갭투자를 했을시

안녕하세요.

이번 버린돌님의 강의를 듣고 용기내어서 갭투자를 하려고 마음을 먹었는데 한가지 고민이 생겼습니다.

 

갭투자시 전세 세입자를 안고 매수를 했을시 3억 4천,

전세 세입자 없이 매수를 하면 3억 3천만원 인데

 

전세 세입자 없이 매수를하면 1천만원 아낄수있는데 

처음하는거라서 잔금치루기 전까지 전세 세입자를 구할수 있을지 한편으로 걱정이 됩니다.

부동산 소장님은 100프로 세입자를 구할수 있다고 호헌 장담하지만 이 또한 제가 선택하는 거라서요.

 

이런 상황에서 1천만원 더 주더라도 안전하게 가야할까요?

아니면 1천만원을 아끼면서 리스크를 감수하면서 진행을 해야할까요?


댓글


르윗user-level-chip
24. 11. 11. 18:45

안녕하세요 유니아빠님! 투자 경험이 부족하지만 제 개인적인 생각 적어보겠습니다! 1. 3.4억 물건 추가 조정해보기 - 주인분 매도사유(사업 자금 부족, 입주 등등)로 매도자분께 혹시 계약금을 통상보다 많이 드리거나, 잔금을 빨리 하는 방식을 원하시는지 알아보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이미 잘 확인하셨을 거 같지만요!) 2. 3.3억 선택 시, 매수하려는 단지보다 더 선호도 좋은 인근 단지들의 전세 매물 수, 전세가 확인 - 유니아빠님께서 만약 새로 전세를 맞추는 물건을 선택하실 경우, 다른 선호 단지보다 전세가가 저렴하거나 물건 상태가 좋아야 전세를 금방 맞출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인근 선호 단지 전세가 2.6억인데 유니아빠님 단지 전세 시세를 2.6억으로 예상하신다면 빨리 안 구해질 수 있겠죠? ㅠㅠ 저라면 2.4억에 내놓는다 생각하고 두 물건 중 누가 더 나을지 투자금을 계산해볼 거 같습니다. 3. 잔금 시 마이너스통장 등 발생하는 부대비용 계산해보기 q&a 댓 처음 남겨보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다른 선배님들 댓글 보면서 저도 공부하겠습니다 :-)

유니아빠user-level-chip
24. 11. 11. 18:50

다시 한번 살펴볼게요^^

미요미우user-level-chip
24. 11. 11. 20:53

유니아빠님 : ) 세낀 물건을 매수할지 싸게 사서 전세를 맞출지 고민하고 계시는군요. 이는 지역 상황에 따라서 다를 것 같습니다. 1. 네이버 부동산에 들어가셔서 매수하고자 하는 지역에 전세가 얼마나 쌓여있는지를 확인해보세요. 내 단지만 보는 것이 아니라 주변에 영향을 주고받을만한 단지도 함께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2. 해당 단지에 있는 부동산과 인근 아파트의 부동산에 전화를 드려서 전세가 잘 나가고 있는지를 확인해보세요. 매수 부동산 사장님 뿐만 아니라 다른 사장님들의 말씀을 들어보면 판단에 도움이 되실겁니다. 3. 전세를 새로 맞추거나 이미 들어 있는 것을 매수하는 경우 2년 뒤 만기일에 지역 내에 입주하는 아파트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2년 뒤에 대규모 공급이 있는 경우 거주하시던 세입자께서 나가시면 역전세를 맞을 위험이 있습니다. 세 가지를 모두 확인해 보았을 때 지역 내 전세도 부족하고, 전세를 찾는 사람도 많이 있고, 만기일에 역전세 리스크도 없다면 싸게 매수하는 것을 우선하실 수 있겠습니다. 모쪼록 좋은 투자 하시기를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