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투자자로 성장중인 동그란마음입니다.
보도 섀퍼의 돈 독서후기를 남깁니다.
보도 섀퍼씨는 경제적 파산까지 갔지만 멘토를 만나 돈에 대한 관점을 달리하면서 경제적 자유에 이른
제가 목표하는 목표를 이미 이뤄본 진정한 부자입니다.
이 책을 통해 가장 인상 깊었던 부분은 경제적 자유로 이루기 위해선 투자 수익률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아는 것 뿐만 아니라 내가 갖고 있던 잘못된 신념을 바꾸고 이를 통해 근본적인 행동 방식을 바꿔가야 한다는
점 이였습니다.
월부에 들어와 열기를 듣기 전까지 저는 "나는 투자로 돈을 벌 수 없는 사람이야. 나는 근로 소득으로 자산을
쌓을 수 있지 투자엔 소질이 없어"라는 잘못된 신념이 있었습니다.
이러한 잘못된 신념을 바꾸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일었는지 이 책을 통해 다시 한번 느낄 수 있었고 이로 인해 수많은 투자기회를 떠나보내고 좌절감을 남겼는지 돌이켜 보며 23년 이후로 제 생각의 많은 부분들이 바뀌어 왔고 스스로의 미래를 책임지기 위해 행동하고 있는 중임을 알 수 있었습니다.
자본주의에 살아가며 남들이 보장해주는 나의 미래를 막연히 기대하거나 바라지 않고 은퇴 이후의 삶을 내 스스로
보장해 나가는 것이 내 삶을 내 스스로를 책임지는 자세임을 배울 수 있었고 돈은 언제나 우리가 부여한 만큼 의미를 갖으며 우리가 돈 문제로 곤란을 격는 동안 돈은 필요이상으로 중요한 것이 되어버림을 깊이 공감하였습니다.
역설적으로 돈의 문제로부터 자유로워지고 마음의 안정을 갖으며 내가 열정을 갖고 힘하는 일에 집중하기 위해선 경제적 에어백 → 경제적 안정 → 경제적 자유로 이르는 길로 향해야 하며 각 과정을 달성하며 발생한 초과수익으로 더 높은 목표를 이루기 위해 자산을 형성해 간다면 경제적 안전장치를 해치지 않고 투자를 이어갈 수 있는 투자자가 될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보도섀퍼의 돈 독서 과정에서 기록에 남겨 자주 보고 싶은 내용들을 남겨봅니다.
- 스스로 책임지는 사람만 부자가 된다.
- 본 것
- P49. 모든 책임은 항상 나 자신에게 있다. (중략) 다른 사람이 저지른 행동에 대한 책임이 당신에게 있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그에 따른 대응에 대해선 책임이 있다.
- P50. 모든 사건에 대한 책임이 당신에게 있는 것은 아니지만, 그 사건을 어떻게 해석하고 대응하느냐에 대해선 항상 책임이 있다.
- P53. 아무리 싫다고 버둥거려도 우리는 책임을 피할 수 없다. 우리는 주어진 상황을 어떻게 해석하고 대응할 것인지 결정해야 한다.
- P56. 남에게 책임을 미루는 것은 그 사람에게 권한을 넘기는 것이라는 사실을 잊지말라. (중략) 책임이 있는 사람에게 권한도 있다는 생각은 안 하는가? 바로 이 때문에 나는 모든 책임을 기꺼이 나 자신에게 돌린다. 내 삶에 대한 권한을 나 스스로 행사하고 싶기 때문이다.
- P60. 당신이 직접 관리하고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것들이 있고(관리의 영역), 관심은 있지만 영향력을 미치지 못하는 것들이 있다(개인적 세계). (중략) 당신의 개인적 세계 안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든, 그것에 어떻게 반응하고, 그 결과를 어떻게 해석하느냐는 전적으로 당신 책임이다.
- P60. 우리는 현재의 관리 범위 크기에 안주해서는 안 된다. (중략) 부나 행복은 우리가 관리할 수 있는 범위가 커지는 과정에서 생긴다. (중략) 상황이나 다른 사람에게 미루는 순간, 언제나 권한도 함께 넘어간다.
- P61. 자신의 상황을 개선하겠다는 확고한 의지만 있으면 우리는 당장이라도 그것을 실행에 옮길 수 있다. 해결책은 외부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내부에서 나온다. 우리는 자신의 개인적 세계 안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에 대해 책임질 수 있어야 한다. 그럼으로써 우리의 관리 영역도 함께 확장된다.
- P62. 안전지대를 벗어나는 것이 자연스러워지고, 그래서 우리에게 다가오는 모든 도전을 더 크고 새로운 도전으로 받아들일 줄 알게 되면, 우리의 관리 영역은 급속도로 확장된다.
- P63. 모든 문제는 성장의 기회를 동반한다. 우리가 ‘이 문제를 어떻게 풀어야 하나’ 라고만 묻는 것은 별 소용이 없다. 아울러 우리는 ‘이런 문제가 더 이상 생기지 않도록 하려면 어떤 상황을 만들어야 하나’ 라고도 물어봐야 한다. 이 새로운 상황이란 곧 관리 영역의 확장을 의미한다.
- P64. 문제를 피해서는 부와 행복을 얻을 수 없다. 남보다 돈을 더 많이 갖고 싶은 사람은 그만큼 더 많은 문제와 싸워야 한다.
- P64.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가’라고 자신에게 물어라. 질문이 삶의 질을 결정한다. (중략) 질문의 올바른 순서는 다음과 같다.
- 나는 그것을 왜 해야 하는가? 할 것인가 말 것인가, ‘예스’인가 ‘노’인가?
- 어떻게 그것을 할 것인가? 다음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그리고 포기하지 말아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P70. 돈에 대해 스스로 책임을 져야 한다. (중략) 당신이 돈에 전혀 신경을 쓰지 않아 어려운 상황에 몰리게 되면, 그 때야말로 돈은 필요 이상으로 중요한 것이 되어버린다. 다시 말해서, 돈이 당신 삶에서 너무 높은 위치를 차지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는 뜻이다. 바로 그 때문이라도 당신은 평소에 돈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 (중략) ‘우리들의 현명한 행동은 삶의 동반자가 되어 우리를 기쁘게 하고 도와준다. 마찬가지로 우리들의 어리석은 행동 역시 우리를 쫓아 다니며 괴롭히고 고통스럽게 한다.'
- P72. 어제 내린 결정이 오늘을 만들고, 오늘 내린 결정이 미래를 만든다.
- 느낀 것
- 나에게 벌어지고 있는 상황에 대해선 내 책임이 없지만, 사건을 어떻게 해석하고 대응하는지는 내 책임을 배울 수 있었으며 스스로 주체가 되어 대응해 나가고 해결하는 것이 관리의 영역으로 만드는 방법임을 배울 수 있었음
- 부자가 된다는 것은 다른 사람들의 문제를 많이 해결해 주는 것! 개인적 세계에서 발생하는 사건을 능동적으로 해석하고 대응함으로써 부와 행복을 얻을 수 있음
- 적용할 것
- “모든 사건에 대한 책임이 당신에게 있는 것은 아니지만, 그 사건을 어떻게 해석하고 대응하느냐에 대해선 항상 책임이 있다.”는 말을 늘 상기하며 주체적으로 대응해 나간다. 또한, 더 큰 행복과 부를 가져 오기 위해 관리영역을 넓히는 네 가지 길을 실천해 나간다!
- 안전 지대를 벗어난다.
- 문제를 성장의 기회로 삼는다. 그리고 이런 문제가 더 이상 생기지 않도록 하려면 어떤 상황을 만들어야 할지 자문한다.
- 질문을 제대로 던진다. 이미 한다고 결정했다면 왜가 아닌 어떻게에 집중하며 포기하지 말아야 하는 이유를 상기한다.
- 개인적 세계관을 넓혀간다. 이건 내가 신경 쓸 일이 아니야 → 나와 연관된 부분부터 확대해 나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