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6월 돈버는 독서모임 - 데일카네기 자기관리론
독서리더, 독서멘토

책 제목(책 제목 + 저자) : 부동산 트렌드 2025 (서울아파트 슈퍼사이클 진입)
저자 및 출판사 : 김경민, 김규석, 이소영, 이보람, 이영민, 장재훈
읽은 날짜 : 2025. 1. 23. ~ 1. 31.
핵심 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슈퍼사이클 #공급절벽 #부동산 가격 상승
도서를 읽고 내 점수는 (10점 만점에 ~ 몇 점?) : 9점
1. 저자 및 도서 소개
: 서울대 지리학 학사, 부동산 연구로 하버드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고, 보스턴 상업용 부동산 리서치 회사에서 오피스 가격 예측 모형을 구축하는 등 글로벌 부동산을 연구했다. 현재는 서울대학교에서 교수로 근무하면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부동산 시장 분석을 꾸준히 해오고 있으며, 이를 근거로 매년 빅 데이터를 분석하여 서울 시 집값 예상과 투자방향을 제시하는 “부동산 트렌드” 를 발간해 오고 있다. 이 책은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2025년 부동산 시장 분석과 투자 빅 이슈, 대장 단지 상세 리포트를 통한 부동산 가격을 예측하고 있다.
2. 내용 및 줄거리
: 전체적으로 6파트로 나뉘어져 있다. 파트 1은 2024년 부동산 시장을 되돌아 보면서 ‘서울 부동산 시장이 N자로 반등하였다.’ 보고 있고, 2번째 파트에서 전국, 신도시, 서울시 구별 매매 시장 동향과 서울시 아파트 공급 부족 사태에 대하여 분석하고 있다. 파트 3에서는 2025년 부동산 투자에서 커다란 이슈가 되는 TOP 6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며, 파트4에서는 대장 12개 단지의 가격을 상세히 분석하였고 파트 5에서는 이런 분석 결과로 2025년 부동산 가격을 예측하는 결론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파트 6는 상권 혹은 상업용 부동산과 관련된 ‘핫 플레이스’를 소개하고 있다.
3. 나에게 어떤 점이 유용한가?
: 그동안 강의 또는 유투브 등을 통해서 자주 접했던 부동산 시장의 추세와 공급, 금리 인하 등으로 인한 향후 부동산 투자의 방향을 잡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하지만 서울 지역의 대장아파트를 기준으로 분석을 하고 있어서 지방 소액투자를 고민하고 있고 아직 서울 경기에서 내집 마련을 방향을 잡지 못하고 있는 상태에서 슈퍼 사이클에서 소외되지 않을 까 걱정이 되기도 한다.
4. 이 책에서 얻은 것과 알게 된 점 그리고 느낀 점
: PF 사태- 정책 실패와 최악의 공급 부족
브릿지론은 6개월 단기 대출인데 이를 20개월 이상 예외적으로 계속 연장해 주고 있어서 그 기간 동안 기존 사업의 디벨로퍼는 엄청난 금융비를 부담하고 신규 사업에 참여하지 못하는 등 PF대출 연장이 오히려 건전한 회사들의 신규 사업 진출을 막는 명백한 정책 실패라고 본 점이다.(P129)
이 책을 읽기 전에는 막연히 시공비 증가, 금융비용 상승, 높은 토지가격 등으로 사업성이 떨어지면서 신규 공급이 안되고 있다고 생각 했는데 이 책을 읽고 나서 부실 PF 대출을 과감히 솎아 내고 건전한 회사들이 자생적으로 살아남게 해야 되는데 인위적인 개입으로 부동산 공급 절벽의 위기를 초래했던 것이라고 이해하고 이런 불합리한 정부 개입이 부동산 폭등의 한 원인이 된다는 것에 화가 났다.
5. 책을 읽고 논의하고 싶은 점은?(페이지와 함께 작성해 주세요)
P 138 PF에 잘못 투자한 회사들의 구조조정 실패 등 잘못된 정책으로 인한 공급 절멸의 위기 타개로 공공이 서울과 서울 인근 토지를 대량으로 확보하는 토지 디벨로퍼 역할을 하고 해당 토지에 민간 디벨로퍼와 시공사가 아파트를 건설하게 하는 거대한 분양 시장을 열어야 한다, 이를 통해 기축 아파트에 쏠린 민가의 수요를 분양 시장으로 돌려야 한다
: 서울과 수도권의 공급 부족을 해결하는 방안으로 녹지 지역에 대규모 택지 개발을 하는 것이 과연 합당한지 의문이 든다. 사실 노후된 아파트의 재건축 추진, 재개발 지역 개발 등으로 기존 주거 지역을 개선하여 새로운 환경을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을까 생각하고 실제로 얼마전에 택지 개발 발표에 이를 비판하는 전문가도 있었던 것 같다. 새로운 택지개발지구를 만드는 것은 건설회사에게만 이로운 것이 아닐까? 낡고 오래된 아파트를 그대로 두고 새로운 아파트만을 짓는 다면 미래에 구축아파트는 어떻게 될 것인지? 걱정이 된다.
6. 연관 지어 읽어 볼 만한 책 한 권을 뽑는다면?
: 김경민 작가의 ‘도시개발, 길을 잃다.’ 를 읽어보고 싶다. 제목만 봤지만 도시개발 단계에서부터 방향을 잘 잡아가야되지 않을까 생각된다.
댓글
꿈꾸는 제인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