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1주차 수강후기 작성] 부자의 행동을 벤치마킹해서 찬란한 노후를 맞이하자

  • 24.12.10

열반스쿨 기초반 - 1500만원으로 시작하는 소액 부동산 투자법

  1. 잊기 전에 기록하기

    1주차 강의를 수강하고, 나만의 정리로 다시 복습하는 시간까지 가졌더니 강의 내용은 크게 3부류로 요약할 수 있었다. 반복해서 볼수 있게, notion앱에 개인적으로 적어보았다.

     

📖 1주차 강의 내용 정리

Key.

1️⃣ 부자가 하는 생각과 행동을 벤치마킹해서 나에게 적용하는 벤치마킹이 필요하다. 부자들의 생각은 비슷하다 (적어두고 따라하기)

2️⃣ 내가 어떤 투자의 길로 가고 있는지 알고있다면, 정했다면 그길의 고수가 되어야해 *투자 초보는 한번의 투자로 홈런을 칠 생각이 아니라 번트 치고 1루로 간다는 마인드로 임해야한다.

3️⃣ 노후 준비를 위해 자본소득을 불리는 시스템을 만들자. 노후준비에 필요한 자금은 얼마인지 계산하자 (36억)

4️⃣ 인생의 목표 (비전보드)를 만들고, 현실화하기 위해 일/월/년간 계획을 실행하라

1. 생각의 전환과 왜 투자를 해야 하는가?

[ 인생을 바꾸는 과정에는 ]

  1. 생각의 변화 → ‘이런 방법이 있구나’ , ’전세는 무이자 레버리지구나’ , ’소액으로 가능한 곳이 있구나’
  2. 행동의 변화 *생각 → 행동가기가 어려운데, 생각에서 행동으로 옮겨가기 위해서는 마인드/태도의 셋팅이 필요

    ★ 들었던 일부중에라도 행동을 해야한다.

  3. 행동을 반복하면 습관이 생김
  4. 시간이 지나면 인생이 변화한다.

Q. 왜 투자를 해야할까? 🙋🏻‍♀️. 편안한 노후를 위해서 → OECD국가중에서 한국은 노동으로 노후를 보내야한다. 하지만 언제까지고 일을 할 수 없는 현실과 정년퇴직이라는 근로소득이 떨어지는 구간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자본소득을 늘려가는게 중요하다.

(노후자금 계산 예시)

노후자금 - 85세 까지 계산했을 때 40대 생활비 : 4001210년 = 4억 8천 (40~49) 50대 생활비 : 3501215년 = 6억 3천 (50~65) 60대 생활비 : 3501220년 = 8억 4천 (65~85) 생활비 (19억5천) + 집 (10억5천) + 취미 (3억) + 병원비(3억) =30억6천

Q. 어떤 사람들이 부자 들인가? 🙋🏻‍♀️ 40대 상위 10%가 10억을 가지고 있어 (부동산포함) →이정도 레벨을 목표로 열심히 하자 →근로소득이 1.5억 넘는 사람은 자기 직업을 놓지 말아야해. 부가가치가 높다는거니까 따라서 본업소득과 투자소득을 합쳐거 1.5억을 만들어야해

자본주의의 반대말은 근로주의이다. 자본주의에는 두가지 손이 있는데, 왼손은 근로 소득이고 오른손은 자본소득이다. 이 두개를 다 가져야 자본주의로 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나의 소득에서 자본에서 나온 비율을 계산해보자, 없다면 이건 근로주의에 살고 있는 것과 같다. 내가 계속 일만해서 근로소득으로 산다면 자본주의로 부자되는 길로 가지 않은거야.

월급쟁이 노후 준비 해법 (LED)

  1. Long work : 오랫동안 근무하는게 좋다. → 노후 자금 필요시기가 줄고, 그동안에 노후자금을 모을 수 있다.
  2. Early start : 지금당장시작해
  3. Double income : 자산과 맞벌이 해라 *부업이라도 찾기/부동산

2. 투자 전략을 어떻게 세우고, 최종으로 가는 로드맵은?

고수의 투자원칙

  1. 농사꾼(한분야를 하면 진득하게 하는사람)의 마음으로 농작물을 키우고 재배하듯 해야한다.
  2. 불황일때 싸게 사서 호황일 때 비싸게 팔아라.
  3. 자신이 5년,10년 장기간 응원 할 수 있는 것에 투자하라

투자 원칙

  1. 원금보존 : 매매가는 전세가 이하로 떨어지지않는다.
  2.  

투자 전략

  1. 분명한 목표/실행

⭐️ 장기 plan이라는 것을 기억하자

목표를 설정하자 -. 목표점이 없으면 사는대로 살게된다 -. 마인드 맵을 작성하고 → 비전보드를 작성하자 -. 실제 필요한 금액을 계산한다

  1. 흑자 구조 (현금 흐름) *버는 대로 쓴다 금지

내가 어떤 투자 level에 있는지 파악한다 (1) 8000이하에서는 종잣돈 모으는 단계 + 투자 공부하는 단계 8000만원부터는 투자가 반드시 필요하다 투자를 반드시 공부해야하고, 내공을 쌓을때마다 더 좋은 투자가 가능하다 (2) 10억 되기 전까지는 급여가 중요함 10억 넘어가면 돈이 돈을 벌게 된다.

  1. 저가 매입 부동산을 볼때에는 전고점(직전 상승장에서 가장 높았던 매매가)대비로 보는게 좋은 기준이다 (2024시점기준)
  2. ★ 장기 보유
  3. 시스템 완성(다량보유)

[ 로드맵 ]

경제적 자유로 가는과정(전략) 1단계. 목표 설정, 종잣돈 모으기, 시간관리, 투자공부, 부자 마인드 2단계. 캐시 카우 만들기 (월급+투자) 매년1채씩 3단계. 시스템확장(5채), 목표 채우기, 내집마련 4단계. 자산 리모델링, 부채상환 5단계. 경제적 자유, 똘똘한 10채 보유

  1. 비전보드 목표작성 (목표)
  2. 꿈을 이루기 위해 얼마가 필요한지 계산 (전략)
  3. 이꿈을 언제까지 이룰것인지*실현가능성고려 (기한설정)
  4. 목표를 기한까지 이루기 위해 선택할 수 있는 수단을 고민 (전략) → 부동산/증여/주식..
  5. 목표를 이루기 위한 장기,중기,단기, 연, 월, 주, 일 단위 계획 세우기 (전술)
  6. 꾸준히 실행, 실행을 평가하는 시간 갖기 (실행/복기)
  7. 혼자 실행이 어렵다면 강제로 하는 환경에 들어가기
  8. 목표를 달성했다면 반드시 보상

실행하는 과정에는 환경을 만드는게 중요한데, 돈을 모으는 것만큼 시간을 잘 모아야한다.

[시간관리]

  1. 시간가계부를 쓴다 *1시간씩 알람을 맞춰서
  2. 시간의 4분면을 만들고 본인을 해하는 시간을 없애라. 긴급한 일보다 중요한 일을 먼저해라
  3. 중요한 일을 꾸준히 하는 습관을 만들어라 (루틴)
  4. 목표/실적/감사 일기 작성

[돈관리]

  • 카드 명세서 뽑아서 기분비용 삭제하는게 중요 -. 50% 강제 저축 -. 신용카드 삭제 -. 투자는 나에게 돌아오는 것이고, 소비는 돌아오지 않아 → 소비는 아끼고 투자는 적극적으로 -. 한달 80% 저축 project

3. 가치 있는 부동산은 어떻게 찾나?

Q. 부동산 투자고수들은 어떻게 했나? 🙋🏻‍♀️ 부동산의 가치를 본다. 10,20년 뒤에도 사람들이 이 물건을 찾을까? 를 생각해보는 것. 뉴스에서 부정적인걸 떠들어대도 뉴스에 일희일비하는게 아니라 가치가 있는건, 그 가치가 언젠가는 두각을 나타낸다. 그래서 가치가 있는 물건은 약세장에선 기회다.

[부동산입지] 좋은 투자란? 같은 가격에 가치 높은 부동산을 사는것

직장/ 교통/ 학군/ 환경/ 호재+악재/ 브랜드가 결정한다.

1순위 직장 +교통 → 강남에 직장이 있지만, 강남에 살 곳이 있진 않잔아 → 업무중심으로 비쌀 수 밖에 없다. → 주요 업무 지구(강남, 여의도, 종로)와 얼마나 연결되어있나 ★서울시 도시 기본 계획을 보자 → 앞으로 개발할 곳. 어떻게 개발할지에 대한 방향이 써있어

2순위 학군 → 타인의 수요가 이끄는 곳 → 중학교를 봐야해 (특목고 진학률) ↔고등학교에서 대학진학률은 거의 특목/자사고이기때문 *그 점에서 분당은 중상위가 많다 (다 평타친다) → 학군이 좋은 지역은 전세가가 잘 받춰주고 많이 올라간다

3순위 환경 → 커뮤니티 시설, 백화점 → 백화점이 있는 지역 = 고소득이 있는 지역

4순위 호재/악재 → 호재가 입지를 개선시키는 요소인지? ex . 업무지구가 생기는지, 교통이 좋아지는지, 학운이 좋아지는지, 공원이 생기는지, 백화점이 생기는지 → 호재는 불황을 이길 수 없다. (하락장인시점에선 호재가 가격 반영이 안되었기 때문에 호재를 반드시봐야한다) → 불황일때 호재인것을 사고 호황이라고 할 때 팔 고민

 

 

2. 나에게 적용할 점 찾기

-. 비전 보드 작성해서 핸드폰 배경화면으로 만들기

-. 지출 점검

-. 강의 리마인드 하면서 부자의 마임드를 심어두기

-. 시간계획표를 만들어 적용하기


댓글


딘딩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