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이거 3개만 bm하겠습니다.^^ (몰입 후기-룰루들레)

명절이라 아침부터 늘어지고 싶은 마음은 누구나 마찬가지 같습니다.

그렇지만 월부인들은 다들 임장 가시고, 임보 쓰시고, 끊임없이 스스로를 성장시키시죠.

저도 그 점을 본받아 아침부터 틈독을 하여 ‘몰입’을 읽고 bm할 점 3가지를 정리해보았습니다.

 

전체적인 내용은 몰입하는 방법, 사례, 수학문제 잘 푸는데 몰입을 적용시키는 방법, 몰입할 때 유의할 점 등이였습니다.

선잠이 완벽한 몰입을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는 점도 이 책을 읽으며, 처음 알게 된 사실입니다. 

 

제가 생각이 많은 편이라 평소에 빼기 명상을 통해서 집중력 향상과 스트레소 해소를 하는데요. 

알파파 상태에서의 몰입이 좋다는 저자의 말씀을 들어보니 그 동안은 베타파 상태에서 몰입을 많이 했던 것 같습니다.

 

이 경우, 밤에 잠이 오지 않기도 하고 규칙적인 운동을 병행하지 않아 스트레스도 발생합니다.

선잠을 자기 보단 생각을 베타파 상태로 막 하다가 잠이 들 때가 많았던 터라,,(월부 과제를 수행하느라 혹은 자실로 임장 임보를 바쁜 일과 동시에 달리다 보니) 조바심이 났던 것 같아요.   

 

원씽을 읽고 혹은 너바나님 강의를 듣고 “시간”이 중요하다는 사실에 덩어리 시간을 확보해서 이를 잘 활용해보자는 것에 집중해 있었는데 ‘몰입’은 그 시간을 어떻게 집중력있게, 의미있게 가지고 가지냐를 알려주는 책입니다.

 

당연할 수 있지만, 잘 되지 않는, 그치만 사실인 부분 3가지를 오늘부터 다시 bm해보겠습니다.

 

  • 단백질 위주의 식사(고기, 채소 섭취/ 당, 탄수화물 절제)

    -몰입은 생각과 집중의 강도가 매우 높은 상태를 만드는 것이라 활발한 두뇌활동을 요구하는데 이런 활동에는 단백질 소모가 많기 때문에 단백질 위주의 식사를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 건강한 몰입을 위해서는 운동과 숙면이 필수다.

    -몰입을 오랫동안 하면 각성된 상태가 될 수 있는데 이는 주의해야 하는 순간이라고 합니다. 심각하게는 예술가처럼 조울증, 조현병도 걸릴 수 있고, 흔히 말하는 “미쳐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는 말씀인 것 같아요. 그래서 숨차는 30분 정도의 운동과 숙면이(밤을 샜다면 아침부터 5시간 이상은 자라고 하시네요.) 장기적으로 볼 때, 건강한 몰입 상태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 Sleep on the problem!

    -선잠은 몰입을 이끄는데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 저자의 경우 낮에 생각을 하다가 졸리면 졸음을 참기보다는 그대로 편하게 앉아서 머리를 뒤로 기대고 자는 습관이 생겼다고 할 정도로 선잠이 몰입에 끼치는 영향이 큰 것 같습니다. 이전에 읽었던 월부 추천 도서 중 ‘결국 해내는 사람들의 원칙’에서 “RAS” 가 생각나네요. 직업 상 창의적인 문제해결력 또한 상당수 필요할 때가 많은데 창의적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각성보다는 이완된 상태인 잠이 든 상태가 유리하다고 하네요. 낮잠이 올 때는 낮잠을 허락(?)해주어 저의 몰입도를 높이도록 하겠습니다. ㅋㅋ


댓글


룰루들레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