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열반스쿨 기초반 - 1500만원으로 시작하는 소액 부동산 투자법
주우이, 너바나, 자음과모음

Part 1 임장 가기전 파악해야하는 5가지. [행동과 기록]
*사람들이좋아하는 곳, 투자 가능한 지역만 하는것이 아니라, 상급지 (강남,송파구,용산)도 하는것이 중요
1. 임장할 지역의 위치 주변이 어떤 지역인지 체크하기.
2. 월부 지역 분석 보고서 / 아파트 수익률 보고서 참고
(관심지역, 관심 아파트에 대한 보고서 참고해서 선행학습)
-수도권 : 시작점/ 끝지점 기준점을 잡는다. (지하철)
-내용 비교 필요 (레버러지/ 차별점이 무엇인지를 고민하고 작성한다)
3. 가치파악 : 입지분석 (인구/직장/교통/학군/환경) - 실제로 작성, 해석하고 안목을 스스로 해보는것이 중요하다.
4. 인구이동 /향후 공급 물량
(전세 재계약할때마다 체크 필요하다 매수할 아파트에 주변지역 공급물량이 들어올지 체크필요 - 방어가 필요)
전세 만기전 6개월 전에 체크 필요
5. 현재 지역의 시세 및 인근 시세 확인 ( 호갱노노에서 체크)
아파트별로 평당 단가 체크/ 24평기준으로 얼마인지도 체크 필요
실전 사례 - 사전준비가 엄청나게 중요하다.
Ex) 부천시 위치 / 백화점 S (2곳)
송파 백화점 1층의 입점된 브랜드 에르메스 / 부천시는?
임장지 가기전 어플
(아실/ 네이버부동산/네이버지도/ 클로버노트-내가 전화한것을 듣고 녹음을 해둔다)
-녹음 : 시장상황 / 매매 기록이 되어서 좋다.
-기록: 카카오톡 나와의 채팅방에 기록 [상권+아파트 묶어보내기 나의 느낌을 적어서 보내놓기]
아파트/상권 기준 & 역기준 주변 분위기
역에서 내렸을때 나의 느낀점, 전세를 놓았을 때 임차임과 세입자가 오는 거리를 반대로 생각하기
1. 내가 서있는 위치가 어디있는지?
2. 상권 (빌딩/ 가게) - 부자들이 사는 동네는 부티크 (지방) 가 많다
1:1 PT샵/ 1:1 필라테스샵/ 1:1 헤어샵
3. 네이버 시세 매매가 보기: 매매전세 확인하기
아파트 주변의 상권을[머무르는 수요] 보고, 공원이 있으면 좋다고 생각
중심 상권에서 아파트가 얼마나 가깝냐 머냐를 기준을 잡고 봐야한다.
어떻게 소비를 할까?
가치를 정리하는 것 - “임장” 과 “수익률보고서, 임장 보고서”
임장을 다녀온 후 같은 가격을 비교평가 후 상승장이 얼마까지 올라왓는지 마지막에 집와서 전고점을 본다.
Part 2 매물임장하는 법
전화임장 - 지금의 시세, “현장확인”행동 가격거래 상황만 묻는다
네이버에 전세 셋팅 상황 확인 :
공실인가요? 갭투자인가요? 주인이 거주하고있나요?
전세입자 껴있으면 언제가 만기에요?
[만기가 너무많이남아있는 경우, 최근 시세가 싼지 비슷한지? ]
월세가 껴있는 물건 : 월세입자가 나간다
매물예약 :
내가 전세 놓을때는 내가 더 주동적, 요구하는 바를 명확하게 이야기 해야한다.
투자판단 거절할때, 즉답을 내리지 않는다
가격이 싼 물건 위주로 질문 “ 더 볼 수 있는 집 없나요?”
비싼물건은 안봐요.옥탑은 안봐요.
한개 단지 하루에 3~4개 정도 집보기. “예약된 물건 무엇인지 정보 보내주세요”
매물 예약 할 때 초보가 가져야 할 태도
부동산 방문- 집 보기
매물 예약 20분전 방문
누수 및 하자 여부 반드시 체크 [구축: 최근 수리 된것은 좋은것이다]
사장님, 이것 누수인가요? 공인중개사에게 반드시 물어보기 [천장 꼭 보기]
고치셨나요?
매수 여부 판단할때 자주 하는 실수
저평가-환금성-원금보전-수익률-리스크대비의 투자 원칙을 지키는 투자인가?
- 나에게 전세 셋팅이 유리한 상황인가?
- 리스크대비는 감당이 가능하지 않다고 생각하고 현실적으로 되지 않은것은 포기한다.
- 당장 오를만한 것이 아니라 현재 가치가 있고 싼 매물
매수 여부 판단
전세 놓기
투자는 매수가 끝이 아니라, 매수에서부터 시작된다, 전세까지 맞춰져야 투자의 과정이 끝이 난다.
2. 전세 골드타임 계약 후 잔금 D-60일 전에 빼는것이 가장 좋다.
내 전세의 상태가 경쟁력이 있는가? 신축?올수리?
- 내 전세 경쟁 조사 [전화해서 물어봐서 객관적으로 생각해야함]
21.1매수 | 21.2잔금 | 22.10 | 22.10~1월 | 24 현재 |
임장 | 전세가 없어 | 주변입주시작 | 전세가 안나가요 | 입주가 지나가고 |
18년부터 꾸준히 임장 기존 만들어놓은 앞마당 | 전세 놓고 2주일 안에 전세계약1000세대 대단지 중 전세 1개 | 세입자 재계약 앞두고 연락
한달간의 실랑이 저 나갈게요. | 가격 내려가야겠다. 3.5 → 2.7 → 2.1 샷시 수리 진행
전세가 내려가는 시점에 유리한지 불리하면, 기존 세입자와 계약 | 전세 2.1 → 3
|
비수기 : 7~8월 휴가철/ 11월 수능~12월
성수기 : 1~2월 / 9월~10월
잔금 : 1월 말, 2월초 / 11월 (9월, 추석끝나고 많이 움직인다)
매수하고 나서 보유하면서 꼭 챙겨 놔야 하는 서류
1. 중개비 현금 영수증 발급 해달라고 해라. (매수/매도)
양도 세금 감면 등록 영수증
2. 수리비 견적서 & 영수증
샷시, 확장, 보일러 수리비 50~80만원 영수증 [현금영수증]
3. 취등록세 및 인지대 : 법무사 고용시 현금영수증 발행
4. 등기권리증 [매도할 때 필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