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지투기 3주차 강의 후기

  • 23.08.22

벌써 3주차라니~ 다들 같은 기분이시겠지만^^ 시간 정말 빨리 가네요~


지난주에 대전으로 임장갔다가, 너무 더워 두통이 심하게 와서 힘들었는데

다들 힘드시지만 꿋꿋이 열정적으로 다니시는걸 보며 저도 다시 힘을 내어 봅니다~


2주차 부자대디님의 강의를 들었을땐 당장이라도 B지역으로 달려가고 싶은 마음이었는데,

이번 코크드림님의 강의를 들으며 오히려 좀 진정이 된다는 느낌?이었다고나 할까요? ㅋ

지금 임장지인 A지역의 다른 구도 다 돌아보고 여기서 확실한 앞마당을 만들고 난 후 다른 광역시로 넘어가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코크드림님의 강의를 들으며 가장 인상깊게 남았던 부분은,


입지 분석을 할 때 항상 광역시를 먼저보고, 광역시와 비교하여 해당 지역(중소도시)의 위상을 살펴 본 후 해당 지역의 구 별 분석에 들어갔다는 것인데요~

이렇게 중소도시를 볼때는 항상 광역시(숲)을 먼저 보고 중소도시(나무)를 봐야하는구나 하는 큰 깨달음을 얻었습니다.

(결론적으로 광역시부터 중소도시까지 다봐라~라는 말인것 같기도 하구요 ㅜㅜ)


< 알게된 것 >

  1. 지방은 수도권과는 다르게 특히 학군/역세권보다 공급(신축수요)에 따라 인구가 이동한다.
  2. 지방의 매매/전세값은 공급이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
  3. 지방은 구별 특징이 뚜렷하기 때문에 구별 특징을 반드시 이해하고 이를 투자에 적용해야 한다.
  4. 종사자수 뿐만이 아니라 구별 가구소득, 지역별 가구소득을 각 광역시와 비교하여 증감수/증감율을 보면 해당 지역에 고소득자가 늘고 있는지( = 구매력 = 집값에 영향 = 수요 받쳐줌)를 알 수 있다.


< 적용할 것 >

  1. 손품시 산단,주요시설,생활권표기,재건축,대장아파트를 원페이지로 만들어서 저장하고 수시로 보며 익힌다. (특히 나같은 길치는 항상 눈에 익혀야 한다)
  2. 시세트래킹이 임보의 마지막!! 일회성 시세트래킹이 아닌 나의 기준에 맞는 단지를 선정해서 꾸준히 시세 트래킹을 할것!!!


이상입니다~!

모두모두 화이팅입니다~!


댓글


나다운나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