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서울투자 기초반 - 올해 안에! 내 종잣돈에서 가장 좋은 서울 아파트 찾는 법
월부멘토, 주우이, 양파링, 프메퍼, 권유디

현재 깎아주는 분위기가 언제까지 지속될 진 모르지만 4급지에 대한 투자전략을 상세히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강의 초반에 “하나라도 하는 것과 하지 않는 건 엄청난 차이가 있다”는 말씀이 공감이 많이 되었습니다.
월부 시작한 지 1년이 넘었는데 두 번째 겨울을 맞는 지금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저를 칭찬해주고 싶습니다.
이번주는 컨디션이 안 좋아 아직 단지분석을 1-2개만 한 상태인데 그래도 하는 것이 하지 않는 것보단 최선이니 생활권별 5개씩이라도 해서 과제를 제출해보겠습니다.
업무지구 VS 베드타운, C-D지역 투자전략, 단지 대 단지 의사결정법이 나오는 이번 알찬 강의에서
자족기능을 하는 업무지구를 품은 ‘직장’요소가 개선되는 곳이 얼마나 임팩트를 끼칠 수 있는지 이해도를 높여주셔서 수도권은 직장, 교통이 참 중요하구나 생각했고, 전고점이 같은 단지 사이에서 고민할 때, ----가 가까운 단지를 선택하는 것이 가치를 보는 판단이구나 깨달았습니다.
교통 호재의 영향력은 실현되기 전 예측할 수 없는 요소인데 실제로 실현되었을 경우 달라질 입지 개선의 요소를 감안하여 투자에 적용하는 것도 중요하구나 생각이 들어 서울 앞마당을 늘릴 때, 임보에 그동안 적용하지 않았던 교통 호재를 추가 적용해볼 것입니다.
C, D 지역 분임, 단임 시 어떤 요소를 중점으로 봐야 하는지도 알려주셔서 지역에 대한 감을 익히고,
다른 지역에도 이 부분을 적용할 때, 그 지역 내 중요한 입지 가치, 수요를 이끄는 이 지역의 요소에 집중하여
루트를 짤 수 있을 것 같아 수도권 임장, 임보에 퍼즐이 맞춰지는 것 같습니다.
두 지역 모두 저의 현재 앞마당은 아니지만 내년 안에 가게 될 지역이라 저 동네는 저런 느낌이구나,
상상하면서 강의를 들으니 현재 제 수도권 앞마당과 같이 비교, 상상(?)해보며 설레는 맘도 생기네요.
지역을 설명해주실 때, “직장 별 연봉, 종사자수” 등에 대한 설명도 해주셔서 저는 이때까지 직장 파트 입지분석 시 직장의 종류를 정리해보거나 연봉을 체크해본 적은 없었는데 이 부분도 비엠하고 싶습니다.
그리고 매물 임장은 아직 수도권 투자 경험이 없어서 단지분석에서만 임보가 끝이 나기 마련이었는데..
앞마당 만들기 위한 최소 매물수도 정해주셔서 수도권 매물 털기가 낯선 저에게 기준을 가르쳐 주셔서 이 부분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생각해보면 매물 털기가 투자로 직결되는 중요한 부분인데 제가 놓쳤던 것 같고, 미뤘던 것 같습니다.
이번에는 미루지 않고, 저의 앞마당 매물 털기를 꼭 30개 해보겠습니다. 언젠간 돈만 생기면 매수할 것이니깐요.
깊고 알찬 강의 해주신 제주바다님,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