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수잔입니다 :)
월부학교 3강은 호탕한 웃음소리의 줴러미 튜터님께서
‘갈아타기’의 모든 것에 대해 총정리 해주시는 시간이었습니다.
| 실전 갈아타기
| PART1. 갈아타기 의미
흔히 갈아타기라고 하면 내집마련 갈아타기를 많이 생각하실 것 같은데요..
투자자에게 있어서 갈아타기란
실거주 갈아타기 뿐만 아니라 투자물건의 포트폴리오 재정비를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 PART2. 갈아타기 기준과 프로세스
갈아타기 기준은 다들 알고 계실 것 같은데요.
1. 수익이 났을 때
2. 더 좋은 자산으로 갈아탈 수 있을 때
3. 리스크를 감당할 수 없을 때
저를 포함해서 대부분의 분들이 1번의 기준으로 갈아타기를 고려하시기보다는,
2번 또는 3번의 기준으로 갈아타기를 생각하실 것 같습니다.
어쩜 이렇게 저희들의 마음을 다 아시고 ㅎㅎㅎ
줴러미 튜터님께서 강의에서 콕! 집어서 말씀을 해주셨죠?
특히나 23년 즈음에 정말 많은 동료들이 투자했었고
2년이 지나가는 지금 시점에 오르지 않는 물건들을 보면서
속상한 마음도 충분히 갖고 계실거라고 생각하고, 저도 사무치게(?) 공감합니다.
하/지/만,
줴러미 튜터님의 갈아타기 프로세스 설명을 들으면서,
매도검토 > 예산점검 > 비용/편익 점검 > 매도 및 매수
내 상황+물건 상황+물건 자체로 세부적으로 나눠서
어떻게 생각하고 결정을 내려야 하는지 배울 수 있었고,
현재 나의 자산상황에 대해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하고,
세금에 대해서도 잘 알아두는 것이 중요함을 다시한번 상기시킬 수 있었습니다.
| PART3. 갈아타기 경우의 수
사실 강의에서 제가 투자한 단지, 동료분들이 투자한 단지들이 많이 나와서
어어어엄~청 감정이입 하면서 들었는데요.
(왜 튜터님들께서 그래프에 감정을 담아서 봐야한다고 하시는지 이제는 압니다….ㅎㅎㅎ)
줴러미 튜터님이 강의에서 말씀해주시는 갈아타기 경우의 수가
그대~로 현실에서 적용되는 사례도 봤고,
저에게도 생각지도 못하게 적용가능한 부분들이 있어서,
투자는 계획은 할 수 있지만 또 그때그때 대응의 영역임을 한번 더 느꼈습니다.
BM.
*목표수익이 났는가? > N군 이상 등기칠 수 있는가?> 리스크를 감당할 수 없는가?
*내 상황+물건 상황+물건 자체로 나눠서 판단한다.
*매월 25일 예산점검 업데이트
*세금 정리해서 엑스퍼트 문의하기
*매도도 매수처럼 & 적극적인 My 사장님 2~3명
.
.
.
이번 갈아타기 강의를 들으면서 제가 앞으로 가야할 방향성을 정리해볼 수 있었습니다.
솔직히 저도 '갈아타기를 해야하나?' 수없이 흔들리고 어려운 마음이 많았는데요,
이번 강의를 통해서 ‘보유’도 경험이고 실력이라는 걸 한번 더 생각할 수 있었습니다.
제가 마음의 빚을 지고 있는 줴러미 튜터님 ㅎㅎㅎ…
다음에 뵙기 전에 꼭 떳떳해지기로 다짐해보면서,
마지막에 추천해주신 책 <일의격> 꼭 읽어보겠습니다.
갈아타기 아주 깔끔하게 한판 정리 해주신 줴머리 튜터님 감사합니다🙌
이 추운 날씨에도 불균형을 어렵게 유지하며 투자물건 찾으러 오매불망 달리는 우리 몽팸즈 응원합니다💕
우리 몽팸즈 언제나 살펴봐주시는 몽부내 튜터님 감사합니다💕
댓글
수잔30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