가해라. 땅의 가치가 비슷하다면, 선허도가 높은 건물을 택하고 / 땅의 가치가 다르다면, 선호도가 높은 땅을 선택해라(서울 투자의 본질은 땅을 사는 것)

 

=> 나의 투자는 서울/수도권 모든 단지에 대해 투자하는 게 아니라 1개에 투자하는 것이다. 그래서 날라간 단지들을 보며 슬퍼하지 말 것. 반드시 투자적격물건 1개는 찾을 수 밖에 없다. 

 

4주 간 양질의 강의를 전달해주신 모든 강사님들께 감사드리며, 한달 동안 열심히 달려와 준 44조원들께 감사드립니다.

 


댓글


같이투자자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