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돈이 알아서 굴러가는 시스템으로 1억 모으는 법 - 재테크 기초반
너나위, 광화문금융러, 권유디

연금저축에 대한 오해와 진실
강의를 들으면서 연금저축에 대한 내 오해가 풀렸다.
나에게 연금은 55세가 되기 전에는 절때 찾을 수 없는 돈이니 최소한의 금액만 넣고 나머지는 저축으로 모아야겠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연금저축계좌에 대해 강의를 들으니 16%정도의 수익률은 절대 예금이나 적금으로 할 수 없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바로 금융러님이 시키는대로 연금저축계좌를 개설했다.
강남아파트같은 주식 : S&P 500
사실 유튜브를 통해 S&P500이 몇 십년간 우상향한 주식이니 적립식매수하면 된다는 영상을 많이 보았다.
그러나 어떤 상품을 살지, 미국 직투로 살지, 국내 ETF로 살지에 대한 것은 영상마다 달랐고 어떤차이가 있는지 이해하기 어려워 매수를 망설이고 있었다.
강의에서 금융러님이 연금저축과 ISA 계좌로 ACE S&P 500을 사면 된다고 떠먹여 주지않았더라면 아직도 난 주식창의 무수한 숫자에 빠져 헤매고 있었을 것이다.
ISA 계좌 활용법
유튜브에서 ISA계좌는 빨리 만들수록 좋다는 영상을 보고 2022년에 개설해두었다.
강의에서 ISA계좌는 개설 후 3년 의무기간을 채우고 해지해야 수익금에 대해 400/200만원 비과세혜택을 받을 수 있고, 해지 후 연금저축계좌로 이전하면 10% 세액공제도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수익금이 비과세혜택보다 적다면 의무기간이 지나도 해지하지 않고 수익금을 채우는 것이 좋다.
내 ISA계좌는 만들어만 두고 잠자고 있어서 일단 돈을 넣고 S&P 500을 구매해 수익금을 낸 뒤 400만원이 넘으면 해지해 연금저축계좌로 옮기거나 다른 투자에 이용할 생각이다.
퇴직연금 IRP계좌
IRP계좌는 연금저축계좌로 세액공제가 부족할때 연금저축계좌와 합쳐서 최대 900만원까지 공제받을 수 있다.
세액공제 계산기 파일로 얼마나 통장에 돈을 넣어야 하는지 계산해보았다.
작년 결정세액으로 계산해봤을 때 마이너스가 나와 굳이 IRP계좌를 만들필요는 없고 연금저축계좌에도 130만원정도만 넣으면 된다.
나중에 연봉이 올라 월급을 많이 받게 된다면 그때 만들어야겠다.
2주차 강의를 들으면서 처음에는 새로운 용어와 숫자가 많이 나와 어려웠다.
일단 전체적인 강의에 흐름만 파악해서 들으니 조금 이해가 되긴 했지만 정확한 이해를 위해 다시한번 들으며 되짚어보는 시간이 필요할 것 같다!!
댓글
오~! 이렇게 정리해 주시니 강의 한번 더 듣는 느낌인데요 ㅎㅎ 저도 모르는 사실들을 알 수 있는 기회가 되어서 좋았던 거 같아요~~하루님 미래에 꽃길만 펼쳐지길 응원할게요~!!^^
오, 하루님! 강의를 정리해서 다시 보는 느낌입니다. 하루님 정리력 미챠따리 ㅠㅠ 감사합니다! 으헝... 떠먹여주는 강의였다는 걸 완전 이 글을 보고 알았어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