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민했던 내용을 알게되어 너무 기쁜 상황!!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알게된거 어디여~ 한잔해~)

2주차 강의를 듣고 고민했던 수익률 보고서 각 항목별 평가방법에 대해 알게되어 좀 더 편하게 수익률 보고서를 작성 할 수 있게되었다.


그래 바로 이거야!!

지난 2주차 강의를 듣고 수익률 보고서를 작성하면서 들었던 고민이 있다. 저환수원리에 대한 개념은 배웠는데 어떻게 적용하고 각 항목별로 어느정도가 적정한지 부족한지 좋은상황인지 등을 판단하는 방법을 알지 못했기 때문에 보고서에 결론을 적는 것이 무척이나 어려웠다.

 

  • 아래 그림은 내가 지난주에 작성한 수익률 보고서 후반부이다.

 

해당 수익률 보고서를 지금의 내가 평가해보자면 이렇다.

 

  1. 건방지게도(!?) 저평가 항목을 당당하게 평가해놓았다…비교평가를 통한 저평가 물건 찾기를 해야한다.
  2. 수익률 분석을 단순하게 매-전 차이로 생각하고 월부에서 정해준 기준에 부합하는지만 보는 아주 초보적인 판단이었다. → 분석 시뮬레이션을 통해 최소 얼마만큼 상승할지, 투자금 회수를 위해 걸리는 시간이 얼마나 되는지 등의 투자를 하다보면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하고 디테일한 상황들에 대한 판단이 필요하다.
  3. 원금보존은 그냥 차트보면 나오는 건 줄 알았다. → 이것도 위 2번항과 마찬가지로 좀 더 디테일하게 생각해봐야한다.
  4. 리스크 대비는 해당지역에 3년 내 공급물량만 없으면 되는 줄 알았다. → 어후… (질-끈…) 주변도 좀 봐라…
  5. 투자결론은 그냥 상상해서 지어냈다… → 이제 알겠지?^^;;
  6. 그래도 느낀점은 잘 적어놨다. → 부동산 초보는 자영업자라는 생각으로 내 시간을 돈으로 만드는 일, 디테일한 투자기준, 투자결론이 확실하다는 믿음을 갇기 위해선 수익률 보고서를 한개만 작성해선 알 수 없다. 다양하고 많은 지역에 대한 수익률 보고서 작성을 통해 자신감을 키워 나가자!

투자는 내가 고생하며 모은 돈을 갖고 하는 것이니 만큼 신중하게 생각하고 꼼꼼하게 챙겨봐야한다.

그러나, 지난주에 작성한 수익률 보고서는 매우 단순하고 일차원적으로만 생각해서 작성했던 것 같다.

아직 경험이 없어 다양한 상황에 대해 이해하고 판단하기는 어렵겠지만 이번 강의에서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디테일하게 살펴보고 많은 단지들의 수익률을 판단해보면서 경험과 노하우를 축적해 나갈 것이다.

 

나는 아직 자영업(부동산 투자)을 하기위해 준비하는 중이지만 현재 내가 공부하는 시간들이 헛되어 쓰이지 않도록반드시 실천하고 오랫동안 지속해 나갈 것이다. 현재의 내 시간을 댓가로 돈이 돈을 버는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댓글


수원창원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