잊기전에 기록할 것

not A but B

대다수의 사람들이 A를 할 때, 나는 B를 해야한다.

단순히 강의나 책을 읽을때에도 글자만 읽는 것이 아닌 부자들의 삶과 생각을 간접체험 해야한다.

부자들의 행동에서 벤치마킹 해야할 것을 찾으면 나는 그것을 행동에 옮겨야한다.

나는 책과 강의를 통해 부자들을 벤치마킹 하면서 나도 점점 부자처럼 생각하고 행동해야한다.

 

너바나님의 과거에서 내가 벤치마킹 해야할 점은 부자교육의 필요성을 알고 배우기 시작했으며 그것을 5년 이상 꾸준히 행동에 옮겼다는 것이다. 현금흐름을 만들고 난 뒤에도 멈추지않고 자기계발을 꾸준히 해왔으며, 자신이 깨달은 것을 사람들에게 가르쳐줌으로써 진짜 부자들이 하는 ‘기버’로서의 목표도 이뤘다는 점이 흥미로웠다.

 

처음 투자시 가장 실수하는 것은 홈런을 치려고 하는 것이다.

처음부터 완벽하게 돈을 벌려고 하면 안된다. 첫 시도에서는 잃지않는 투자를 했다면 성공한 것이고 그 경험으로부터 얻은 것이 많을 것이다. 나는 한살이라도 젊을때 최대한 많은 경험을 해야겠다고 생각했다.

또한, 부동산에 관심을 갖게된 것이 이번이 처음이라 과거의 데이터가 얼마 없는 상황에서 지방에 투자해도 되는가 하는 생각을 해왔다. 하지만 옛날에도 ‘지방 투자하면 망한다.’는 이야기가 많았고 지금과 비슷하다고 하는 너바나님의 말씀을 듣고 좀더 확신을 갖게 되었다.

 

'20억을 내 실력으로 벌 수 있는 정도가 되면 인생이 바뀐다.' 고 한다. 많은 사람들은 성공한 사람들의 노력은 무시하고 단점을 끄집어내면서 성공하지 못한 자신을 위로한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남을 끌어내는 것 보다 나 자신이 올라가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는 것이다.

생각 변화 → 행동 변화 → 결과가 나오기 시작 → 반복하며 습관이 생김

이 루틴을 반복하고 시간이 어느정도 지나고나면 인생이 바껴있다는 말에 큰 공감을 했고 행동에 옮겨보려한다. 

10년은 누군가의 인생을 바꾸기에 충분한 시간이다.

 

강의를 들으며 머리를 딩~ 하게 만든 말은 바로 “자본주의의 반댓말은 근로주의” 였다. 

나는 부자들과는 반대의 삶을 살고있었고, 열심히 일을 하다보면 부가 쌓일 것이라고 생각했던, 내가 바로 A였다.

자본주의의 왼손은 근로소득, 오른손은 자본소득 이라던데 나는 왜 그동안 왼손만 사용하여 삶을 살아가고 있었을까? 나의 현실과 미래에 대해 반성을 많이 하게 된 1주차 강의였다. 

 

 

나에게 적용할 점

인생에서 한번은 1%를 달성 해봐야하지않겠는가 ! 상위 1%가 되는 것이 나의 목표

 

내가 지금 해야할 것: 목표설정(o) 이직(진행중) 

지금부터 꾸준히 해야할 것: 저축, 목실감, 시간가계부, 독서, 강의, 임장, 실전 투자

내가 바라는 인생: 엄마, 아빠, 나의 미래 가족과 한강이나 호수공원이 보이는 타운하우스나 아파트에 살며 매일 산책을 다녀오고 여가 생활을 즐기는 여유롭고 행복한 삶

⇒ 이런 인생을 살기위해서는 “돈”이 ‘많이’ 필요하다. 부자가 되어야하는 이유가 확실하다.

 

투자 세계는 정글이며 투자는 내가 약자임을 배려해주지 않는다. 

나는 앞으로 잃지않고 최대한 많은 경험을 통해 실력을 쌓아가는 농부같은 투자자 되어야겠다.


댓글


함께하는가치
24. 12. 07. 23:56

주말에도 강의수강, 후기까지 고생많으셨습니다 :) 완강까지 화이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