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이번주 강의에서 가장 좋았던 부분은
가장 마지막에 시세트레킹 하는 이유, 방법, 양식에 어떻게 작성하고 해석하는지 알려주신 부분입니다.
지난 앞마당을 보고도 계속 트래킹을 이어가는게 어려웠고, 그 이유중 하나가 넣어야 할 단지를 고르는 것
평형대별로 해야할지 가격대별로 해야할지 등을 정하는 것이 어려웠기때문인데요
이 시세트래킹으로 투자대상을 잡아야한다는 생각을 했기때문이기도합니다.
아, 그런데 콕 찝어서 말씀해주셨어요. 시세트래킹은 투자대상을 선별하기위해서라기보다
시장의 분위기를 파악하기 위함이라고요.
그렇게 생각하니 시세트래킹에 대한 심적 부담이 줄어 오히려 더 잘 할 수 있을 것 같은 마음입니다.
알려주신 그대로 해보겠습니다!
재수강이지만 이번에는 정리하를 하면서 들으니 C지역에 대한 이해를 더 잘 할 수 있었습니다.
새롭게 다가온 부분도 많고요.
시간 흐름에 따른 주거지 발전을 살펴봄으로써 해당 지역의 연식흐름이나 거주자들의 특성을 자연스럽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
지리적 특징에 따라 도시 형성이 다른 모습으로 될 수 있고, 이는 중심지의 위치나 입지요소들의 집중또는 분산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
지방을 파악할 때는 일단 각 광역시의 입지요소들을 비교해본 후에 해당 지역에 대한 분석을 하는 것이
이해를 더 돕는다는 점,
신축과 학군수요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하는 점,
지역에 따라 교통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하는 점,
공급을 볼 때 주변 지역 공급을 확인하고, 숨겨진 공급을 어떻게 보는지,
지방의 가격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때문에 공급되는 위치와 시기도 훨씬 더 면밀히 봐아햐는 점,
해당 지역의 가격을 전반적으로 어떻게 파악하고, 비교하는지,
마지막으로 입지와 연식을 지방은 어떤 순서로 봐야하는지까지 명쾌하게 짚어주셨습니다.
복습으로 온전히 습득하겠습니다. 좋은 알찬 강의 해주셔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나중에 광주임장하면서
코크드림님 뵐 수 있는 행운을 기대해봅니다.
댓글
제이카페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