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강의는 정말 임장보고서에
꼭 적용해보고 싶고
꼭 해야만 하는
비교평과와 1등뽑기, 결론
별이 다섯개의
중요한 강의라고 생각합니다.
비교평가를 할때는
가치와 가격을 확인하며
가치대비 가격이 싼 것을 선택해야한다.
가격을 고정하고 가치를 비교할때는
같은 가격이면 더 좋은 것으로
가치를 고정하고 가격을 비교할때는
비슷한 가치면 더 싼 것을
골라야한다.
임장과 임보르 통해서 가치를 파악하고
가격을 보며 저평가를 알 수 있고
그 이후에 투자금을 보며 수익률을 확인하고
리스크로 감당가능한지 확인한다.
지방은 땅의 가치가 떨어지기 때문에
상품성(연식)이 입지(위치)보다 중요하고
교통보다는 학군, 환경, 커뮤티니가 중요하다.
그래서 지방은 개별 단지의
선호도를 잘 파악해야한다.
지방에서 단지 선호도를 판단하려면
임장과 임보로 가치를 먼저 파악한 후에
그래프를 통해 가격을 확인한다.
투자금으로 판단하지 않고
매매가로 저평가를 판단한다.
지방에서 20평대 아파트 투자는
가치를 이해하는게 더 중요하다.
지방에서의 20평대 아파트는
압도적인 입지독점성이 있어야하며
신축,브랜드, 대단지여야한다.
지방에서는 인구수 자체가 수요이기 때문에
도시의 체급을 알아야하며
양질의 일자리는 경제력을 뜻하고
학군과 환경등으로 선호되는 생활권은
폭발력이 있는 압도적으로 1등이다.
지방에서는
연식이 20년이상 된 구축단지와
29평대, 복도식 단지
그리고 전세가가 오르지 않는 단지는
투자해서는 안된다.
공급이 과다하게 많을때는
굳이 선진입하지 말고
일단 피해가는게 상책!!
하지만 리스크 대비가 가능하다면
매력적인 투자가 될 수 있다.
여러지역의 앞마당이 많아야
비교평가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힘들게 만든 앞마당에서의
투지기회를 놓치지 않기 위해서는
시세트레킹, 시세스캐닝, 시세그룹핑이 있다.
무작정 다 전수조사를
하는게 아니라
시세트레킹을 하면서
앞마당을 잘 살펴보다가
찌가 움직이면
그 움직인 지역의
전수조사를 한다.
지난달에 처음 만든
시세트레킹을 이번달에 해보고
다음달에는 전수조사를 해봐야겠다.
댓글
초이딸기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