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주차 강의 후기

 

1주차 너나위님의 강의는 내 집을 마련하기 위한 첫 발을 디디게 해주는데 큰 도움을 주었습니다.

 

완전 초보자도 기초장비를 갖추고 초급 퀘스트에 도전할 수 있도록 초반에 가이드해주는 NPC와 같이,

 

내집마련에 대한 프로세스와 기초 지식들을 머리 속에 넣고, 내 예산을 정확히 파악하고

가능한 범위에서 집을 찾을 수 있게 마인드를 갖출수 있게 도와준 강의였던 것 같습니다.

 

무엇보다 현실을 직시하게 해준 마지막 파트가 인상 깊었습니다. 그전엔 막연히 비싼 상급지의 준신축만 찾아보다 포기했었는데, 이제는 정확하게 필터를 걸고 찾아보니 서울에 내가 살 수 있는 집이 이렇게 많았구나 깨닫게 됩니다.

 

장기적으로 우상향하는 믿음을 갖고 10년을 바라보고 장기투자 관점으로 내집마련에 도전해서 꼭 성공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강의노트:

  • 주식은 아니지만 (국내 한정) 부동산은 장기적으로 우상향. 장기적으로 오르는 것은 소비자물가지수와 부동산 밖에 없다.
  • 저점을 노리는 건 불가능하다. 하락장에 좋은 타이밍을 잡는 것이 중요하다. 꼭지만 피하자. 조정기에 좋은 가격을 가는 것이 최선.
  • PIR = Price / Income = 5억 / 0.5억 = 10 집사는데 10년 걸린다는 뜻.  객관화할 수 있는 지표. 집값을 결과로서 봐라. 집값은 매수자가 결정한다. 내 기준이 아니라 객관화해서 봐라.
  • 전세가율의 의미 = 전세/매매
        -> 전세가율이 상승한다는 건 전환비용이 감소한다는 뜻(심리적 허들 포함)
        -> 매매 고민하는 사람들이 다 전세로 갔음 최근. PIR까지 낮아지면 그 타이밍이 오고 있다는 뜻
  • 추가 단기 조정에 대비해서 더 깎아서 살 수 있는 시기다. 안전마진 확보해서 가라.
  • 부동산 기초 상식
    ㅇ 인구감소에 대한 시각
     - 거주용 부동산 시장의 양극화
     - 인구감소가 무조건 영향이 있다. 그러나 단순히 접근하면 안되고 차등해서 접근 필요
     - 인구가 감소하면 유모차 가격이 떨어질까?
     - 인구감소가 부동산 하락으로 간다는 건 스스로 비전문가라고 인정하는 꼴
  • 장기적으로 성공하려면 투자의 기본원리를 알아야 한다. 투자의 기본은 이성과 인내.
    - 동물처럼 하지 말라.
  • 내 예산과 시구 평균 매매가격이 비슷한 지역을 찾자.(최대 +1, 2억까지)
    - 포기 가능한 조건과 도저히 포기 못하는 조건을 찾자
    - [참고]  경기도 상급지인 과천, 성남 분당을 제외한 하남, 광명, 안양 평촌 집 마련하기 좋은 상황

    - 매수가능지역 중 나에게 맞는 지역을 선정


댓글


라임든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