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체크인] 독서후기_슈퍼노멀

  • 23.11.09

슈퍼노멀(10/10점)

주언규, 웅진지식하우스

(2023.11.08.)




#돌연변이 #운과실력  #반복성공

평범한 얼굴을 하고 있는 주변의 슈퍼노멀들이 성공한 방법론을 찾았고, 같은 방법을 적용했을 때 다른 노멀들이 좋은 결과를 만들어낸 것을 검증하였고 책을 통해 슈퍼노멀이 될 수 있는 구체적인 5단계 실천법을 제시한다.


 


1. 내용 및 줄거리

-성장은 언제 찾아오는가?

(p.16) 안전지대에서 한 걸음 떼야 '성장'이 찾아온다. 그리고 그 '성장'은 체계적인 훈련을 통해 이룰 수 있다.


-노멀의 반대는 특별함?

(p.55) 흥미로운 사실은 '특별함'은 아주 평범한 것들이 모여서 도달하게 되는 지점이라는 것입니다. (중략) 특별해 보이는 사람들은 그저 평범한 하루하루를 쌓아 올려서 만들었으며 걸어가다 보니 지금에 이르렀을 뿐이고, 본인의 과거와 오늘은 사실상 너무나도 평범하다고 말합니다. 심지어 자신들이 하는 정도의 노력은 누구나 하고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들의 특별함은 결과의 특별함이 아니라 과정의 특별함에 가까웠습니다.


-슈퍼노멀 1단계 법칙 : 돌연변이를 발견한다

(p.64) 돌연변이는 '나와 상황이 비슷한 사람이 압도적인 성과를 만들어낸 사건'이다. 돌연변이를 찾아내면, 자신감이 솟구칠 것이다.(중략) 돌연변이를 찾아낸 뒤에 내가 해야 할 일은 매우 간단하다. 돌연변이는 타 개체들과 무엇이 달랐는지, '다른 그림 찾기'를 해야 한다. 돌연변이를 만드는 요소를 발견한 다음에는 돌연변이를 반복해서 만들어낼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면 된다. 노멀은 새로운 분야에 진입할 때 대부분 정보의 비대칭 상태에 처하기 때문에 돌연변이를 복제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p.88) 질투나 시기하는 마음이 치밀어 오르는 것도 어찌 보면 인지상정이다. 그러나 더 큰 서장을 위해서는 타인의 성공 방식을 배우려는 마음가짐이 있어야 한다. 타인의 성공 방식을 배우려는 마음가짐이 있어야 한다. 타인의 성공을 부정하는 쪽을 선택하는 순간, 정말 드물게 발생하는 사건, 즉 매우 발견하기 어려운 돌연변이 하나를 버리는 셈이 된다. 우리는 적에게서라도 배워야 한다. 그것이 돌연변이라면 말이다.


-잃을 것이 두려워 시도하지 않는 것에 대하여

(p.107) 생각을 바꿔보자. 지금 시작한 당신은 꼴등이다. 꼴등이기에 스트레스에서 자유롭고, 무엇이든 시도해볼 수 있다. 꼴등이란 잃을 것이 없다는 말이다. 꼴등인 당신이 시도하지 않으면 분명 손해를 보게 되어 있다. 우리는 공포를 느끼는 방향을 바꿀 필요가 있다. 실패할까 봐, 괜히 시간 낭비만 할까 봐 두려워서 시도하지 못한다는 말은 틀렸다. 오히려 아무것도 시도하지 않고 하루가 지나가는 것에 공포를 느껴야 한다.


-슈퍼노멀 2단계 법칙 : 운과 실력을 분해한다

(p.124) 슈퍼노멀이 되려면 막연하게 바라는 대신 구체적인 실행 과정을 낱낱이 파악하고, 각각의 과정을 노력하면 기를 수 있는 '실력의 영역'과 내 힘으로 어찌할 수 없는 '운의 영역'으로 구분해야 한다. 그런 뒤에 유한한 자원인 돈과 시간을 어떻게 투입할지 결정하면 된다. 먼저 돌연변이, 즉 모방하고자 하는 작업의 프로세스를 처음부터 끝까지 일목요연하게 정리하는 것부터 시작한다. 프로젝트가 시작하는 순간부터 끝날 때까지의 과정을 시간 순서대로 서술하면 된다. 그리고 과정 하나하나를 운과 실력의 영역으로 나눠본다. 만약 운과 실력을 구분하기 어렵다면 '일부러 패배할 수 있는지'를 기준으로 삼으면 된다. 그리고 '실력의 영역'에는 내 실력을 높이는 데 자원을 아낌없이 투입하는 훈련의 과정을 거치고, '운의 영역'에서는 최대한 낮은 비용과 시간을 들여 여러 번 시도해 확률을 높이는 전략이 필요하다.


-슈퍼노멀 3단계 법칙 : 먼저 실력의 영역을 정복한다

(p.147) 실력의 영역을 구분한 뒤 학습한다. 이때 포기하려는 마음에 굴복하지 않도록 '성장의 해상도'를 높인다.

(p.150) 대부분의 사람들은 바로 다음과 같은 순간에 포기하고 만다. 그것은 바로 설렘과 열정이 사라지는 순간이다. 처음 무언가를 시작할 때는 언제나 열정의 용광로에서 탄생한 목표와 꿈이 우리의 마음을 뜨겁게 덥히고 설레게 한다. 그러나 이를 현실화하는 과정은 하나같이 평범하고 반복적인 작업이라 지겹기 이를 데 없다. 반복해야 성공하는 A라는 선택지가 있다고 해도 처음에는 열정이 불타오르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A를 하는 이유와 목적을 계속해서 망각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는 최초의 꿈과 시도의 목적을 잊지 않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하며, 성공에 가까워지고 있음을 수시로 확인하며 스스로를 설득해야 한다.

(p.157) '성장의 해상도'를 높이는 방법은 모든 과정을 잘게 쪼개서 작은 목표를 세우고 달성 여부를 확인하는 의도가 있는 체계화된 훈련이 필요하다. 이때 훈련 강도를 높이는 방향은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동일한 수준을 유지하면서 시간을 줄이는 훈련이다. 이런 목적의 훈련 방식은 '양'을 늘리는 데에 기여한다. 둘째, 동일한 시간에 더욱 훌륭한 결과물을 만들어낼 수 있도록 학습하는 훈련이다. 이는 결과물의 질을 향상시키는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온다. 이때 같은 기간 동안 더욱 효과적으로 학습하기 위해서는 결과물의 질을 향상시켜주는 결정적인 요소가 무엇인지 알아내야 한다.


-한정된 시간과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써서 실력을 쌓는 방법

(p.162) 첫째, 운의 영역에서 쓸데없이 애쓰지 마라. 둘째, '최소한의 합격 수준'을 만들고 일단 시도하라. 셋째, 우선순위를 파악하라.


-슈퍼노멀 4단계 법칙 : 빈도를 극단적으로 높인다.

(p.176) 그들도 실패를 두려워한다. 우리와 다른 점은, 시도하지 못하는 것을 훨씬 더 두려워한다는 것이다. by 애덤 그랜트

(p.177) 압도적으로 성과를 거둔 사람들에게는 두 가지 공통점을 찾을 수 있었다. 하고자 하는 그 일을 실제로 실행했다는 것과 실패해도 지치지 않고 여러 번 시도했다는 점이다.

(p.180) 원하는 바를 이루려면 반드시 여러 번 시도하여, 성공의 트리거가 되는 유효한 사건과의 접촉 가능성을 늘려야 한다. 이것이 바로 '고빈도 전략'이다.

(p.183) 실패 횟수의 증가는 성공 확률 증가의 다른 얼굴이라는 사실을 깨달았으면 좋겠다. 성공하려면 시도를 두려워하지 말아야 한다.

(p.188) 확률 영역의 업무를 하고 있다면 낮은 비용으로 최대의 빈도를 뽑아내기 위한 고빈도 전략을 세워야 한다.


-슈퍼노멀 5단계 법칙 : 고성과를 일반화한다

(p.222) 슈퍼노멀로 가는 길에 게으른 완벽주의자는 필요없다. 우리는 작은 성과를 반복적으로 성취해내며 성장하려는 사람들이다. 그러므로 슈퍼노멀 프로세스를 적용할 때는 피드백 또한 빠르게 받아들이고 다음 시도에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편이 훨씬 효과적이다. '빠른 시도- 빠른 실패-빠른 반영'이 평범한 노멀에게도 성공의 핵심 원리가 된다.

 

2. 나에게 어떤 점이 유용한가?

프로세스를 분해하고 운과 실력을 나눠 각각 다른 전략이 필요함을 깨달았다. 시간을 효율적으로 쓰기 위해 노력했지만 운의 영역에도 시간과 노력을 투입하는 전략을 써왔던 것에 변화를 줘야겠다.



3. 이 책에서 얻은 것과 알게 된 점 그리고 느낀 점

 -고민이 많은 나에게, 내가 두려워할 것은 실패보다 아무것도 시도하지 않고 하루가 지나가는 것에 공포를 느껴야 함을 깨달았다.

-특별히 성공하기 위해서는 반복적인 평범한 시간들을 꾸준히 보내와야 한다.

-실력의 영역에서 오래 시간과 노력을 투입하기 위해서 의지력을 이기려하지 말고 작은 성과들로 쪼개 조금씩 성장함을 느끼자.



4. 책을 읽고 논의하고 싶은 점은?(페이지와 함께 작성해 주세요)

(p.150) 대부분의 사람들은 바로 다음과 같은 순간에 포기하고 만다. 그것은 바로 설렘과 열정이 사라지는 순간이다. 처음 무언가를 시작할 때는 언제나 열정의 용광로에서 탄생한 목표와 꿈이 우리의 마음을 뜨겁게 덥히고 설레게 한다. 그러나 이를 현실화하는 과정은 하나같이 평범하고 반복적인 작업이라 지겹기 이를 데 없다. 반복해야 성공하는 A라는 선택지가 있다고 해도 처음에는 열정이 불타오르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A를 하는 이유와 목적을 계속해서 망각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는 최초의 꿈과 시도의 목적을 잊지 않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하며, 성공에 가까워지고 있음을 수시로 확인하며 스스로를 설득해야 한다.

-> 열정이 사라져감을 느끼는 순간을 느낀 적이 있을까요? 그 순간을 극복하기 위해 했던 노력을 나눠주세요.


댓글


치킨맥주
23. 11. 14. 07:07

슈퍼노멀 재밌게 잘 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