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나도핸입니다 :)
지기 2주차 강의 후기 들고 왔습니다~
게리롱님 강의는 처음이었는데
Q&A 하고 온 기분이라 해야할까요..?
중소도시 투자와 임장에 대해 '이거 애매하다.. 괜찮나..?' 했던 의문들을 쏙쏙 짚어내서 정리해주신 넘나 시원했던 강의였습니다ㅎㅎ
< 중소도시>
지방중소도시 구축 투자는 공급리스크가 적을 때, 그것도 입지가 좋은 곳에만 한다는 가이드라인을 명확히 세웠습니다.
20평대도 입지나 브랜드 등으로 사람들이 30평대보다 선호하는 곳은 투자를 고려할 수도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습니다.
< 단임 >
단지는 어디서부터 어디까지 봐야하는건지,
내가 제대로 보고 있는건지 늘 물음표였는데
이번 강의를 통해 기준이 잡혔습니다.
우선, 단임하면서 집중해서 봐야할 포인트는
동간격, 경사, 주차여건 등 바꿀 수 없는 요소라는 걸 확실히 인지했습니다.
이 정도면 간격이 넓은건지, 주차 괜찮은건지 등등 애매한 판단기준을 깔끔하게 정리해주셔서 너무 감사했습니다.
그리고 단지내부 뿐만 아니라 단지 밖도 봐야 한다는 것도 다시 되새겼습니다.
특히 좋은 시설이 있는 것보다 안 좋은 것이 없는게 엄마들에게 더 중요하다는 것 잊지 않겠습니다.
<매임>
매물임장 어려워하는 걸 어떻게 아셨는지 매임에서 뭘 봐야하는지 명확하게 답을 주셨습니다.
시세 등 나중에도 확인할 수 있는 것 보다는 수리상태, 집구조, 거주자 생활수준 듯 집 안에서만 확인할 수 있는 것에 집중하겠습니다.
수리상태를 간단히 분류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해주신 점도 아주 좋았습니다.
항목별로 체크하느라 집 보러갈 때마다 정신없는 기분이었는데, 이제부터는 '수리 불필요/일부수리 필요/전체수리 필요' 이렇게 크게 나눠서 정리하면 좀 더 차분하게 매임을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BM
1. 입지와 연식의 좋고 나쁨에 따라 단지 카테고리 분류하기
2. 바꿀 수 없는 것과 사람에 집중해서 단임하기
3. 단임하면서 동료들과 의견 나누기
4. 수리상태에 따라 3가지로 분류하기
5. 매물 다 보고 사장님께 정리 요청하기
댓글
나도핸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