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3월 돈버는 독서모임 - 소득혁명
독서리더, 독서멘토

책 제목(책 제목 + 저자) : 부동산 트렌드 2025
저자 및 출판사 : 김경민 _ 와이즈맵
읽은 날짜 : 25.02.06
핵심 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인플레이션 #공급부족 #금리인하 #빌라포비아
도서를 읽고 내 점수는 (10점 만점에 ~ 몇 점?) : 8.5. 집값내용나오다가 갑자기 핫플나와서
1. 저자 및 도서 소개
:
🚀2025년 서울 부동산, 슈퍼사이클에 돌입하다
매년 빅데이터 분석을 근거로 서울시 집값 예상치와 당해의 투자 이슈를 짚어주는 ≪부동산 트렌드≫ 시리즈가 2025년 부동산 시장을 전격 해부한다. 2024년 현재, 각종 매체에는 상승장이 왔으니 ‘영끌’해서라도 집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과, 부동산 시장이 붕괴될 것이니 있는 집도 팔라는 의견이 뒤섞여 있다. 상반된 주장에 혼란스러운 투자자들은 정확한 데이터와 균형 있는 의견을 제시해줄 전문가를 절실히 찾고 있다. 이에 김경민 서울대 교수는 “서울 부동산은 2021년도의 전 고점을 넘어 신고가를 기록할 것”이라며 확실한 ‘상승’ 방향을 예고
“서울 집값은 신고가를 기록할 것이다!”
공급 절벽, 전세 상승, PF 연장, 금리 인하 신호까지…
모든 지표가 ‘대세상승’을 가리킨다!
“슈퍼사이클에 돌입한 서울 아파트 시장의 미래!”
2. 내용 및 줄거리
💡 p.39 한강 이남 지역에서는 수도권으로의 가격 확산이 활발히 진행 중인 반면, 한강 이북지역에서는 이런 현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차이는 각 지역의 일자리와 직주근접성에서 비롯된다. (중략) 수도권 동남부 : 강남구 vs 성남시 분당구, 용인시 수지구
→ “가장 중요한건 직장이라는 걸 한번더 생각하게 되었다. 호재중에서도 직장호재를 제일 우선시 보자! 지금 직장이 늘어나고 있는 지역은 어디일까. 수지를 더욱더 자세히 파야겠다. 서남부도 마곡신도시와 김포 일자리에 대해서 다음 임보에서 자세히 파악해보자
💡 p.59 강남구 평당 8842만원, 저렴한도봉구는 평당 2696만원. 강남구의 평당가가 동봉구의 약 3.3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 강남이 비싼건 알고 있었지만, 도봉구랑 3.3배라고 생각하지 못했다. 서울도 점점 양극화가 진행되는것 같다. 수도권 4급지가 괜찮다는 도봉구보다는 좋다라는 생각을 했고, 지금 임장하고 있는 지방이 서울과 비교해보면 너무너무 싼것 같다. 대구와 부산 너무 싼 것 같다.
💡 p.93 상승과 하락의 사이클이 주는 인사이트 첫째, 가격 상승기에는 강남구가 서울 전역에 비해 상승이 1~2개월가량 선행하는 데 반해, 노원구는 서울 전역이 상승장에 진입한 후 후행해 상승장에 들어간다. 고가 주택에 대한 수요가 먼저 몰린 후 서민 주택으로 수요가 확산되는 패턴이 나타나는 것이다.
→ 남들과 똑같은 공산품이 되기위해 소비했던 시간들이 떠올랐다. 비슷한 입시교육을 마치고, 대학교를 다니며, 비슷한 교육을 받고, 비슷한 사람들과 비슷한 이야기를 하며 비슷한 회사에서 비슷한 부품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생각을 많이 한다. 똑똑한 후배들이 들어오는걸 보면서 긴장하지 않으면 언제든지 바뀌겠구나 생각을 했다. 그동안의 인생은 전적으로 잇마인드 엔진에 의해서 살아왔다는걸 느꼈다.
💡 p.118 빌라가 서울시 전체 주택 수요의 50%를 차지하는 상황에서, 빌라 세입자들이 아파트 시장으로 넘어가면 그 파급력은 상할할 것이다. → 빌라 전세사기에 대한 기사는 많이 봤지만 아파트 시장에 어떤식으로 영향을 미칠지 연관지어 생각하지 않았다. 단순히 서울은 아파트가 지방보다 희소하니깐 20평도 투자가치가 있다. 정도만 생각하고 있었는데, 거시적 관점에서 빌라포비아로 인하여 수요가 아파트로 넘어오는것을 생각한다면 서울아파트의 전세는 더운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을것이라는 생각을 했다.
💡 p.249 임대차 2법이 폐지되거나 부동산 세제완화가 일어난다면 가격 상승에 불이 붙을수 있다. 안 그래도 우리나라는 실효 재산세율이 지나치게 낮을데 여기서 세제 완화가 일어난다면 상승압력이 더욱 강해질 것이다.
→우리나라가 실효세율이 낮다는걸 처음 알았다. 뒤에서 15억 아파트와 5000만원 자동차의 1년 보유세가 없다는것은 무엇가 잘된 상황이라고 설명을한다. 그런데 나는 생각이 조금다른데, 서울의 평당이 4천만원이기에 서울30평대 아파트 살고 있으면 13억 정도의 아파트이다. 아파트는 거주하는데 필수재이지만, 서울에 살고 있다면 자동차는 필수재로 보기 어렵지 않을까. 5000만원 자동차로 바로 비교하기에는 조오금 무리가 있는것 같다.
p.261 현재 20억 이하 부동산에 적용되는 실효 재산세율은 0.09%~0.12% 수준으로 매우 낮다. (중략) 2주택 이상 보유자에게는 과세 부담이 약간 있겠으나, 다주택자는 당연히 관세 부담을 느껴야 하며 이것이 공장 사회다. → 다주택자에 과세부담을 증가시키는것보다 고가 주택 소유자에게 세금을 부담시키는게 맞는것이 아닐까. 3억 아파트 3개 있는것보다, 서울에 20억 아파트 하나있는것이 부자인것 처럼 다주택자에 세금을 증가시키는것이 옳은 방향일까. 세금관련된 문제는 다주택자가 되기로 마음먹은 순간부터 유심히 관심을 가지자!!
3. 나에게 어떤 점이 유용한가?
: 서울시장에 대해서 다시한번 생각해보게되었다.
4. 이 책에서 얻은 것과 알게 된 점 그리고 느낀 점
: 서울은 기회가 있을때 잡아야한다. 임대차법은 폐지되야 전세가 안정될것이라 생각했는데 필자는 반대로 이야기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정부개입이 너무 많은것 같다.
5. 책을 읽고 논의하고 싶은 점은?(페이지와 함께 작성해 주세요)
P255 중산층과 서민을 위한 NEW리츠 정책
대한민국 부동산 시장이 가야 할 방향이라는데 이해가 잘되지 않는다. 정부가 해야할일은 GTX같은 교통수단열심히 만들어 서울을 확장하고, 재건축 재개발 열심히 하고 열심히 해야되는게 아닐까..
6. 연관 지어 읽어 볼 만한 책 한 권을 뽑는다면?
🚀트레드코리아 2025 / 머니트렌드 2025
2025년 트렌드 책이니깐 같이 보면 도움이 될까
댓글
매튜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