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서울투자 기초반 - 올해 안에! 내 종잣돈에서 가장 좋은 서울 아파트 찾는 법
월부멘토, 주우이, 양파링, 프메퍼, 권유디

적용 part
1. 서울 어느 지역을 임장할지 고민하지 말고 서투기에서 나온 모든 지역을 앞마당으로 만든다.
2. 내 투자금 기준 급지만 앞마당으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그보다 상급지, 하급지를 모두 알고 앞마당화해서 입체적으로 비교평가/가치평가하기
3. 단지 임장 루트를 짤 때, 역에서 가깝고 효율적인 동선을 기준으로 잡았는데, 자모님 강의에서 말씀한 손으로 하는 임장에서 미리 인구 데이터를 활용하여 인구수, 세대당 인구수 높은 지역을 파악하고, 가장 에너지와 집중력이 높은 첫 시간에 해당 지역(인구수, 사람들이 좋아하는 생활권부터)을 임장한다.
4. 지역이 갖는 가치에 따라 평가해야하는 요소가 다름을 깨닫는다. 모든 곳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만능 가치 척도란 없다. (지역 가치에 따라 더 중요, 덜 중요한 부분이 있다는 것을 기억하고 단지/지역 가치 평가 시 적용하자)
5. 자모님 임보 benchmarking하기
6. 앞마당 많고 물건을 많이 아는 것이 기본 중에 기본이다. 앞마당을 많이 늘리자.
7. 임보를 기계적으로 쓰지 말고, 공략집처럼 만들자. 즉 내 생각/투자 전략이 정리된 임보를 쓰자.
느낀 점 part
1. 눈을 키우자(시장의 분위기를 보는 눈, 물건의 가치를 보는 눈, 사람을 보는 눈)
2. 조급해하지 말자. 6개 정도의 앞마당을 갖고 있어야 제대로 된 (후회하지 않는) 투자가 가능하다. 내가 너무 늦게 시작해 적기에 투자를 못하는 것에 불안해 하지 말고, 시간과 에너지를 밀도 높게 사용하고 집중해서 앞마당을 만들고 후회하지 않는 투자를 하자.
댓글
사라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