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잊기 전에 기록하기

 

  • 처음은 종잣돈 마련이 중요하다 

    : 굴리는 돈을 마련해야 하는 초년생은 버는 것보다 모으는 것이 훨씬 중요하다, 어느 정도 돈을 모은 사람은 투자를 잘 배워놓고 익힐 수록 유리해진다.

 

  • 수비하는 방법

    1)얼마 버는지를 안다
    2)지출 구분을 한다
    3)지출 구분별 필요한 금액을 안다

    4)지출 그대로 지키면서 꾸준히 저축한다

    => 해야할 일 : 세전/후 소득 및 세금 확인, 55% 이상 저축, 통장 쪼개기+보너스 붓기, 알뜰폰

     

  •  공격하는 방법

    1)알파 투자 : RISK 높음, 시장 초과 수익률, 직접 투자, 전문가(보다 큰 노력, 희생)

    2)베타 투자 : RISK 낮음, 시장 지수 수익률, ETF 기반 포트폴리오(연금저축, ISA), 일반인(적은 노력, 밸런스)

    => ALWAYS 베타, SOMETIMES 알파

     

  • 연말정산

    - 비과세 소득과 근로소득 공제는 내가 결정X

       종합 소득 공제, 세액 공제는 내가 미리 결정O

     

    - 소득공제 : 과세 표준을 줄여 산출세액을 줄임(세금 대상을 줄임) - 인적공제, 총급여 25% 초과 카드사용액 등

       세액공제 : 산출세액을 줄여 결정 세액을 줄임 (세금 자체를 줄임) - 연금저축, 보장성보험 등

 

 

  • 돈에 대한 편견

     - 감정과 사실을 구분하여 판단해라. 스스로 판단하겠다는 목표를 세워야 한다.

     - 자본주의의 자본은 리스크를 의미함. (리스크X → 수익 X)

     - 리스크를 다루는 것은 커다란 정신 노동이므로 투자는 불로소득이 아니다.

     - 리스크를 다룰 줄 알면 위험성은 줄어든다.

        (ex. 수영은 위험하니까 하지마(X), 수영을 할 줄 알면 위험하지 않고 나를 살리는 방법이 될 수 있다(O))

 

인생의 진리 : 생각 → 감정 → 행동 → 세상

긍정적으로 생각 → 내가 제일 잘하고 있다는 감정 → 돈 더 모으는 행동 → 조용한 부자

 

 

2. 나에게 적용할 점 찾기

 

종잣돈 마련이 중요한 시기라고 생각해서 연말정산 절세를 최대한 받을 수 있도록 체크카드와 연금저축 (월 50만원), 청년도약계좌 신청을 적용할 예정이다.

 

또한 수비를 위해 구분한 지출에서 계획한 퍼센트 내의 지출만 하도록 노력하고,

공격을 위해 경험이 없는 제태크와 투자 분야에서 겸손한 마음을 가지고 독서 → 멘토 순서로 공부하고 시도 → 경험을 할 계획이다.

 

돈을 버는 것이 아니라 잃지 않는 것에 집중하기 위해 모든 투자와 성공의 기본인 이성적/ 인내심을 기르도록 노력해야겠다.  내가 가야할 곳에 집중하자 ! 


댓글


user-avatar
케빈Duser-level-chip
25. 02. 11. 14:08

대단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