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4번타자 다운 임팩트!!
하고싶은 말과 전달하고 싶은 것이 너무 많으신 자모님
역시나 강의영상도 8개로 살짝 당황함과 동시에 한주동안 해내야 한다는 목표로
스스로를 강의속으로 몰아 넣어 본다.
명불허전!!
역시나 뼈를때리고 정곡을 콕콕찌르는 강의 덕분에 긴 강의를 어떻게 지나간줄도 모르고 몰입할 수 있었다
광역시 전반적인 평가기준과 지방투자의 기준에 대해서 다시한번 콕콕 짚어주심은 물론
부산광역시에 대해 곳곳을 짚어주시는 명쾌함이 강의 곳곳에 숨어있어서 너무 좋았다
투자자의 핵심은 결국엔 투자로 이어지는 임장보고서와 반복되는 앞마당 늘리기를 통해
꾸준히 살아남아서 시장이 수익을 가져다 줄때까지 살아남아 있으면 된다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아파트를 비교평가를 통해 계속해서 저평가 아파트에 대해 투자를 실행하고
상승장이 되어 전세가가 상승시 매매가가 올라가는 시장이 될때까지 참고 기다린다.
지금 부산은 싸지는 않다!!
하지만 진구에는 기회가 많고 기회가 있는곳의 아파트를 시세트레킹을 통해 전세가 변화를 모니터링한다
그러다가 시장의 신호가 나왔을때 투자를 할 수 있는 사람이 수익을 맛볼 수 있는 것이다.
거주만족도가 높고, 가성비가 좋은 구역에 우선투자를 하기위한 시세 트레킹하고
비선호지역은 투자효율을 감안해서 검토대상에서는 후순위로 미룬다
부산은 입지 좋은 신축&구축(해운대, 동래, 연제, 수영, 남구, 진구)
입지 덜 좋은 신축(강서, 서구, 사상, 사하) - 싸고 작은투자금일때
입지가 덜 좋은 구축에는 투자하지 않는다(강서구, 서구, 중구, 동구)
"투자자의 실력은 집의 개수가 아닌 투자한 단지의 가격과 투자금으로 증명된다"
댓글
까도남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