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이] 돈독모 - 부동산 트렌드 2025

부동산 트렌드 책은 처음 읽어보았는데

제가 잘 몰랐던 부동산의 큰 흐름, 앞으로의 예측을 읽을 수 있어 유익했습니다.

여러 수치들이 나와서 100% 이해하진 못해서 다시 한번 더 읽고 싶습니다.

 

 

[책을 읽고 새롭게 알게 된 것]

 

  • PF사태에 대해 잘 알지 못했는데 책을 읽고 좀 더 알게 되었다.
  • 그리고 서울 같은 경우 전체 공사비에서 토지 가격이 차지하는 비율이 커서 토지가격이 2-30%만 하락해도 다시 진행할 수 있는 점을 알았다.(책읽기 전엔 지방보다 서울 건설 회복이 더 힘들거라 생각했음)
  • 가장 먼저 움직이는 것은 토지 값이다. 월세가 아니다.

 

  • 거래량 중 매매거래 비중이 늘어난다는 것은 주택을 구매하고 자 하는 시장 참여자들의 의지가 강해지고 있음을 의미. 시장의 상승세를 뒷받침하는 분석 결과다.(전자책 p.42)

 

  • 수도권 동남부, 서북부, 서남부, 동북부 - 각 지역이 경기도, 혹은 다른 구 어디와 비슷한 흐름을 가지고 영향을 주는지 머릿속에 한판에 그려지게끔 설명해주어서 좋았음

 

[생각 메모..]

 

신축과 구축간의 가격차이가 지나치게 벌어지는 경우, 사람들은 약간의 불편을 감소하거나 비용을 들여 리모델링 하는 선에서 구축 매매로 돌아설 수 있다. 이해 더해 전세가격까지 상승하는 모습이 나타난다면 구축 아파트 역시 관심망에 들어갈 수 밖에 없다.(전자책 p.131)

→ 지금 나의 1호기 상황과 비슷한거 같다. 구축에 전세가격까지 상승하는 모양새. 신축보다 당연히 선호는 떨어지겠지만 어느 정도까지 가격 상승 힘을 가지게 될지 궁금하다. 잘 보유하고 지켜봐야겠다.

 

서울시 전세 가격은 2023년 1분기까지 대폭락했지만, 2분기 부터 지속 상승중이며 현재는 전세가격 최고 시점이었던 2022년 가격에 거의 근접했다.

→ 이 부분에서 필자는 전세가가 계속 오르면 - 갭투자가 안정적인 투자라는 생각을 하게 되고 - 다수의 투자자들이 갭투자가 안정적인 투자라는걸 공유하는 순간 - 가수요 촉발. 이라면서 부정적으로 이야기 하고 있다. 이 부분은 어떻게 읽어야 할까? 

 

역대급 공급 부족이 3-4년간 지속된다.

(과거) 시장 참여자들이 미래 수입에 대한 기대가 압도적으로 크면, 어떤 수단을 사용하더라도 시장에 참여하고자 할 것(p.314)

→ 향후 몇년간 서울시장은 역대급 공급 부족이고, 지난 정권때 처럼 어떤 수단을 사용하더라도 시장에 참여하고자 → 상승장을 맞이할 수도 있겠다.

 

24년 몇 달간 서울 아파트 가격이 날라가는 걸 보면서

아직 서울에 진입 못하는 나는 이런 현상이 있구나... 관망하면서 보기만 했어서 아쉽다.

올해는 좀 더 적극적으로 서울 앞마당도 늘리고 서울 내집마련에 머리도 굴려봐야겠다.

 

 


댓글


노이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